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6개
-
산염기 표준화2025.03.311. 산염기 표준화 1.1. 일반화학(2) 및 실험 실험 산-염기 용액을 만들고 표준화하여 표준 용액을 제조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일차 표준물질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산-염기 용액을 표준화함으로써 표준용액을 제조한다. 산-염기 표준용액은 용량 분석에서 표준액으로 사용되는 용액이다. 표준물질의 일정량을 측정하여 용매에 녹이고, 적절한 조건으로 조절한 후 이를 표준화하려는 용액을 이용하여 적정한다. 적정에 필요한 부피에 따라 화학량론적 계산을 바탕으로 용액의 농도를 계산한다. 표준물질이 없는 경우, 농도가 정확...2025.03.31
-
기기분석실험 전위차법 중화적정2024.09.081. 중화 적정반응의 이해 1.1. 실험 목적 pH미터기를 이용한 pH보정법과 pH미터기 사용법을 이해하고, 전위차 적정법(Potentiometric titration)을 이용하여 약산 및 다가산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실험 목적이다." 1.2. 실험 이론 1.2.1. 수소이온농도(pH) 수소이온농도(pH)는 용액 1 L 속에 존재하는 수소 이온의 몰수를 의미하며, 용액의 산성, 알칼리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일반적으로 수소이온농도는 매우 작은 단위로 측정이 되기 때문에 상용로그를 이용해 표기한다. pH는 용액의 수소이온...2024.09.08
-
일반화학 개념의 핵심2024.09.05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pH의 개념을 이해하고 pH 측정을 통해 적정 곡선을 그려 종말점과 완충 영역을 알아보는 것이다" 1.2. 실험 원리 이 실험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pH는 수소이온 농도를 지수로 나타낸 것으로 용액의 산성 또는 알칼리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단이다. pH는 -log[H+]로 나타내며, pH 단위가 1만큼 변화하면 [H+]는 10배씩 변한다. 산성 용액은 [H+] > 10^(-7) M이고 pH는 7 미만이며, 중성 용액은 [H+] = 10^(-7) M이고 pH는 7, 염기성 ...2024.09.05
-
산 표준액 조제 및 표정 실험의 목적, 원리, 과정2024.09.061. 산 표준액, 알칼리 표준액 조제 및 표정 1.1. 실험 목적 및 원리 산 표준액, 알칼리 표준액 조제 및 표정의 실험 목적은 산성 또는 염기성 시료의 농도를 정확히 알기 위해 중화반응을 이용하여 표준액을 조제하고 표정하는 것이다. 산성 시료의 경우 알칼리 표준액을, 염기성 시료의 경우 산 표준액을 사용하여 중화반응으로 농도를 측정한다. 순도가 높은 1차 표준물질로 표준액의 농도를 보정하는 작업을 표정이라고 한다. 표정 후 실제 농도와 이론 농도의 비를 나타내는 농도계수(factor)를 계산하여 표준액의 농도를 정확히 알 수...2024.09.06
-
아스코르브산 함량 측정2024.09.061. 서론 1.1. 실험 목적 실험의 목적은 산화-환원 적정법 중 아이오딘 적정법을 이용하여 시판되는 비타민 C 영양제에서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비타민 C 영양제의 질량과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도 실험의 목적에 포함된다. 1.2. 실험 이론 1.2.1. 산화-환원 반응 산화-환원 반응은 전자의 이동을 수반하는 화학 반응으로, 산화는 물질이 산소를 얻거나 수소 또는 전자를 잃는 것을 의미하고, 환원은 물질이 산소를 잃거나 수소 또는 전자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산화와 환원은 항상 함께 일어...2024.09.06
-
생활 속의 산 염기 분석2025.03.241. 실험의 목적 산-염기 중화 반응을 이용해 생활 속의 산과 염기의 농도를 알아내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산과 염기가 반응하면 물과 염이 생성되는 중화반응이 일어난다. 이 중화반응은 화학량론적으로 빨리 일어나기 때문에 중화 적정을 통해 용액 속의 산이나 염기의 농도를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다. 지시약의 색 변화를 이용해 중화 반응의 당량점을 확인하면 반응 물질의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NaOH 용액의 표준화와 식용식초의 아세트산 농도 분석을 진행한다. NaOH 용액을 0.5M 옥살산 표준용액으로 적정...2025.03.24
-
아스피린정량분석2025.01.281. 서론 실험 주제인 '아스피린 정량분석'은 아세트산과 아세틸살리실산을 대상으로 하는 산-염기 적정 실험이다. 이 실험을 통해 몰 농도(M), 산과 염기의 개념을 이해하고, 식초의 아세트산과 아스피린의 아세틸살리실산 함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적정 방법을 활용하여 식초의 아세트산 함량과 아스피린의 아세틸살리실산 함량을 실험적으로 알아볼 것이다. 실험에 이용되는 실험 기구와 시약의 특성에 대해서도 확인할 것이다. 2. 산과 염기의 개념 2.1. 아레니우스의 정의 아레니우스의 정의에 따르면, 산은 수용액에서 수소이온을 생성...2025.01.28
-
분석화학실험 산염기적정2025.03.181. 서론 1.1. 실험 목적 산-염기 중화 반응을 이용하여 표준용액을 제조하고 표정하며, 이를 활용하여 미지의 산 또는 염기 용액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무수 탄산나트륨과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각각 염산과 수산화나트륨 표준용액을 조제하고, 이를 표정하는 과정을 통해 정확한 농도의 표준용액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표준용액을 활용하여 미지의 산 또는 염기 용액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산-염기 적정은 화학 분석에서 많이 사용되는 정량 분석 기법으로, 농도를 알고 있는 산 또는 염기 용액을 이...2025.03.18
-
산 염기 적정 탄산나트륨2025.04.011. 서론 산 염기 적정은 신속하고 정확한 분석법이다. 특히 중화반응을 이용하는 중화적정은 화학물질의 농도와 조성을 알아내는데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중화적정은 산과 염기의 반응에서 발생하는 특징적인 pH 변화를 이용하여 당량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적정 과정에 사용되는 지시약의 색 변화를 관찰하여 종말점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중화적정은 간단하고 신속하게 산 또는 염기의 농도를 결정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탄산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의 혼합물을 대상으로 중화적정을 수행하여 각 성분의 함량을...2025.04.01
-
서강대 분석화학실험2025.04.061. 서론 본 보고서에서는 서강대학교 분석화학실험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실험실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실험 중 흥미로운 주제 몇 가지를 선별하여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암모니아성 질소 측정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겠다. 인도페놀법을 이용하여 암모니아성 질소의 정량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다. 암모니아성 질소는 공장 폐수나 동물 배설물의 분해로 생성되며, 병원성 미생물과 공존하는 경우가 많아 수질 기준에 포함된다. 따라서 이 실험을 통해 한강 상·하류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를 측정하여 수질 오염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인도페...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