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분만 1기 시뮬2024.10.191. 분만 단계와 간호 1.1. 분만 1기 간호 1.1.1. 산부의 안녕 산부의 안녕은 분만 과정에서 산부의 신체적, 정서적 안전과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산부의 안녕을 위해서는 방광 관리, 수분 공급, 지지간호 등이 필요하다. 먼저, 방광 관리는 분만 과정 중 중요한 부분이다. 자궁 수축으로 인한 태아의 하강은 방광을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2-3시간 간격으로 적절한 배뇨를 유도해야 한다. 방광이 팽만되면 태아 하강을 방해하고 자궁 수축을 저해할 수 있으며, 산욕기 요정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산부가 ...2024.10.19
-
분만과정과 관련된 지식부족2024.10.191. 분만과정과 관련된 지식부족 1.1. 간호 사정 1.1.1. 주관적 자료 대상자는 "내진 너무 싫어요, 너무 아픈데 안하면 안될까요?"라고 말하며 내진 시술에 대한 두려움과 통증을 호소하였다. 대상자는 또한 "무통주사 맞고 싶은데, 아기한테 악영향이 많다고 하던데 맞아도 괜찮나요?"라며 경막외 마취에 대한 잘못된 지식을 보였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분만과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1.1.2. 객관적 자료 입원 당시 대상자의 객관적 자료는 다음과 같다. 통증으로 인해 앓는 소리를 내며 움직이지 못하고 있었다....2024.10.19
-
모성간호 실습 제왕절개 간호진단 케이스 분석2024.10.161. 분만의 5요소 1.1. 태아 (passenger) 태아(passenger)는 분만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태아의 두개골, 태위, 태세, 선진부 등은 분만 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태아의 두개골은 2개의 두정골(parietal bone), 2개의 측두골(temporal bone), 1개의 전두골(frontal bone), 1개의 후두골(occipital bone)로 구성되어 있다. 이 뼈들은 막으로 된 봉합으로 연결되어 있고, 시상봉합(sagittal suture), 후두봉합(lambdoid...2024.10.16
-
분만2기 간호과정2025.03.191. 분만 1기 간호 1.1. 증상 1.1.1. 경관 소실 경관 소실은 분만 1기 동안 자궁경관이 짧아지면서 얇아져서 종잇장처럼 들어올려지는 과정이다. 초임부의 경우 경관 소실이 먼저 이루어지고 이후 경관 개대가 일어나지만, 경산부의 경우 경관 소실과 개대가 동시에 일어난다. 경관 소실 정도는 0%부터 100%까지 표시되며, 이는 분만이 얼마나 진행되었는지를 알려준다. 경관 소실이 진행되면서 자궁경관이 얇아지고 확장되어 아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따라서 경관 소실의 정도를 확인하는 것은 분만 진행 상황을 파악하는 ...202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