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4개
-
부동으로 낙상의 위험 진단명2024.11.151. 간호 진단 및 중재 1.1. 신체 기능 저하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대상자는 진단명 파킨슨병으로 인해 신체 기능이 저하되어 있어 낙상의 위험성이 높은 상태이다. 파킨슨병은 근육의 경직, 떨림, 운동 둔화 등의 증상으로 인해 자세 불안정, 균형감 저하, 보행 장애 등이 나타난다. 이로 인해 대상자는 어지럼증,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을 호소하고 있으며, 과거력상 1년 전 우측 대퇴골 골절로 인한 수술 후 대부분의 시간을 침상에 누워 지내고 있어 신체기능이 더욱 저하된 상태이다. 또한 대상자는 파킨슨병 약물인 levodopa를 ...2024.11.15
-
colostomy2024.11.241. 간호과정 1.1. 간호사정 1.1.1. 일반적 특성 나장루님은 74세의 여성으로, 3개월 전 ascending colon cancer를 진단받고 부분 상행결장절제술을 시행하고 상행결장루술을 시행한 후 퇴원한 상태이다. 입원 당시 최근 2주일 간 결장루를 통하여 배출되는 분변에서 냄새가 심하며 가스가 많이 생기고 분변량이 늘어났다고 하였으며, 결장루가 자주 새어나와 사회생활에 문제가 발생한다는 심한 우울감을 표현하였다. 또한 장루로 인하여 삶을 더 이상 살고 싶지 않다고 호소하였다. 나장루님은 3개월 전 ascending c...2024.11.24
-
간호 소화기계 저널2024.09.28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Johns Hopkins University의 Cynthia Sears 박사는 2022년 미국 암 연구학회 저널 'Cancer Discovery'에서 심한 설사를 유발하는 Clostridium difficile이 대장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쥐 실험에서 C. Difficile이 포함되지 않은 생물막 샘플에 감염된 쥐는 종양이 형성되지 않았으나, C. Difficile이 포함된 생물막 샘플에 감염된 쥐는 종양이 형성되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해당 균주에 대한 잠복감...2024.09.28
-
DLBCL2025.05.201. 서론 다발성 거대 B세포 림프종(DLBCL)은 비호지킨 림프종 중 가장 흔한 유형이다. DLBCL은 성인에게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진행이 빠른 편에 속하는 림프종이다. DLBCL은 림프절 이외에도 위장관, 고환, 피부, 뼈, 뇌 등 여러 부위에 침범할 수 있다. DLBCL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바이러스 감염, 자가면역질환, 면역력 저하 등이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DLBCL 환자는 림프절 종대, 발열, 야간 발한, 체중감소 등의 증상을 경험할 수 있으며, 조직검사와 영상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DLBC...2025.05.20
-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2025.05.211.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1.1. 간호 사정 1.1.1. 대상자 정보 신생아 김OO(쌍둥이중 두 번째)는 2019년 3월 17일에 재태기간 32주+5일로 출생하였으며, 성별은 여아이다. 혈액형은 O형이다. 출생 시 체중은 1200g이었고, 현재 체중은 1910g이다. 출생신장은 39cm이며, 출생두위는 27.5cm이다. 분만 형태는 제왕절개수술이다. 진단명은 미숙아이다. 1.1.2. 호흡, 수유, 배변/배뇨 상태 신생아는 출생 후 규칙적이지 않은 호흡을 보이고 있다. chest retraction이 관찰되었으며,...2025.05.21
-
내뇌출혈 EVD 간호진단2025.06.031. 내뇌출혈 EVD 간호진단 1.1. 두개 내 손상과 관련된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 뇌 조직의 혈액 공급이 감소되어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상태이다. 대상자의 의식 수준이 낮고 GCS 점수가 3점으로 중증 의식 저하를 보이고 있어 뇌압 상승의 위험이 있다. 수술 후 뇌내압 모니터링을 위해 삽입된 EVD의 배액 양상을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활력징후 및 신경학적 증상 악화를 지속적으로 사정한다. 침상머리를 30도 이상 유지하여 뇌로의 정맥 환류를 증가시키고 뇌부종을 예방한다. 또한 처방에 따라 삼투성 이뇨제인 mannitol...2025.06.03
-
아동 심실중격결손 케이스스터디2025.04.071. 서론 1.1. 사례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 사례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심실중격결손증이 가장 흔한 선천성 심장 질환이며,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신생아 중환자실로 전실하는 신생아 케이스를 쉽게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심실중격결손증은 폐동맥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및 다양한 호흡기 질환을 동반할 수 있는 질환이므로 예방보다는 합병증의 위험을 줄이고 환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가 더욱 중요하다. 1.2. 심실중격결손증의 정의와 특성 심실중격결손증은 좌심실과 우심실 사이의 중간 벽(중격)에 구멍(결손)이 있는...2025.04.07
-
의식수준저하와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성 간호진단2025.05.071. 의식수준저하와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성 간호진단 의식수준저하와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성 의식수준저하와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는 뇌졸중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이다. 장기간의 부동으로 인한 피부의 압박과 마찰로 인해 피부 손상 및 욕창 발생의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이는 환자의 건강상태와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간호사의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뇌졸중 환자는 의식저하, 운동기능 장애, 감각저하 등의 신경학적 결손으로 인해 스스로 움직이기 어려워 장기간 침대에 누워있게 된다. 이로 인해 특히...2025.05.07
-
신체보호대와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위험2025.04.061. 서론 1.1. 신체보호대와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신체보호대와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는 신체보호대 적용 부위에 발적 및 상처가 발생하는 것으로, 과도한 움직임과 관련되어 있다. 신체보호대는 대상자 및 주변 사람들이 다치지 않도록 적용하며, 장기간 착용 시 피부 통합성 장애의 위험이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하고, 뼈 돌출 부위를 지지해주며, 신체 보호대를 최소화하고 주기적으로 제거해주어야 한다. 또한 공기 매트리스를 적용하여 압박을 줄이고,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체보호대 적용 시 ...2025.04.06
-
면역력 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과정2024.10.111. 간호진단과 관리 1.1. 면역력 저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1.1.1. 환자 사정 대상자의 면역력 저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을 확인하기 위해 환자 사정을 진행하였다. 대상자는 Lt. breast cancer로 4차 5-FU(fluoruracil) CTx 치료 중이며, Rt. chemoport 삽입으로 주 1일 1회 tegaderm 드레싱을 하고 있었다. 대상자는 BT 37.3도(Mild fever)로 미열을 동반하고 있었다. 혈액검사 결과, WBC(White Blood Cell) 3020/μl, ANC(Absolute Ne...2024.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