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득심리학 ) 자신의 경험을 대상으로 하여 설득 원칙의 유용성과 위험성을 분석하시오.
본 내용은
"
설득심리학 ) 자신의 경험을 대상으로 하여 설득 원칙의 유용성과 위험성을 분석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10
문서 내 토픽
  • 1. 상호성의 원칙
    상호성의 원칙은 하나하나가 타당하다고 여겨지는 것으로, 누군가가 호의를 베풀면 그 호의는 부담으로 인식되어 반드시 갚고자 하는 인간의 보편적인 현상을 말한다. 상호성의 원칙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상호성은 모든 설득의 기술을 압도한다는 것이다. 사회적 판단이나 신뢰받는 권위로 설득하려고 해도 상호성 즉, 호의가 우선한다는 것이며, 둘째, 상호성은 내가 원하지 않은 상태에서 받은 호의에도 적용되므로 내가 대상을 선택할 수 없다는 것이다. 내가 원치 않는 사람에게 호의를 받으면 그에 대해 갚아야 한다는 부채 의식이 생긴다는 것으로, 내가 좋아하지 않은 사람에게 호의를 받는다면 좋고 싫음과 상관없이 우리는 호의를 갚게 된다는 것이다. 셋째, 상호성의 원칙은 내가 받은 것보다 훨씬 더 큰 호의를 줄 수 있다는 것으로 불편한 느낌에서 빨리 벗어나고자 하는 인간의 심리로 훨씬 더 큰 호의를 앞장서서 베풀거나 그런 부탁을 받았을 때 흔쾌히 응할 때에 발생하며, 호의를 받은 사람이 호의를 베푼 사람에게 반드시 갚고자 하는 현상을 말한다. 상호성의 원칙의 위험성은 다른 사람의 호의나 선물, 초대 등이 결코 공짜가 아닌 미래에 내가 갚아야 할 빚이라는 사실이며, 이러한 원칙은 일생 생활에서 상대방을 빚진 상태로 만들거나 마트에서는 시식한 음식이 별로 마음에 들지 않아도 제품을 구매하게 되는 사례에서 찾아볼 수 있다.
  • 2. 희소성의 원칙
    희소성의 원칙은 주변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어떤 부부가 가전제품 사러 대리점을 방문했을 때 마음에 드는 냉장고를 발견했지만, 점원이 그 냉장고 모델은 20분 전에 다른 손님에게 팔려 재고가 없다고 말하면서 다른 대리점에 알아보겠다고 하면서 구할 수 있으면 구매하겠냐고 물어보는 경우를 말한다. 평상시 우리는 소비하는 데 있어 '한정판매' 나 '시간제한' 등 어떤 물건을 한정판매로 인해 서두르지 않으면 그 기회를 놓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우리는 맹목적으로 선택하게 되고, 빠르게 발전하는 과학기술 시대에 새로 나오는 수많은 정보가 우리의 능력으로는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없고, 우리는 단편적인 정보에 의해 지름길 선택방식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있다.
  • 3. 일관성의 원칙
    일관성의 원칙은 우리가 행동한 것이 일관되게 보이도록 행동하려 하는 맹목적인 욕구를 말하며, 우리가 어떤 선택이나 입장에서 일치하게 행동해야 한다는 심리적인 부담으로 우리가 이전에 취한 선택이나 입장이 정당화되는 방향으로 행동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일관성의 원칙에 관한 사례를 보면 어떤 사람이 해변에서 일광욕을 즐기던 중 아무런 말도 없이 그 자리에 라디오를 두고 떠났을 때 다른 사람이 그 라디오를 훔쳐 가려는 상황을 보고 주위 사람들이 그 도둑을 저지하지는 않았지만, 라디오를 봐달라고 이야기하면 주위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도둑을 쫓아가며 저지하는 때도 있다. 또한, 자선단체들이 처음에 인터뷰에 응하게 하지만 나중에는 결국 전 재산을 헌금하게 만드는 것처럼 일관성으로 그 이후의 행동들을 자동으로 조정하고, 어떤 일에 개입하여 특정한 태도를 보이면 결정된 입장에 따라 일관적으로 행동하게 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상호성의 원칙
    상호성의 원칙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원칙에 따르면, 우리는 다른 사람들에게 베푼 것만큼 그들로부터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상호성은 신뢰와 호혜성을 바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사회 구성원들 간의 협력과 조화를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상호성은 개인의 자아실현과 성장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상호성이 지나치게 강조되면 개인의 자율성과 독립성이 침해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희소성의 원칙
    희소성의 원칙은 경제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인간의 욕구가 무한한 반면 자원은 제한적이라는 사실을 나타냅니다. 이 원칙에 따르면, 우리는 항상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되며, 어떤 것을 선택하면 다른 것을 포기해야 합니다. 이는 개인과 사회 모두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개인적으로는 자신의 가치관과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고, 효율적으로 자원을 배분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으로는 희소자원의 공정한 분배와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 수립이 필요합니다. 다만 희소성의 원칙이 지나치게 강조되면 개인과 사회의 균형이 깨질 수 있으므로, 다른 원칙들과의 조화를 모색해야 합니다.
  • 3. 일관성의 원칙
    일관성의 원칙은 개인과 조직의 행동과 의사결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원칙에 따르면, 우리는 자신의 가치관, 신념, 태도 등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실천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신뢰와 존경을 받을 수 있으며, 자신의 정체성을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관성은 의사결정의 효율성과 예측가능성을 높여줍니다. 그러나 지나친 일관성은 융통성 부족과 경직성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른 적절한 유연성도 필요합니다. 결국 일관성과 유연성의 적절한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