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0개
-
오마하2024.10.091. 서론 1.1. 당뇨병의 정의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고혈당이 특징인 대사 장애로서 인슐린의 수요와 공급이 서로 맞지 않는 불균형 상태이다. 즉 인슐린의 결핍에 의해 지방 및 단백질 대사에 이상을 동반하는 혈당 상승이 특징인 당질 대사 장애이다." 1.2. 당뇨병의 병태생리 혈액에 있는 포도당이 세포 내로 들어가서 힘을 내게 하기 위해서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필요하다. 당뇨병은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경우에 혈액에 있는 포도당이 세포 내로 들어가기 못해서 혈액 중에 당이 비정상적으로...2024.10.09
-
지역사회 오마하 당뇨병 간호진단2024.11.151. 오마하체계 소개 1.1. 문제분류틀 오마하체계의 문제분류틀은 대상자의 건강 관련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고안된 포괄적이고 순서적이며 상호배타적인 분류법이다. 문제분류틀은 총 4개의 수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수준은 '영역'으로, 지역사회건강 실무자의 우선순위 영역과 대상자의 건강 관련 문제를 나타내는 4개의 영역인 환경, 심리사회, 생리, 건강관련행위로 분류된다. 두 번째 수준은 '영역별 문제'로, 현재나 미래에 개인이나 가족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총 44개의 대상자 문제를 나타낸다. 이를 통해 대상자...2024.11.15
-
복수 관련 비효율적 호흡양상 관리법2024.11.121. 간호과정 1.1. 간호사정 1.1.1. 주관적 자료 대상자는 "배가 너무 커져서 숨쉬기가 힘들어요.", "아이고, 숨차다.", "자꾸 배에 물이 차요."라고 호소하며 주관적으로 복부팽만과 호흡곤란을 호소하였다"." 1.1.2. 객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에 따르면, 대상자의 Dx(진단)은 Liver cirrhosis(간경변증)이며, 부종과 복부팽만이 관찰되었고 복부 타진 시 탁음이 들렸다"" 대상자의 복부 둘레(AC, Abdominal Circumference)는 96.5cm였으며, Abdomen Supine/Erect & A...2024.11.12
-
당뇨발 절단 케이스2024.08.151. 서론 1.1. 당뇨병의 정의와 중요성 당뇨병은 인슐린의 부족과 분비장애, 작용결함으로 발생하는 대사 장애를 일으키는 만성 질환이다. 인슐린은 정상적으로 하루 40~50단위가 분비되며,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대사를 적절히 조절한다. 인슐린이 부족하면 고혈당증, 고지혈증과 함께 케톤을 생산하고, 포도당과 아미노산 흡수가 저하되며 지방조직의 분해로 인해 혈중유리지방산이 증가한다. 제2형 당뇨병은 이자의 β-세포에서 인슐린분비장애나 인슐린 표적세포막 수용체의 저항 때문에 발생한다. 인슐린저항은 인슐린에 대한 조직의 감수성이 저...2024.08.15
-
인공신장실 임상 실습개요 및 목표2024.08.161. 서론 1.1. 혈액투석 환자 관리의 중요성 혈액투석 환자 관리의 중요성이다. 혈액투석은 1960년대부터 만성신부전의 신대체요법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노인 인구의 증가로 신장 질환의 주요 원인인 당뇨병과 고혈압 환자가 늘고 있어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대한신장학회의 발표에 따르면 2018년 혈액투석 환자 수는 9만 901명으로 2014년 대비 22.8% 증가했다.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 대부분은 매회 4~5시간씩 일주일에 2~3회 혹은 그 이상으로 투석을 받는다. 이처럼 혈액투석은 만성 신부전 환자의 생활...2024.08.16
-
stomach cancer2024.08.161. 서론 1.1. 위암 환자의 간호과정 위암 환자의 간호과정은 일반적인 암 환자 간호와 유사하나, 위암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간호진단으로는 암세포 복막전이와 관련된 만성통증,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폐부종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 양상 등이 포함된다. 이에 따라 통증 관리, 감염 예방, 호흡 증진 등의 간호중재가 요구된다. 우선 통증 관리를 위해 NRS 척도를 활용하여 통증의 양상을 사정하고, 약물 및 비약물적 중재를 병행한다. 진통제 투여와 더불어 온찜질, TENS 등의 비약물적 ...2024.08.16
-
신장이식 간호진단2024.08.151. 서론 1.1. 만성신부전의 중요성 만성신부전은 지속적으로 신장 기능이 저하되어 결국 말기 신부전에 이르게 되는 질환이다. 만성신부전은 만성적이고 비가역적인 상태로, 신기능의 15% 미만까지 떨어지게 되면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하며 생명유지가 어려워진다. 이처럼 만성신부전은 환자에게 심각한 상태를 초래하고 사망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만성신부전 환자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1년 ...2024.08.15
-
부비동염 간호진단2024.09.0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인간의 코는 숨을 쉬는 가장 큰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냄새 맡기, 온도와 습도의 조절, 공기 정화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비인후계에 문제가 생기면 숨을 쉬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비동염 환자를 대상으로 해당 질환의 병태생리와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중재, 합병증 및 예후 등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만성 부비동염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사례를 분석하여 간호과정을 기술함으로써 부비동염 환자의 효...2024.09.01
-
당뇨병 지역사회 case2024.12.04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는 현재, 30세 이상의 성인 10명 중 1.2명이 당뇨병 환자(당뇨병 유병률 12.4%)이며, 약 400만명이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당뇨병 전단계까지 범위를 넓히면 더 많아지는데, 성인 10명 중 2명이 당뇨병 전단계(공복혈당장애 유병률 19.3%) 상태인 것으로 분석된다. 종합하면 성인 10명 중 3.2명이 당뇨병 환자이거나 잠재적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당뇨병 환자 10명 중 3명은 본인이 당뇨병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2024.12.04
-
자간전증 CASE2024.12.101. 병력 및 건강 상태 1.1. 일반적 특성 대상자인 OOO는 38세의 임신 36주 3일된 여성으로, 전원 당시 "조산기로 라보파 쓰다가 숨차고 폐에 물차서 왔어요"라고 주 증상과 입원동기를 밝혔다. 진단명은 preterm labor without delivery와 mild preeclampsia이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입원 일시는 9월 21일이며, 분만예정일(EDC)은 2021년 10월 26일이다. 결혼상태는 기혼이며, 가족은 부, 모, 배우자 총 3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1.2. 월경력 초경은 12세였고,...202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