
전기회로설계실습 2장 결과보고서
본 내용은
"
전기회로설계실습 2장 결과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17
문서 내 토픽
-
1. 건전지 내부저항 측정실험을 통해 6V 건전지의 내부저항을 1.538Ω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 건전지의 내부저항은 생각보다 작은 편이어서 현실적인 회로에서 부하저항이 내부저항보다 훨씬 클 때에는 내부저항을 고려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값이었다.
-
2. DC Power Supply 최대 전류 설정DC Power Supply의 최대 전류를 3A로 설정하고 10Ω 저항을 연결했을 때 전압은 1V, 전류는 0.101A가 나왔다. 최대 전류를 50mA로 변경하고 10Ω 저항을 연결했을 때는 전압은 0.5V, 전류는 0.05A로 표시되고 CC(Constant Current)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DC Power Supply는 설정한 전압대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그에 맞는 전류를 흘려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3. DC Power Supply 단자 간 전압 측정DC Power Supply의 양 단자의 전압 측정 시엔 기준점을 설정해야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output1(-)와 2(-)를 연결했을 때, 1(+) ~ 2(+) 사이의 전압은 5.004V로 오차는 0.004V가 나왔고, output1(-)와 2(+)를 연결했을 때는 2(-) ~ 2(+) 사이의 전압은 -10.014V로 측정되었고 오차는 -0.014가 나왔다.
-
4. DMM 입력저항에 따른 측정 오차10kΩ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할 때는 오차율이 0.4%로 나왔지만 22MΩ으로 바꾼 실험에서는 오차율이 70.2%로 매우 커졌다. DMM 내부 저항은 약 10MΩ 정도이므로, 그보다 큰 저항의 전압을 측정할 때엔 값에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입력저항이 DMM의 내부저항 보다 충분히 작아야 값을 신뢰할 수 있다.
-
5. 콘센트 각 단자 간 전압 측정콘센트 각 단자 간 전압을 측정한 결과, 2번 소켓과 3번 소켓은 110V를 공급받게 되며, DMM을 이용해 교류전압을 측정하면 약 8.35%의 오차가 나왔다. 2번 소켓과 3번 소켓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였을 때는 220V보다 약 15V 작은 값이 나왔다.
-
1. 건전지 내부저항 측정건전지의 내부저항 측정은 배터리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내부저항이 높다는 것은 배터리의 수명이 다했거나 배터리 상태가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내부저항 측정을 통해 배터리의 상태를 파악하고 교체 시기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측정 방법과 측정 장비의 정확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측정 시 주변 환경 요인들을 고려하여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숙지해야 합니다.
-
2. DC Power Supply 최대 전류 설정DC 전원 공급 장치의 최대 전류 설정은 회로 보호와 안전성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과도한 전류가 흐르면 회로 소자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최대 전류 설정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회로의 전류 소모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안전 계수를 고려하여 최대 전류를 설정해야 합니다. 또한 과전류 보호 기능을 활용하여 회로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회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3. DC Power Supply 단자 간 전압 측정DC 전원 공급 장치의 단자 간 전압 측정은 회로의 전압 상태를 확인하고 문제를 진단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정확한 전압 측정을 위해서는 측정 장비의 입력 임피던스와 회로의 부하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측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요인들, 예를 들어 프로브 접촉 불량, 접지 문제 등을 파악하고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숙지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회로의 전압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문제를 신속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
