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1개
-
디리클레 함수 정의2024.09.301. 미적분학의 발전과 역사 1.1. 서론 1.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수학이라는 학문은 인간이 만들고 발전시킨 학문으로서 다른 어떤 학문보다도 우리의 일상에 밀접히 스며들어 있으며, 소립자의 작용부터 우주의 운행에 이르기까지 세상의 모든 법칙을 정확하게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이처럼 규칙성을 가지고 있는 많은 움직임들은 수학적으로 연구될 수 있는 규칙적인 패턴을 가지고 있다. 그 패턴을 어떻게 수학이라는 도구를 이용해서 표현할 수 있을지를 알게 되기까지 인류에게 2000년 이상의 시간이 걸렸으며, 그 발전 과정에서 가장 강...2024.09.30
-
발칙한 수학책2024.09.121. 소개 발칙한 수학책(최정담) 1. 들어가며 '발칙하다'의 사전적 의미는 "하는 짓이나 말이 매우 버릇없고 막되어 괘씸하다"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이 책의 저자는 수학책에 왜 '발칙하다'라는 표현을 사용했을까? 이 책의 내용을 조금만 봐도 그 의미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게 된다. 보통 수학책에는 어려운 공식부터 복잡한 음과 양의 숫자가 등장할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수학책은 복잡한 수학계산이나 공식이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오히려 저자는 그의 아기자기하고 귀여운 그림과 함께 이해하기 쉬운 설명으로 논리의 흐름에 집중한다. 비...2024.09.12
-
미적분학2024.10.221. 미적분학의 발전과 역사 1.1. 서론 1.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수학이라는 학문은 인간이 만들고 발전시킨 학문으로서 다른 어떤 학문보다도 우리의 일상에 밀접히 스며들어 있으며, 소립자의 작용부터 우주의 운행에 이르기까지 세상의 모든 법칙을 정확하게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미적분학은 고등학교 수학의 핵심이자 대학 수학의 기초로서 여러 자연과학, 공학, 경제학, 사회학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미적분학을 공부하는 대부분의 고등학생들이, 심지어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하는 일부 학생들마저 미적분학을 지...2024.10.22
-
미분과적분의 수학적 개념2024.11.071. 미적분의 역사와 발전 1.1. 미분과 적분의 개념 형성 미분과 적분의 개념 형성은 인류 문명의 역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특히 고대 이집트와 그리스에서 시작된 기하학 및 수학적 개념이 현대 미적분학의 토대가 되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주기적으로 범람하는 나일강의 토지 측량을 위해 구분구적법을 활용하였다. 구분구적법은 곡선으로 이루어진 면적을 작은 삼각형으로 나누어 그 면적을 합산하는 기법으로, 이는 적분 개념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극한 개념도 발전하기 시작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아르키메데스...2024.11.07
-
수학의 쓸모2024.11.201. 수학의 실용성 1.1. AI 시대, 수학의 중요성 AI 시대, 수학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빅데이터와 AI는 우리 삶의 다양한 영역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핵심 기반은 바로 수학이다. 오늘날 우리가 누리고 있는 많은 혜택은 수학에서 비롯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인간이 수학을 잘 활용했기 때문이다. 사회를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수학이라는 장벽에 부딪히곤 하지만, 이를 극복하고자 노력할 필요가 있다. 빅데이터와 AI 기술의 등장으로 수학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의 핵심 기...2024.11.20
-
세계를바꾼17가지 방정식2024.10.081. 역사와 수학의 만남 1.1. 들어가며 최근 수학의 대중화를 이끄는 흥미로운 인문 교양서가 많이 출간되고 있어 매우 다행이라고 느낀다. 수학 대중화를 이끄는 저자들 중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 깊었던 작가는 바로 김민형 교수였다. 그의 저서들은 수학을 대중들이 보다 가볍고 쉽게 접근하게 해주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서 인류의 역사 속에서 수학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여러 문명 속에서 수학이 다른 학문과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며 발전해 왔는지 등에 대해 언급한다. 수학이 때로는 하나의 학파를 만들기도 하고, 때로는 한 시대를 규정...2024.10.08
-
이언 스튜어트2024.12.131. 수학의 역사와 발전 1.1. 도구로서의 수학과 수의 기원 수학은 인간 문명의 발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해왔다. 수학의 시작은 바로 수의 발견에서부터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수렵채집 생활을 하던 원시인들은 개수를 셀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수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개수를 세기 위해 처음에는 물표고나 빗금 눈금과 같은 표시 방식을 사용했다. 이후 정착생활을 하면서 상형문자로 발전하게 되었다. 바빌로니아에 이르러서는 수가 산수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고, 인도와 아라비아를 오가며 경쟁적으로 발전해왔다...2024.12.13
-
라이프니츠가 미적분에 기여한 것2024.11.191. 미적분학의 발전과 역사 1.1. 서론 1.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수학이라는 학문은 인간이 만들고 발전시킨 학문으로서 다른 어떤 학문보다도 우리의 일상에 밀접히 스며들어 있으며, 소립자의 작용부터 우주의 운행에 이르기까지 세상의 모든 법칙을 정확하게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그 중에서 미적분학은 고등학교 수학의 핵심이자 대학 수학의 기초로서 여러 자연과학, 공학, 경제학, 사회학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미적분학을 왜 배워야 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우리의 삶과 얼마나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를 모르는 학생들의 ...2024.11.19
-
실생활에서의 적분활용2024.11.191. 서론 수학은 연산을 비롯해 제작 공정이나 통계, 사회 및 자연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기본이 되는 학문이다. 그중에서도 미분과 적분은 직관적인 이해가 어려우나 다른 학문은 물론 실생활에서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무척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미분이란 잘게 쪼갠다는 의미를 지녔지만, 수학에서 미분은 단순히 등분하는 의미가 아닌 순간적인 변화율을 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y=f(x) 함수의 특정 지점에서 접선의 기울기와도 같은데, 전체 변화율을 함수로 나타내면 도함수가 된다. 따라서 미분을 연산하는 방법은 x에 대한 y...2024.11.19
-
배드민턴 속 수학 원리2024.10.231. 미분법과 적분법의 활용 1.1. 미분법의 역사 17세기 영국의 수학자 뉴턴(Newton, I., 1642~1727)은 움직이는 물체의 위치와 속도를 연구하면서 미분법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그는 이 사실을 발표하지 않았다. 약 10년이 지난 후 독일의 수학자 라이프니츠(Leibniz, G. W., 1646∼1716)는 곡선 위의 한 점에서의 접선을 연구하면서 미분법을 발견하여 세상에 발표하였다. 이로 인해 영국과 독일의 수학자들은 오랜 기간 동안 미분법을 누가 먼저 발견하였는지에 대하여 논쟁을 하였다. 오늘날에는 뉴턴과 라이프...2024.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