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개론: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
본 내용은
"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_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 보시오. (1)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30
문서 내 토픽
-
1. 동사와 형용사의 정의동사는 움직임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품사이고, 형용사는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품사이다. 동사는 구체적인 움직임,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움직임, 움직임을 지닌 상태, 자연의 움직임 등을 표현하며, 형용사는 감각, 평가, 비교, 존재, 심리 등을 나타낸다. 용언은 동사와 형용사를 포괄하는 상위 개념이다.
-
2. 활용 형식에 따른 동사와 형용사 구분동사와 형용사는 기본형, 현재형, 의도와 목적, 명령형과 청유형 등의 활용 형식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동사는 선어말 어미가 자연스럽게 결합되고, 현재 진행의 의미를 나타내며, 의도와 목적을 표현할 수 있고, 명령형과 청유형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반면 형용사는 선어말 어미 결합이 어색하고, 현재 진행의 의미를 나타내기 어려우며, 의도와 목적을 표현하기 어렵고, 명령형과 청유형으로 활용이 불가능하다.
-
1. 동사와 형용사의 정의동사와 형용사는 문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품사입니다. 동사는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로,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를 표현합니다. 반면 형용사는 명사나 대명사의 성질, 상태, 특징 등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동사는 시제, 인칭, 수 등에 따라 활용이 가능하지만, 형용사는 활용이 제한적입니다. 이처럼 동사와 형용사는 문장 구성에서 서로 다른 기능을 하며, 이를 구분하는 것은 문법 이해와 정확한 문장 구사에 중요합니다. 동사는 행동과 상태를, 형용사는 사물의 성질과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활용 형식에 따른 동사와 형용사 구분동사와 형용사를 구분하는 또 다른 기준은 활용 형식입니다. 동사는 시제, 인칭, 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되지만, 형용사는 활용 범위가 상대적으로 제한적입니다. 예를 들어 '크다'라는 형용사는 '크다, 컸다, 클 것이다' 등으로 활용되지만, '가다'라는 동사는 '가다, 갔다, 갈 것이다' 등 다양한 활용 형태를 가집니다. 또한 동사는 능동태와 수동태로 구분되지만, 형용사는 이러한 구분이 없습니다. 이처럼 활용 형식의 차이는 동사와 형용사를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문장에서 어떤 단어가 시제나 인칭, 수 등에 따라 활용되는지 확인하면 동사와 형용사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 6페이지
- 과 목 명: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 담당교수: 교수님Report과제 주제 :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 보시오.과 목 명 :담당교수 :성 명 :제 출 일 :Ⅰ. 서 론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 과제를 준비하면서 인터넷 서핑을 하게 되었다. 갑자기 내 눈에 들어온 이 글귀~~!! 의 저자이며, 한겨레 신문에 2007년 기고된 「김철호의 교실 밖 국어 여행」이란 제목으로 연재된 ‘동사와 형용사는 형제지간이다’라는 헤드라인이 나의 뇌리를 스쳤다. ‘과연 동사와 형용사는 형제지간인가?’용언의 개념에서 보았을 때는 진짜 형...2022.02.08· 6페이지 -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해 보시오. 4페이지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과제 :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해 보시오.서론품사란 단어를 문법적 성질의 공통성에 따라 몇 갈래로 묶어 놓은 것으로, 우리나라 국어사전에서의 품사의 정의를 '단어를 기능, 형태, 의미에 따라 나눈 갈래'로 정의하고 있다.형태에 따라서는 가변어, 불변어로 나누고, 기능에 따라서는 체언, 관계언, 용언, 수식언, 독립언으로 나뉜다. 의미에 따른 분류로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타사인 9품사로 나뉜다.이중 기능에 따른 분류로 문장의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2024.09.24· 4페이지 -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해 보시오. 5페이지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해 보시오.과 목 명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담당교수 :성 명 :Ⅰ. 서론언어를 배우는 데 있어 품사를 아는 것은 중요하다. 우리가 영어를 배울 때 품사를 알아야 하는 것처럼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의 품사를 가르쳐야 하는데 단어가 가지는 성질을 알아야 이것을 조합하여 읽고, 쓰고, 말하기를 잘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단어를 문법적 기능에 따라 분류한 것을 품사라고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문법에서는 단어를 기능, 형태, 의미를 기준으로 나누어 기능에 따른 분류를 하면 체언, 용언, 관계언,...2022.02.23· 5페이지 -
(A+)[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 보시오. 4페이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과제 주제: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 보시오.--------------------------------------------------------------------Ⅰ. 서론우리나라의 국어 문법 교육에서는 단어나 형태소 단위로 구체적인 규칙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이론적인 내용들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크게 활용되지 않는다.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학습자들은 이미 어린 시절부터 한국어 환경에서 자라, 단어와 형태소, 그리고 그들이 조합되는 방법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하...2024.02.17· 4페이지 -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 보시오(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개론 과제) 3페이지
과제 주제 :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 보시오과목: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개론목차1.문법이란?2.품사의 개념과 품사분류의 기준3.동사와 형용사의 개관4.동사와 형용사의 특징 및 차이점5.결론1,문법이란?문법은 언어가 가지고 있는 내적 구조와 규범,언중들의 머릿속에 내재해있는 언어능력이다.(박영순,1998:11 민진영,2019 재인용)2.품사의 개념과 품사분류의 기준품사는 단어들을 성질이 공통된 것끼리 모아 갈래를 지어놓은 것(서태길,2016)이다.2016년 서태길은 품사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품사는 불변어와 가변어로...2022.06.23·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