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2개
-
의식수준 사정 및 단계2024.09.231. 신경계 중환자 간호 1.1. 의식상태 사정 1.1.1. 의식수준 평가 의식수준 평가는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을 확인하여 대상자의 의식 상태를 사정하는 것이다. 환자의 주소, 담당의사명, 현재 날짜와 장소, 자신의 질병 등에 대한 진술 능력을 통해 의식수준을 평가한다. 의식을 활성화하는 부위의 손상 정도에 따라 의식수준이 달라지며, 의식이 저하된 경우에는 이름을 크게 부르거나 통증을 유발시켜 반응을 확인한다. 의식상태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도구로 Glasgow Coma Scale(GCS)을 많이 사용...2024.09.23
-
심전도2024.10.141.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1.1. 정의와 목적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시간 경과에 따라 기록한 것이다. 심장은 심장벽을 구성하는 근육이 자극전도계의 전기적 자극을 받아 규칙적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몸표면의 전극에서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심전도이다. 심전도의 주요 목적은 심장 기능 및 리듬 장애를 진단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심전도 검사를 통해 심장의 리듬 장애, 심근 손상, 전해질 불균형, 약물의...2024.10.14
-
심폐소생술 케이스2024.10.141. 급성 심근경색 1.1. 정의 급성 심근경색이란 관상동맥의 갑작스러운 폐색으로 인해 손상부위의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중 하나이다. 이는 심근손상의 크기와 정도에 따라 심장의 펌프능력에 영향을 주어 심인성 쇼크와 사망에 이르기 때문에 신속한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1.2. 병태생리 급성 심근경색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인해 해당 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가 일어나는 것이다. 관상동맥이 30분 이상 지속적으로 완전히 막히면 허혈 상태의 심근세포에 괴사가 시작된다...2024.10.14
-
전기검사확인2024.10.311. 순환기계 질환과 특수검사 1.1. 용어 및 약어 용어 및 약어는 메디컬 용어와 약어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순환기계 질환과 특수검사 관련 영역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약어들이다. "용어와 약어 정의들은 순환기계 질환과 검사 분야에서 종사하는 의료진들 및 관련 분야 종사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전문 용어들이다. 이는 진단 및 치료 과정에서 정확한 의사소통과 기록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의학 용어와 약어의 정의를 숙지하는 것은 환자의 상태와 치료 계획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핵심적이다. 이를 통해 의료진 간 ...2024.10.31
-
부정맥과 관련된 간호진단2024.10.201. 부정맥 1.1. 정의 및 분류 부정맥은 심장 내 전기신호 발생 혹은 전도에 이상이 초래된 경우, 즉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것을 말한다. 부정맥은 발생 위치에 따라 심방에서 부정맥, 심실에서 부정맥, 동방결절에서 부정맥, 방실결절에서 전도장애로 분류할 수 있다. 심방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에는 심방조기수축, 심방성 발작성 빈맥, 심방조동, 심방세동 등이 있다. 심실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에는 심실조기수축, 심실빈맥, 심실조동, 심실세동 등이 있다. 동방결절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에는 동성빈맥, 동성서맥, 동성부정맥, 동성정지 등이 있다...2024.10.20
-
부정맥 활동지속성장애2024.10.271. 부정맥의 종류와 특징 1.1. 부정맥의 종류 부정맥의 종류에는 3가지가 있다. 맥박수가 100회 이상으로 지나치게 빠른 것을 빈맥, 맥박수가 60회 이하로 느린 것을 서맥, 맥박수는 분당 60-100번으로 정상이지만 불규칙하게 뛰는 불규칙 맥이 있다"" 1.2. Paroxysmal ventricular tachycardia의 특징 Paroxysmal ventricular tachycardia는 심전도 상 전향성 우회로의 전도에 따른 심실조기흥분과 정상 방실결절을 경유한 전도가 fusion되어 delta파형으로 나타나며, 0....2024.10.27
-
심전도 분석2024.09.241. 심전도 기본 1.1. 심전도의 이해 심전도(Electrocardiography)란 심장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활성도를 피부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 기록한 것으로, 심장의 구조 및 기능의 이상을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심전도 기록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Phase 0에서는 탈분극 상태로 심근 세포에 자극이 전달되면서 세포막에 Na+ 이온통로가 열려 세포 밖에서 안으로 Na+이온이 빠르게 유입되며 양전위로 역전된다. Phase 1에서는 Na+ 이온통로가 차단되면서 전위차가 감소한다. Phase 2에서는 K...2024.09.24
-
NSTEMI와 STEMI의 구분2024.09.291.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및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 1.1. 관상동맥질환(CAD)의 정의와 종류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은 관상동맥의 부분적 혹은 완전한 폐쇄로 인해 심장에 공급되는 혈액 및 산소공급이 감소하여 발생하는 장애이다. 관상동맥질환에는 협심증(Angina)과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이 있다.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부분적이고 일시적인 차단으로 인한 가역적인 심근세포의 손상으로, 심...2024.09.29
-
지속성심방세동2024.09.241. 심방세동 1.1. 정의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은 심방 벽에서 발생되는 이소성 자극에 의해 심방의 여러 부위가 빠르고 불규칙적으로 흥분하는 상태로, 지속성 부정맥 중 가장 흔한 질환이다. 심방세동은 심방의 수축이 소실되어 여러 부위가 무질서하게 뛰는데, 이에 대한 심전도 소견은 매우 빠르고 불규칙적인 세동파가 분당 350~600회의 매우 빠른 파형을 만들고, 이로 인하여 불규칙한 맥박을 형성하는 질환이다. 심장은 좌우 심방과 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정상적으로는 심방에서 발생한 전...2024.09.24
-
심전도 부정맥2024.09.181. 부정맥 1.1. 동방결절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1.1.1. 동성빈맥 동성빈맥이란 동방결절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의 한 종류로, 정상 동성 리듬과 동일하지만 심박동수가 빠르게 나타나는 부정맥이다. 동성빈맥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상 동성 리듬과 동일한 형태를 보이지만 심박동수가 100회/분에서 180회/분 사이로 빠르게 나타난다. 둘째, P파는 정상적인 형태를 보이나 T파에 묻혀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셋째, PR간격과 QRS파형은 정상 범위를 보인다. 넷째, 리듬은 규칙적이다. 동성빈맥의 원인은 다양한데...2024.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