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개
-
영양불균형 간호진단2024.10.041. 간호과정 1.1. 간호 진단 1: 생물학적 요인(장운동 저하)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신체 요구량보다 적음 1.1.1. 간호 사정 대상자의 간호 사정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수술 후 장운동 저하로 인한 영양불균형을 보이고 있다. 입원 당시 대상자의 몸무게는 63.1kg이었으며, 수술 후 점차 감소하여 11월 24일 58.83kg까지 저하되었다. 11월 20일부터 11월 24일까지 금식 상태였으며, 11월 25일부터 전유동식(미음)을 섭취하기 시작하였다. 수분 섭취량이 적고 소화기능이 저하되어 영양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사료된...2024.10.04
-
용혈성 요독 증후군2024.09.291. 서론 1.1. 배경 정보 간신증후군(Hepatorenal syndrome)은 진행된 간경변증의 합병증으로 나타나는 급성 신손상이다. 간경화, 간문맥 고혈압 및 복수가 있는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며, 신장 내 혈관 수축과는 반대로 신장 외의 혈관들은 혈관이 확장되는 특징이 있다. 말초 혈관내 저항의 감소에 대한 보상 반응으로 혈류량이 증가되고 심박출량이 증가되어 실제 간경화 환자에서 혈액 순환이 항진되어 나타난다. 이와 함께 신장내 혈류량 저하는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와 교감신경계를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키고 항이뇨호르몬...2024.09.29
-
적혈구침강속도2024.11.051. 적혈구 침강 속도 1.1. 적혈구 침강 속도의 정의 적혈구 침강 속도는 "정해진 시간 동안 시험관 내에서 적혈구가 혈장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한 거리"를 의미한다. 항응고제가 혼합된 정맥혈을 시험관에 넣고 일정 시간 수직으로 놓았을 때 적혈구가 혈장으로부터 분리되어 시험관 아래로 가라앉게 되는데, 이렇게 시간당 이동한 적혈구의 침강 선까지의 거리를 적혈구 침강속도(ESR)라고 한다. 적혈구 침강속도는 적혈구 침강에 작용하는 피브리노겐(fibrinogen)과 같은 인자와 침강에 반하는 적혈구 사이의 음전하(zeta potenti...2024.11.05
-
혈액검사 결과 분석 및 해석2024.09.191. 혈액검사의 종류와 의미 1.1. 일반혈액검사 1.1.1. 백혈구(WBC) 백혈구(WBC)는 전혈 1㎣당 백혈구의 수를 측정하는 검사이다. 이 검사는 일반혈액검사(CBC)의 일부분으로 선별검사에 활용되며, 염증이나 감염의 징후를 확인하거나 백혈병, 자가면역질환, 알러지 등을 진단하는 데 사용된다. 정상 범위는 4,000~10,000/㎕이며, 이를 벗어나는 경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증가의 원인으로는 감염, 조직 파괴, 악성 종양, 혈액 질환, 대사 질환, 알러지, 약물 사용, 스트레스 등이 있다...2024.09.19
-
성인간호학 실습: 간신증후군 및 간경화 간호진단2024.09.261. 서론 간은 몸에서 담즙 생산, 탄수화물 대사, 지방 대사, 단백질 대사, 응고인자 생산, 스테로이드 대사, 순환 기능, 식균작용, 해독작용 등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는 장기로 문제가 생기면 복수, 정맥류, 간성혼수 등으로 인해 생명에 위협까지 이르게 되는 예가 많다. 서울의료원에서 간과 관련된 진단으로 입원해계시는 분들이 많고, 간신증후군이라는 진단명이 생소했지만 간질환에서 진행되어 간신증후군을 앓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어 공부하고자 해당 질환을 주제로 선택했다. 2. hepatorenal syndrome 정의 및 ...2024.09.26
-
임상화학2024.10.281. 탄수화물 (Glucose) 1.1. 포도당의 특성 및 기능 포도당(Glucose)은 인체의 1차 에너지 원료로, 인체 내 대사의 주요 작용으로 일반적으로 혈당이란 혈중 포도당의 농도를 의미하며 단위는 mg/dL를 사용한다. 포도당은 단당류에 속하며, 탄수화물의 한 종류이다. 탄수화물은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로 분류되는데, 단당류에는 포도당, 과당, 갈락토스가 있고, 이당류는 설탕, 유당, 엿당으로 구성되며, 다당류는 녹말, 식이섬유, 글리코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당류의 구성 성분으로 설탕은 포도당과 과당, 유당(젖당)...2024.10.28
-
수액 알부민2024.12.021. 전해질의 개념 1.1. 체액 성인의 경우 체중의 55~60%가 수분으로 이루어진다. 체액은 크게 세포내액(Intracellular fluid, ICF)과 세포외액(extracellular fluid, ECF)으로 구분된다. 세포내액은 세포 내에 존재하는 수분으로 생명현상의 본체가 되는 모든 생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는 곳이다. 세포외액은 세포를 둘러싸고 있어 산소와 영양공급, 노폐물제거, 전해질 농도를 유지시켜 세포기능을 원활하게 한다. 세포외액은 다시 혈장, 간질액, 세포횡단액(뇌척수액, 늑막액 등)으로 구분된다. 전체 체...2024.12.02
-
검사 이상소견2025.05.081. 서론 1.1. 담낭염 및 담석증의 정의와 관련 신체기관 담낭(쓸개)은 복막으로 둘러싸여 있는 낭창(주머니) 모양의 기관이며,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할 때 십이지장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담도는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이 배출되는 통로로, 총담관, 담낭관, 담낭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담낭은 담즙이 체내에 저장되어 있다가 십이지장으로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며, 총담관은 간에서 생성된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배출되는 가장 큰 담도이다. 따라서 담낭염과 담석증은 담낭과 담도 계통에 발생하는 질환이다. ...2025.05.08
-
아동간호학 사전학습 활력징후2025.04.301. 아동간호학 활력징후 1.1. 활력징후의 중요성 활력징후는 아동의 생체기능을 측정하고 모니터링하는 매우 중요한 방법이다. 외래 방문하는 모든 아동에게 매 방문 때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해야 하고, 입원 아동은 하루 동안 내내 지속적으로 측정해야 한다. 활력징후를 통해 아동의 전반적인 건강과 질병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체온, 맥박, 호흡, 혈압과 같은 활력징후 측정은 아동의 생리적 상태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필수적인 간호행위이다. 특히 어린 영유아의 경...2025.04.30
-
A 간경변증 케이스 스터디2025.05.221. 간경화증(Liver cirrhosis) 문헌고찰 1.1. 간경화증(Liver cirrhosis) 정의 간경화증(Liver cirrhosis)이란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간세포 괴사로 인해 간 실질의 섬유화와 소결절이 발생된 상태를 말한다. 간경변증은 간세포의 장애와 결합조직의 증가에 의한 간세포의 경화 축소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간 기능의 저하로 인해 여러 가지 합병증을 동반하고 호전과 악화를 거듭하면서 사망을 초래하게 된다. 간경변증의 주요 원인으로는 알콜섭취, 영양부족(비타민, 단백질, 에너지), 약물 및 화학물질(예: 납)의...2025.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