4. DMM 입력저항에 따른 측정 오차디지털 멀티미터(DMM)의 입력 저항은 측정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입력 저항이 낮은 경우 회로에 부하를 가해 측정값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면 입력 저항이 높은 경우 외부 노이즈의 영향을 받아 측정값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측정 대상 회로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입력 저항을 가진 DMM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측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숙지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5. 콘센트 각 단자 간 전압 측정콘센트의 각 단자 간 전압 측정은 전기 안전과 회로 문제 진단에 매우 중요합니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콘센트의 접지, 극성, 전압 등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측정 시 감전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절연된 프로브와 안전한 측정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측정 결과를 통해 콘센트의 상태를 확인하고 문제가 있는 경우 신속히 조치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기 안전을 확보하고 회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8 8페이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실험요약R, L의 정확한 값을 측정한다.FG출력을 1V의 사각파(high = 1 V, low = 0 V, duty cycle = 50 %)로로 한 후 FG출력파형, 저항전압파형, 인덕터 전압파형, 시정수를 측정한 후 실험결과와 이론값을 비교 분석한다.FG출력을 1V의 사각파 (high = 0.5 V, low = -0.5 V, duty cycle = 50 %)로 한 후 FG출력파형, 저항전압파형을 측정하여 예상파형과 비교한다.시정수 가 주기인 주파수를 가진 사각파를 입력하여 저항전압파형, 인덕터 전압파형을 측...2023.09.07· 8페이지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 3. 분압기(Voltage Divider) 설계 A+ 5페이지
설계실습 3. 분압기(Voltage Divider)설계작성자 :제출일 :요약 :부하의 영향을 파악하며 제한된 종류의 저항으로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분압기의 회로를 설계하고 확인해보았다.부하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채 1 ㏀, 3 ㏀을 이용하여 회로를 설계하였고, 1.71V을 출력하였다. 이는 목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3 ㏀, 2.7 ㏀, 6.2 ㏀을 직렬 연결하여 2.76V의 전압을 출력하는 회로를 다시 설계하였다. 이때 회로의 효율 또한 고려하여 설계하였으며, 이론값의1%미만의 오차율을 갖는 목표한 조...2021.02.18· 5페이지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8. 인덕터 및 RL회로의 과도응답 7페이지
전기회로설계실습(8번 실습- 결과보고서)소 속담당 교수수업 시간편 성학 번성 명설계실습 8. 인덕터 및 RL회로의 과도응답요약 : 먼저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RL회로의 파형들과 시정수를 측정하였다. EXCEL을 이용하여 Simulation 계산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때 6%의 큰 오차가 발생하였다. 함수발생기의 내부저항과 인덕터의 저항을 고려하여 또한 계산하면 -0.014%가 관측되었다. 이 작은 오차는 가변저항의 조절과 정확하지 않은 인덕터의 값 때문이다. RL회로는 RC회로와 다르게 입력파형의 offset값이 변했을 때 저항전압...2023.09.04· 7페이지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13. 발전기 원리 실험 11페이지
전기회로설계실습(13번 실습- 결과보고서)소 속담당 교수수업 시간편 성학 번성 명설계실습 13. 발전기 원리 실험요약 : Faraday's Law를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발전기, 인덕터, 변압기를 실험적으로 이해한다. RL회로를 이용하여 10kΩ저항과 코일의 내부저항을 이용하여 인덕턴스를 측정하여 약 의 값을 얻었다. 자석을 넣다 뺄 때의 코일에 유도되는 전압 파형을 확인하였다. 또한 코일을 뒤집으면 넣을 때 뺄 때의 전압 파형의 부호가 이전과 바뀜을 확인하였다. 또한 N=2500과 이를 이용하여 자속의 변화율을 계산하였...2023.09.04· 11페이지 -
전기회로설계실습 3장 예비보고서 4페이지
전기회로 설계 실습예비보고서3장. 분압기(Voltage divider) 설계1. 목적부하효과(Loading effect)를 고려한 분압기(Voltage Divider)를 설계, 제작하고 설계와 실험값을 비교, 분석한다.2. 준비물* 기본 장비 및 선Function generator: 1대DC Power Supply(Regulated DC Power supply(Max 20 V 이상): 1대Digital Oscillo오실로스코프(Probe 2 개 포함): 1대Digital Multimeter(이하 DMM, 220V 교류전원 사용): ...2024.08.16·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