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0개
-
문맥순환2024.12.111. 혈액순환계 1.1. 대순환계 1.1.1. 체순환 체순환은 심장의 좌심실 수축에 의해 좌심실을 나오는 혈액이 대동맥과 동맥을 지나 온몸의 조직과 기관에 있는 모세혈관에 이르러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흡수하여 정맥혈이 되어 정맥과 대정맥을 거쳐 우심방으로 되돌아오는 과정이다. 즉, 좌심실→ 대동맥→ 전신의 머리와 가슴 팔의 세동맥→ 위대.아래대정맥→ 우심방까지의 경로를 거치는 혈액순환이다. 체순환은 심장의 좌심실이 수축하면서 시작된다. 좌심실에서 나온 혈액은 대동맥을 거쳐 전신으로 흘러나간다. 대동맥은...2024.12.11
-
성인간호 현문사2024.09.291. 항상성 유지 1.1. 체액과 전해질 1.1.1. 체액과 전해질 생리 체액과 전해질 생리는 신체의 항상성 유지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체액은 성인 체중의 55~60%를 차지하는 신체의 가장 풍부한 구성 요소이다. 체액은 크게 세포내액(intracellular fluid, ICF)과 세포외액(extracellular fluid, ECF)으로 나뉘며, 전해질은 이들 체액 구간에 녹아 있는 염류 및 광물질 입자로서 전기를 띤 이온이다. 세포내액은 총 체액의 2/3를 차지하며, 체중의 40%에 해당한다. 세포내액은 세...2024.09.29
-
혈구 관찰실험2024.09.261. 혈액의 이해 1.1. 혈액의 구성 혈액은 혈관 속을 흐르는 붉은 액상의 조직으로, 혈장과 혈구로 구성되어 있다. 혈장은 혈액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는 노리끼리한 액체로, 주성분은 물(92%)이며 단백질, 영양소, 노폐물 등이 녹아 있다. 혈장은 영양소, 노폐물, 이산화탄소 등을 운반하며 혈액 응고와 체온 조절에 관여한다. 혈구는 혈액의 나머지 50%를 차지하며,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된다. 적혈구는 수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백혈구는 면역체계를 구성하는 ...2024.09.26
-
생리학 문제2024.10.271. 생리학 개요 1.1. 항상성과 체액의 조성 생명체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외부 환경 속에서도 내부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생존하려 노력한다. 이를 "항상성"이라고 한다. 항상성은 음성되먹임 기전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내부 환경의 변화가 감지되면 그 변화를 최소화하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체온 조절 과정에서 체온이 올라가면 이를 감지하여 발한과 혈관 확장으로 체온을 낮추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인체는 세포내액과 세포외액으로 구성된 체액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세포내액은 전체 체액의 4...2024.10.27
-
임상병리2024.09.191. 임상병리검사의 이해 1.1. 임상병리검사의 정의와 목적 임상병리검사는 기초과학, 기초의학을 사용해서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대변, 체액 및 조직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환자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사하여 질병의 진단과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이다. 1.2. 임상병리검사의 분야 임상병리검사의 분야는 다음과 같다" 임상병리검사는 기초과학, 기초의학을 사용하여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대변, 체액 및 조직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2024.09.19
-
수혈간호2024.09.281. 수혈의 개념과 목적 1.1. 수혈의 정의 수혈은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고 혈액의 산소운반능력을 증강시키며 혈액 응고인자를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즉, 수혈은 혈액 성분이 부족하거나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 필요한 혈액을 공급하여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의료 행위를 의미한다. 1.2. 수혈의 목적 수혈의 목적은 첫째,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고 둘째, 부족된 응고인자를 보충하여 혈액을 교정하며 셋째, 빈혈 환자의 산소운반 능력을 증가시키고 넷째, 수혈 받는 동안에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부작용 발생 시 적절히 대처하기 위함이다....2024.09.28
-
수혈간호 관리 및 부작용 대응2024.09.281. 공혈자 선별 1.1. 주관적 자료 공혈자의 건강상태는 수혈자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공혈자의 주관적 자료에는 공혈자의 병력과 감염 및 질병 노출 여부, 약물 복용 상태 등이 포함된다" 공혈자가 콩팥질환, 호흡계 질환, 간질환, 출혈성질환, 뇌전증 등의 병력이 있는 경우 수혈자에게 해당 질병이 전파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공혈자가 최근 전염성 질환에 노출되었거나 감염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수혈자에게 위험을 줄 수 있다" 공혈자가 천식을 포함한 알레르기, 바이러스 간염 또는 간염 환자와의 접촉, 혈액투석 경험,...2024.09.28
-
루미놀 lmg2024.09.151. 혈액의 특성을 알기 위한 루미놀 반응 실험 1.1. 서론 1.1.1. 연구 동기 및 목적 현대과학으로 인간의 장기를 대신할 수 있는 인공 장기와 인공 심장 등을 만들 수 있게 되었지만, 인공 혈액을 만들어내는 것은 아직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연구자의 궁금증이 생겼다"이다. 그 이유는 혈액이 소화를 통해 만들어진 영양분을 전신에 공급하고, 노폐물을 콩팥으로 운반하며, 신체의 수분함량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하는데, 현대 과학기술로는 이러한 복합적인 기능을 인공적으로 구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혈액이 헤모글로빈을 통해...2024.09.15
-
혈액형 판정 실험 A2024.09.111. 혈구 관찰 및 혈액형 판정 1.1. 서론 1.1.1. 혈액의 구성과 기능 혈액은 체내를 순환하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체액이다. 혈액은 크게 세포 성분인 혈구와 액체 성분인 혈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혈구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포함되며, 혈장에는 다양한 영양분, 호르몬, 면역물질 등이 용해되어 있다. 적혈구는 혈액 중 약 45%를 차지하는 가장 많은 세포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적혈구는 가운데가 오목한 원반 모양을 하고 있으며, 핵이 없는 대신 헤모글로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붉은색을 띤...2024.09.11
-
인체구조와기능 문제2024.09.291. 인체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혈관계통 1.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순환계의 중심 기관으로, 혈액을 온몸으로 보내고 공급받아 체내 모든 조직과 기관에 산소와 영양분을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심장은 주름 모양의 근육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에 심방, 하부에 심실이 있다. 심장은 네 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부에 있는 오른쪽 심방과 왼쪽 심방, 하부에 있는 오른쪽 심실과 왼쪽 심실이 그것이다. 이를 통해 심장은 폐로부터 공급받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온몸으로 보내고, 온몸의 정맥으로부터 돌아온 혈액...2024.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