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대학교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 예비보고서2
본 내용은
"
중앙대학교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 예비보고서2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12
문서 내 토픽
-
1. PWM 제어 회로 설계PWM 제어 회로는 오차증폭기, 비교기, 구동회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오차 증폭기 단에서 기준전압과 출력전압의 오차를 증폭시켜 준 후, 비교기 단에서 톱니파와 비교하여 오차에 상응하는 구형파를 생성합니다. 출력 전압의 오차에 따라 펄스폭을 줄이거나 늘리면서 스위치를 제어합니다. UC3845 IC를 사용하여 0V~10V의 PWM 제어 회로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
2. Buck Converter 회로 설계Buck Converter 회로에서 스위치 Q가 ON일 때 인덕터 전압은 Vi-Vo이고, OFF일 때 Vo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듀티비 D=0.5, D'=0.5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인덕터 전류 리플과 최소 전류 조건을 이용하여 인덕터 값과 부하 저항 값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Buck Converter는 강압형 컨버터로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보다 낮은 범위에서 나타납니다.
-
3. Boost Converter 회로 설계Boost Converter 회로에서 스위치 Q가 OFF일 때만 다이오드를 통해 전류가 방출됩니다. Volts-sec 평형 조건을 이용하여 듀티비 D=0.5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인덕터 전류 리플과 최소 전류 조건을 이용하여 인덕터 값과 부하 저항 값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Boost Converter는 승압형 컨버터로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보다 높은 범위에서 나타납니다.
-
1. PWM 제어 회로 설계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회로 설계는 전력 전자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PWM 제어를 통해 전압, 전류, 속도 등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모터 제어, 전력 변환 장치, 조명 제어 등에 PWM 기술이 적용됩니다. PWM 제어 회로 설계 시 주요 고려 사항으로는 스위칭 주파수, 듀티 사이클, 필터 설계, 피드백 제어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적절히 설계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PWM 제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제어 기술의 발달로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고성능 PWM 제어 회로 설계가 가능해졌습니다. 이를 통해 PWM 제어의 정밀성과 유연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전력 전자 분야에서 PWM 제어 회로 설계는 매우 중요한 기술이며,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Buck Converter 회로 설계Buck Converter는 DC-DC 전력 변환 장치 중 하나로, 입력 전압을 낮추어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회로입니다. Buck Converter 회로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로는 스위칭 소자 선정, 인덕터 및 커패시터 설계, 제어 방식 등이 있습니다. 스위칭 소자는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효율 소자를 선정해야 하며, 인덕터와 커패시터는 출력 전압 리플을 허용 수준 이내로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또한 전압 제어 방식, 전류 제어 방식 등 다양한 제어 기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로 구성과 제어기 설계가 달라집니다. 최근에는 디지털 제어 기술의 발달로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고성능 Buck Converter 설계가 가능해졌습니다. 이를 통해 효율성, 정밀성, 유연성 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Buck Converter는 전력 전자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회로이며,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Boost Converter 회로 설계Boost Converter는 DC-DC 전력 변환 장치 중 하나로, 입력 전압을 높여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회로입니다. Boost Converter 회로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로는 스위칭 소자 선정, 인덕터 및 커패시터 설계, 제어 방식 등이 있습니다. 스위칭 소자는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효율 소자를 선정해야 하며, 인덕터와 커패시터는 출력 전압 리플을 허용 수준 이내로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또한 전압 제어 방식, 전류 제어 방식 등 다양한 제어 기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로 구성과 제어기 설계가 달라집니다. 최근에는 디지털 제어 기술의 발달로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고성능 Boost Converter 설계가 가능해졌습니다. 이를 통해 효율성, 정밀성, 유연성 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Boost Converter는 전력 전자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회로이며,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A+] 중앙대 아날로그 및 디지털회로 설계실습2 Switching Mode Power Supply(SMPS) 예비보고서 5페이지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실습 2 예비보고서-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학 과 : 전자전기공학부담당 교수님 : XXX 교수님제출일 : 2020.09.XX(X)조 :X요일 X조학번 / 이름 : XXXXXXXX / XXX2-1. 실습 목적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의 동작 원리와 회로 모듈을 이해하여 SMPS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2-2. 실습 준비물부품PWM UC3845: 1개MOSFET IRF540: 2개Inductor 470 uH: 2개Ca...2021.09.06· 5페이지 -
[A+] 중앙대학교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실습 예비보고서 2.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5페이지
2-3-2 PWM 제어 회로와 Buck Converter 회로를 이용하여 아래 성능의 SMPS를 설계하시오- 스위칭 주파수 f : 12.5 kHz - 입력 전압 : 5 V- 출력 전압 : 2.5 V회로의 소자값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의 이론서 34page의 그림 5-1을 참고하였다. Buck 컨버터에서 주 스위치 Q가 ON일 때 L에 걸리는 전압은 ... [이하 생략]2023.02.06· 5페이지 -
중앙대학교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3-2) A+ 11차예비보고서-카운터 설계 5페이지
1. 실험 목적JK Flip Flop 을 이용한 동기식, 비동기식 카운터를 설계해보고 리셋 기능을 이용하여 임의의 진수의 카운터를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또한 chattering 방지 회로에 대하여 학습한다.2. 준비물 저항 (330Ω, 1/2W, 5%) : 4 개 JK Flip Flop (74HC73) : 4 개 NAND gate(74HC00) : 4 개 NOR gate(74HC02) : 2 개 AND gate(74HC08) : 2 개 OR gate(74HC32) : 2 개 LED BL-R2131H(743GD) : 4 ...2021.10.06· 5페이지 -
중앙대학교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3-2) A+ 12차예비보고서-Stopwatch 설계 4페이지
1. 실험 목적Stopwatch 설계를 통하여 카운터, 분주회로, 클럭 회로, 디코더 등 다양한 디지털 회로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Datasheet 를 읽고 분석하는 능력과 원하는 회로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2. 준비물 Inverter(74HC04) : 8 개 NAND gate(74HC00) : 3 개 NOR gate(74HC02) : 3 개 AND gate(74HC08) : 3 개 OR gate(74HC32) : 3 개 7-Segment : 3 개 BCD Decoder (74LS47) : 3 개 BCD 카운터...2021.10.06· 4페이지 -
중앙대학교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3-2) A+ 7차예비보고서-논리함수와 게이트 6페이지
1. 실험 목적여러 종류의 게이트의 기능을 측정하여 실험적으로 이해한다.2. 준비물스위치 : 2 개AND gate (74HC08) : 2 개OR gate (74HC32) : 1 개Inverter (74HC04) : 2 개NAND gate(74HC00) : 1 개NOR gate(74HC02) : 1 개XOR gate (74HC86) : 1 개오실로스코프 : 1 대브레드보드 : 1 개파워서플라이 : 1 대함수발생기 : 1 대점퍼선 : 다수3-2 NAND 게이트 설계 및 특성 분석(A) Vcc 를 5V(논리값 1)에서 0V(논리값 0)로...2021.10.06·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