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2개
-
심장생리학문제2024.09.111. 생리학의 개요 1.1. 생명의 특성 생명의 특성은 대사, 성장, 생식, 적응, 유기적 체제, 운동 등 6가지로 나뉜다. 대사는 생명체가 자신의 구성 성분을 분해하고 합성하는 과정으로, 생명체가 생존하고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생명체는 끊임없이 에너지와 물질을 교환하며 생명 활동을 영위한다. 성장은 생물체의 부피와 무게가 커지는 현상으로, 세포의 분열과 증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생명체는 크기와 체형이 변화하며 발달한다. 생식은 새로운 개체를 만들어내는 과정이다. 생명체는 유성생식이나 무성생식을 통해 ...2024.09.11
-
혈류속도2024.09.191. 혈액순환과 순환계질환 1.1. 총단면적과 혈류 속도 단면적이란 혈관을 잘랐을 때 단면의 면적을 의미한다. 혈관이 굵을수록 단면적이 크다. 대동맥이나 대정맥은 굵기 때문에 단면적이 크지만, 모세혈관은 단면적이 가장 작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총' 단면적이다. 총단면적은 모세혈관이 가장 크다. 이는 모세혈관이 육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가느다랗지만, 엄청나게 많이 가지쳐 있기 때문이다. 대동맥에서 가지쳐서 온몸 곳곳으로 퍼져나간 모세혈관의 단면적을 모두 합치면 그 총면적이 가장 크다. 총단면적과 혈류 속도는 반비례한다....2024.09.19
-
임상병리 생리2024.09.271. 임상병리검사학 1.1. 임상병리학의 정의와 주요 분야 임상병리학은 기초과학과 기초의학을 바탕으로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대변, 체액 및 조직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주요 분야로는 임상화학, 임상혈액학, 임상면역학, 임상미생물학, 임상생리학, 면역혈액학, 수혈의학, 세포유전학, 진단분자유전학, 조직병리학 등이 있다. 이러한 검사 업무를 실시하는 전문인을 임상병리사라고 한다. 1.2. 임상병리사의 업무 임상병리사의 업무는 다음과 같다. 임상병리사는 질...2024.09.27
-
심장 혈액계의 구조와 기능2024.10.231. 순환계의 구조와 기능 1.1. 혈액의 조성 및 작용 1.1.1. 혈액의 조성 혈액은 액체 성분인 혈장과 세포 성분인 적혈구, 백혈구 및 혈소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혈장은 약 90%가 물로 되어 있으며, 단백질, 지방질, 당, 무기염류 등이 용해되어 있다. 혈장 단백질 중 가장 많은 것은 알부민이고,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피브리노겐과 항체인 감마글로블린도 포함되어 있다. 혈장 단백질은 혈액의 삼투압을 유지하고 pH 변화를 완충하는 기능을 한다. 혈장 중의 당은 대부분 포도당이며, 그 농도는 약 0.1%이다. 적혈구는 중앙...2024.10.23
-
주혈편모충2024.10.071. 기생충 검사 방법 1.1. 현미경 사용법 현미경은 기생충 검사 시 매우 중요한 도구이다. 현미경의 올바른 사용법을 익히는 것이 필수적이다. 현미경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회전 대물부에는 서로 다른 성능의 여러 대물 렌즈가 고정되어 있어 관찰 도중 이를 사용할 수 있다. 재물대 클립은 깔유리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대물 렌즈는 관측 대상물에서 나오는 빛을 포착하여 그 빛을 수렴함으로써 상을 반전된 상태로 확대시켜 맺히게 한다. 집광기는 보통 2개의 렌즈로 이루어진 광학 시스템으로 램프가 내보내는 빛을 관찰 대상물에 ...2024.10.07
-
비뇨생식기계 구조와 병태생리 분석2024.10.101. 신장의 구조와 기능 1.1. 신장의 해부학적 구조 1.1.1. 신장의 위치와 크기 신장은 척추를 따라 좌우 하나씩 존재하는 후복막성 장기로, 좌신이 우신보다 약간 높게 위치한다. 신장은 제11, 12 흉추에서 제3 요추 사이에 있으며, 오른쪽 신장은 간의 오른쪽 엽에 눌리기 때문에 왼쪽 신장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 신장의 크기는 길이 약 11cm, 너비 약 6cm, 두께 약 2.5cm 정도이며, 무게는 체중의 약 0.5%에 해당하는 110~150g 정도이다. 1.1.2. 신장의 내부 구조 신장의 내부 구조는 ...2024.10.10
-
혈류 속도 변화율2024.10.101. 심장과 혈관의 해부와 생리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무게 300g 정도의 근육기관으로 길이 12.5cm, 폭 7.5cm 정도이며 성인의 주먹 크기만 한 크기이다. 심장은 세로칸(종격동)의 중앙과 흉곽의 왼쪽에 위치하며, 아래쪽에는 가로막(횡경막)이 있고, 가로막 위에 심장끝(심첨, apex)이 앞쪽을 향하고 있다. 심장의 기저부(base)는 약 3번째 갈비뼈 정도에 위치한다. 심장은 좌우 사이막(중격)으로 분리되어 각각 심방과 심실로 구성된 4개의 방이 있으며, 1분간 72회 정도로 박동한다. 심장 박동 시 1...2024.10.10
-
심부정맥혈전증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과 간호과정2024.11.07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구조 1.1.1. 심방과 심실 심장의 구조에서 심방과 심실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심장은 크게 두 개의 심방(atrium)과 두 개의 심실(ventricle)로 구성된다. 우심방(right atrium)은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으로부터 정맥혈을 받아들이며, 우심실(right ventricle)은 우심방으로부터 정맥혈을 받아 폐동맥을 통해 폐로 보낸다. 한편, 좌심방(left atrium)은 4개의 폐정맥으로부터 동맥혈을 받아들이고, 좌심실(left ventricle)은 좌심방으로부터 ...2024.11.07
-
성인간호학 사전학습 순환기계2024.11.151. 순환기계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구조 및 기능 심장은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기능은 노폐물을 제거하고 산소와 영양분을 전달하는 것이다. 심장은 2번째~5번째 늑간 사이에 위치하며, 복장뼈 정중선에서 오른쪽으로 1/3, 왼쪽으로 2/3 정도 비스듬히 양쪽 폐 사이와 횡경막 위 mediastinum(종격동) 내에 자리잡고 있다. 심장은 2개의 심방과 2개의 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4개의 판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방실판막(AVvalves;atrioventricularvalves)에는 삼첨판과 승모판(bicuspid...2024.11.15
-
해부학 요약2024.11.291. 해부학과 생리학의 기본 개념 1.1. 해부학적 용어와 기본 개념 해부학적 용어와 기본 개념은 인체를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필수적인 지식이다. 해부학적 자세는 양쪽 발을 앞뒤로 일직선이 되게 모으고 똑바로 서서 눈은 앞의 수평면을 바라보며 양팔은 손바닥을 앞으로 향하게 한 채 자연스럽게 늘어뜨리고 있는 자세이다. 단면에는 정중단면, 가로단면, 관상단면, 시상단면이 있으며, 위치에 따라 내측과 외측, 근위와 원위, 장측과 배측, 저측과 배측으로 구분된다. 움직임에는 굴곡, 신전, 과신전, 내전, 외전, 회선, 회전, 회내, 회...2024.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