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Pv6가 만들어진 이유와, IPv4와의 차이점을 상세히 기술하라
본 내용은
"
IPv6가 만들어진 이유와, IPv4와의 차이점을 상세히 기술하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03
문서 내 토픽
-
1. IPv4IPv4 주소체계는 계층 구조로 32bit 주소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호스트를 찾아가기 위해서 사용하는 구조이다. IPv4의 몇 가지 구성요소로 Network Address, HOST Address, SUB NET MASK 등이 있다.
-
2. IPv6 등장 배경국제인터넷 표준화 기구인 IETF에서는 2008년부터 2011년 사이 IPv4가 고갈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라 IP next generation이라는 그룹을 만들어서 1994년부터 활동했고, 1995년 표준이 제안됨에 따라 IPv6가 등장하게 되었다.
-
3. IPv6IPv6 프로토콜은 기본적인 IPv6 헤더와 IPv6의 확장 헤더로 구분된다. IPv6 주소는 128bit 길이로 이루어져 있고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유니캐스트 등 세 가지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IPv6 변환기술에서 사용하는 유니캐스트 주소에는 IPv6 호환 주소와 IPv4에만 호환되는 호스트를 나타내는 IPv6에 대응한 IPv4 주소가 있다.
-
4. IPv4와 IPv6 차이IPv4는 32bit 주소 길이로 8bit씩 3부분으로 10진수로 표기하며, 주소할당은 약 43억 개로 품질 보장이 곤란하다. 반면 IPv6는 128bit로 16bit씩 여덟 부분으로 구분해 16진수로 표기하며, 주소할당은 거의 무한대라고 할 수 있고 품질 보장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
1. IPv4IPv4는 1980년대 말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인터넷 프로토콜로, 32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합니다. IPv4는 인터넷 보급 초기에 큰 역할을 했지만, 주소 공간의 한계로 인해 새로운 프로토콜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IPv4는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점차 IPv6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
2. IPv6 등장 배경IPv4의 주소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Pv6가 등장했습니다. IPv4는 32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하여 약 43억 개의 주소를 제공하지만, 이는 급격한 인터넷 보급과 사물인터넷(IoT) 기기의 증가로 인해 부족해졌습니다. IPv6는 128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하여 약 340조 개의 주소를 제공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IPv6는 보안, 품질 서비스, 이동성 등 다양한 기능 향상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3. IPv6IPv6는 IPv4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입니다. IPv6는 128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하여 IPv4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주소 공간을 제공합니다. 또한 보안, 품질 서비스, 이동성 등 다양한 기능이 향상되었습니다. IPv6는 점차 IPv4를 대체하고 있으며, 사물인터넷(IoT) 등 새로운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IPv4와의 호환성 문제, 전환 비용 등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습니다.
-
4. IPv4와 IPv6 차이IPv4와 IPv6의 가장 큰 차이는 주소 체계입니다. IPv4는 32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하여 약 43억 개의 주소를 제공하지만, IPv6는 128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하여 약 340조 개의 주소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IPv6는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IPv6는 보안, 품질 서비스, 이동성 등 다양한 기능이 향상되었습니다. 하지만 IPv4와의 호환성 문제, 전환 비용 등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IPv6는 미래 인터넷 발전을 위해 필수적인 프로토콜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