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BJT 기본특성 예비2025.04.081. 실험 개요 1.1. BJT의 기본 동작 원리 BJT는 N형과 P형 반도체를 샌드위치 모양으로 접합하여 만든 3단자 소자이다. 특히 베이스 단자에 흐르는 전류가 컬렉터와 이미터 단자의 전류를 증폭하는 특성이 있어 증폭기로 사용된다. BJT는 npn형과 pnp형 두 가지 구조로 나뉜다. npn형은 이미터가 N형, 베이스가 P형, 컬렉터가 N형이며, pnp형은 그 반대 구조이다. BJT에는 베이스-이미터 접합(EBJ)과 베이스-컬렉터 접합(CBJ)이 존재하며, 이 PN 접합의 바이어스 상태에 따라 4가지 동작 영역(차단, 능동...2025.04.08
-
중앙대 전자회로설계실습결과보고서Op2025.03.261. 서론 1.1. 중앙대 전자회로설계실습결과보고서 이번 실험을 통해 이론적으로 설계했던 Op amp가 실제로는 어떻게 동작하는지,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알아보았다. Inverting Amplifier, Non-inverting Amplifier를 이용한 회로를 직접 설계하고 오실로스코프로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전압이 실제로 증폭되는 수치를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결과 Function generator를 200mVpp로 잘못 설정해서 400mVpp로 측정되었는데, 만약 100mVpp로 설정했다면, 20...2025.03.26
-
울산대 전기전자2025.03.101. 발진기 회로의 동작 원리 1.1. RC 결합 발진기 안정화 발진기의 한 종류인 RC 결합 발진기는 저항과 커패시터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저항과 커패시터의 시정수에 의해 발진 주기가 결정되며, 이를 이용하여 일정한 주기를 갖는 정현파나 구형파를 출력할 수 있다. RC 결합 발진기는 저항과 커패시터로 구성된 RC 네트워크에 증폭기를 연결하여 구현한다. 증폭기의 출력이 RC 네트워크의 입력으로 되돌려져 적절한 위상차와 이득을 가지면 발진이 발생한다. 증폭기의 전압이득이 1보다 크고 위상천이가 180도가 되도록 설계하면 발진...2025.03.10
-
출력 단 회로2025.04.17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본 실험은 BJT를 이용하여 다양한 출력단 회로를 설계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Class-A, Class-B, Class-AB 출력단 회로를 구성하고 각각의 입출력 전압 관계, 전력 특성, 효율 등을 측정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출력단 증폭기의 동작 원리와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BJT 출력단 회로의 설계와 특성 분석을 위해 입력-출력 전압 관계, 전력 소모, 효율 등을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였다. Class-A, Class-B,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