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2개
-
아리스토텔레스 덕윤리2024.11.071.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윤리 1.1. 목적론적 세계관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 일반이 모두 어떤 목적을 추구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심지어 물리적인, 무생물적인 영역조차도 나름대로의 자연적 목적을 추구하는 대상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신중하게 행해진 인간의 모든 행위는 그 특성상 목표 지향적 또는 목적을 추구하는 행위이다. 즉, 모든 기술과 탐구, 또한 모든 행위와 결정은 어떤 선을 목표 삼는 것으로 여겨진다. 우리가 행위를 통해서 추구하는 몇몇 목적들 또는 선들은 그 이상의 다른 어떤 선을 얻는 데 필요...2024.11.07
-
신플라톤주의와 어거스틴2025.02.141. 서론 1.1. 신플라톤주의와 어거스틴 신플라톤주의는 플라톤의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킨 학파이다. 플라톤이 제시한 이데아 세계와 현상계의 이원론적 세계관을 더욱 체계화하였다. 신플라톤주의자들은 최고선인 이데아를 '일자(一者)'라고 불렀고, 이 일자로부터 모든 존재가 유출(emanation)된다고 보았다. 일자는 모든 것의 근원이자 절대 실재로, 영원불변하는 완전성을 지닌다. 어거스틴은 초기에 신플라톤주의 사상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플라톤주의에 주목하였다. 신플라톤주의에 따르면 악은 '선'...2025.02.14
-
인간에 관한 가장 타당한 설명과 가장 부당한 설명2024.09.081. 서론 철학은 인간 본성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를 통해 우리가 누구인지, 왜 이렇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답을 찾아내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수많은 철학자들이 인간의 본질을 해석하고자 노력했으며, 그들의 견해는 인간 존재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제시해 왔다. 이는 우리에게 인간이란 무엇인지, 인간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준다. 철학자들이 제시한 인간관 중에는 우리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된 통찰을 제공하는 것도 있지만, 그들의 견해가 지나치게 비관적이거나 단면적으로 보일 때도 있다. 본 글에서는 철학자 데이비드...2024.09.08
-
1. 인간에 관한 가장 타당한 설명이라고 생각되는 견해 하나를 골라, A4지 0.5페이지에 그 견해의 핵심을 요약하고, 0.5페이지에 본인이 그 견해를 옹호하는 이유를 기술합니다. (A4지 총 1페이지, 15점) 2. 이번에는 가장 부당한 설명이라고 생각되는 견해 하나를 골라, A4지 0.5 페이지에 그 견해의 핵심을 요약하고, 0.5페이지에 본인이 그 견해를 수긍할 수 없는 이유를 기술합니다. (A4지 총 1페이지, 15점2024.10.141. 여러 철학자들의 인간관 1.1. 데이비드 흄(David Hume)의 인간관 1.1.1. 이성과 정념의 관계 데이비드 흄은 이성을 감정의 노예로 간주하며, 감정과 이성 사이의 갈등을 중심으로 인간의 행동을 설명한다. 그는 이성과 정념을 구분하면서도 '인류의 행복에 대한 감정과 인류의 불행에 대한 분노'는 좋은 정념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인간이 단기적 이익을 추구하는 경향을 '영혼의 편협함'이라 부르며, 이것이 장기적 이익을 간과하게 만들고 정의로운 행동을 방해한다고 지적했다. 흄은 이성만으로는 의지적 행동을 할 수 없다고...2024.10.14
-
덕윤리2025.03.241. 덕윤리 1.1.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세계관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존재에는 목적이 있고 모든 존재는 이 목적을 향해 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인간은 그 목적을 행위로써 실현하는데, 어떠한 행위의 목적은 좋은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인간의 궁극적인 목적은 바로 최고선인 행복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 일반이 모두 어떤 목적을 추구하고 있으며, 신중하게 행해진 인간의 모든 행위 또한 목표 지향적 또는 목적을 추구하는 행위라고 보았다. 즉, 모든 기술과 탐구, 모든 행위와 결정은 어떤 선을 목표로 삼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2025.03.24
-
플라톤에 대하여2024.10.221. 서론 플라톤의 저서 '국가·정체'에서 스승인 소크라테스를 앞세워 그가 생각한 이상 국가를 상정하며, 국가통치의 핵심 역량과 사상을 기술한다. 그중 이 고대의 사상가가 주창했던 이데아론의 정점인 '좋음의 이데아'란 어떠한 논의 거리와 시사점을 던지는가? 이를 알기 위해 그의 저서를 분석하여 그것이 내포하는 의의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는 좋음의 이데아 개념을 형성하여 철학자 왕의 정당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본질에 대한 강렬한 추구를 보여준다. 좋음의 이데아 개념은 국가의 통치 방법을 설명하는 데에 그 배경을 두고 있으며, 좋...2024.10.22
-
니코마코스 윤리학 요약2025.04.011. 서론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인간의 삶과 행복에 대한 심도있는 탐구와 논의를 담고 있다. 이 책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아들인 니코마코스에게 전하는 도덕 철학적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왜 우리는 살아가는가?', '무엇을 위해 살아가는가?'와 같은 근본적인 물음에 대한 합리적인 대답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 사상은 당대 그리스 사회는 물론 현대 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소개 2.1.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기본 정보 아리스토텔레스는 마케도니아의...2025.04.01
-
니코마코스 윤리학 정의2025.04.011. 니코마코스 윤리학 정의 1.1. 행복의 개념과 실현 가능성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 인간의 모든 행위의 궁극적 목적인 '최고선'을 행복이라고 주장한다. 우리는 행복하기 위해 행위하며, 행복은 수단적 가치나 도구적 가치가 아닌, 궁극적 가치이자 목적격 가치이다. 행복은 '인간만의 것' 이자 '인간만이 추구할 수 있는 것' 그리고 '인간만이 누릴 수 있는 것'이다. 행복은 어떠한 상태가 아니라 오히려 하나의 활동이기에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고유한 기능인 '이성'이 필요하다. 행복은 이러한 이성을 가장 잘 실현할 때 가...2025.04.01
-
행복2024.09.021. 행복의 의미 1.1. 행복에 대한 다양한 관점 행복에 대한 다양한 관점은 사람들마다 그 정의가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누군가에게 행복은 소중한 가정일 수 있고, 다른 이에게 행복은 돈일 수 있다. 이처럼 행복의 의미는 개인마다 다양하게 정의된다. 가정과 돈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돈은 개인을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지만, 가족을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즉, 결국 가정과 돈은 떼어놓을 수 없는 관계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가정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것일까? 그 이유는 유대감, 소속감 등 다양하겠지만...2024.09.02
-
철학의이해: 타당한 인간관 선택2024.09.271. 서론 1.1. 인간의 사회적 본성 인간은 본래 사회적 존재이다. 인간은 단순히 개인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본성을 실현하고 발전해 나간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을 "정치적 동물"이라고 명명하며, 인간이 본성적으로 사회적 존재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인간은 개인의 욕구와 더불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정의와 공공선을 추구하는 경향을 지니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인간은 덕을 실천하고자 하는 자연스러운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신과 공동체의 행복을 실현하고자 한다. 즉, ...2024.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