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트랜지스터의 작동원리2025.06.051. 트랜지스터의 작동원리 1.1. 다이오드의 작동원리와 종류 다이오드는 진공관(또는 방전관) 다이오드와 반도체 다이오드가 있다. 진공관 다이오드는 양극(陽極:anode)이 음극(陰極:cathode)에 대하여 매우 큰 음전압(陰電壓)을 갖게 되면 전압파괴 현상이 일어나서 진공용기 속에서 공간을 통하여 방전을 일으키거나 용기의 벽(壁)을 따라 방전하며, 음극으로부터 방출된 열전자(熱電子)에 의한 전자전류가 흐르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반도체 다이오드는 게르마늄이나 실리콘[비소]과 같은 반도체 결정표면에 텅스텐 또는 백금합금과 같은 ...2025.06.05
-
슈미트 트리거 opamp2024.11.111. 전자회로실험 1.1. 실험 목적 Op-amp 칩에 전원을 공급할 줄 알고, 각 핀의 사용법을 이해하고 익히는 것이 이 실험의 첫 번째 목적이다. 또한 Op-amp를 활용한 대표적인 응용 회로들의 동작을 이해하고 실험으로 확인하는 것이 이 실험의 두 번째 목적이다. Op-amp 칩의 각 핀의 사용법을 익히고, Op-amp를 활용한 주요 응용 회로들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며, 이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1.2. 이론적 배경 1.2.1. Op-amp 칩 연산증폭기는 아래 그림 2.1(a)와 같은 칩 형...2024.11.11
-
능동 다이오드 212024.11.231. 능동 다이오드 회로 실험 1.1. 실험 개요 본 실험은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반파정류, 전파정류회로 및 피크값 검출회로들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능동 소자인 연산증폭기와 수동 소자인 저항, 다이오드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능동 다이오드 회로를 구현하고 그 동작 특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연산증폭기의 피드백 회로 설계 및 응용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이번 실험의 주요 목표이다. 1.2. 실험 원리 학습 1.2.1. 능동 다이오드 회로 1.2.1.1. 포화 능동 반파정류회로 포화 능...2024.11.23
-
능동 다이오드 회로 실험2024.11.231. 능동 다이오드 회로 실험 1.1. 실험 목적 '1.1. 실험 목적'은 본 실험을 통해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반파정류, 전파정류회로 및 피크값 검출회로들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능동 다이오드 회로에 익숙해지고, 다이오드 오프셋 전압 효과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또한 연산증폭기와 다이오드를 결합한 능동 다이오드 회로의 작동 원리를 심도 있게 이해하게 된다. 1.2. 실험 원리 1.2.1. 능동 다이오드 회로 1.2.1.1. 포화 능동 반파정류회로 '1.2...2024.11.23
-
연산증폭기2024.09.031. 연산증폭기 기본 특성 1.1. 연산증폭기의 전압이득 연산증폭기의 전압이득은 연산증폭기의 가장 중요한 성능지표 중 하나이다. 연산증폭기의 전압이득은 입력전압에 대한 출력전압의 비율로 정의되며,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경우 무한대의 전압이득을 가진다. 실제 연산증폭기의 경우 전압이득이 무한대가 아니라 유한한 값을 가지며, 이는 연산증폭기의 설계 및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와 비선형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연산증폭기의 전압이득은 200V/V 정도의 값을 가지며, 최소 50V/V 이상의 전압이득을 가져야 한다....2024.09.03
-
pspice 결과2024.09.101. PSpice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1.1. 실험 결과 이번 실험에서는 PSpice라는 전자회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가 나타났다. 실제 실험에서 측정한 값과 PSpice 시뮬레이션 결과, 이론값을 비교해 보았을 때 모두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먼저 저항이 각각 200Ω, 330Ω, 470Ω일 때 실제 실험을 통해 측정한 전압값은 VR1 = 1.0312V, VR2 = 1.6798V, VR3 = 2.4137V이며 전류값은 5.21mA로 나타났다. 이를 PSpice 시뮬...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