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8개
-
능동 다이오드 212024.11.051. 능동 다이오드 회로 실험 1.1. 실험 개요 본 실험은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반파정류, 전파정류회로 및 피크값 검출회로들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능동 다이오드 회로의 다양한 형태인 포화 능동 반파정류회로, 비포화 능동 반파정류회로, 능동 전파정류회로, 능동 피크값 검출회로 등의 동작 원리를 학습하고 이를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또한 회로 설계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이론적 예측과 실험 결과를 비교하고 분석한다. 이를 통해 연산증폭기 기반의 능동 회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실험 능력을 향상시키는...2024.11.05
-
실험2결과보고서.다이오드 동작2024.09.301. 다이오드 특성 1.1. 다이오드의 기본 특성 다이오드는 반도체 소자 중 가장 기본적인 부품이다. 다이오드는 P 형 반도체와 N 형 반도체의 접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소자로서 어느 한 방향으로만 전류를 흘릴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다이오드의 기호와 함께 수 A 정도의 전류를 취급할 수 있는 크기의 다이오드의 외관과 단자명칭은 그림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류는 아노드(anode)에서 캐소드(cathode)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으며 캐소드 측에 가는 띠로 방향표시를 해 주고 있다. 다이오드 양단의 전압과 다이오드를 ...2024.09.30
-
인천대 고체저항2024.09.261. 실험의 개요 및 이론적 배경 1.1. 실험 목적 실험의 목적은 저항기나 다이오드와 같은 전기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이해하고 저항기의 색 띠로 표시된 저항 값과 실험으로 측정한 저항 값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소금물을 이용한 액체저항과 소금의 농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액체저항과 다이오드의 전기적 차이점과 유사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1.2. 전기 소자의 특성 전기 소자는 전기 회로에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부품을 말한다. 이러한 전기 소자에는 저항기, 축전기, 코일,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이 있다. 저항...2024.09.26
-
인천대 정류회로2024.10.281. 개요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전기 회로 내에서 다이오드의 기초적인 작용을 이해하고 교류를 여과하고 정류하는 방법을 실험으로 알아보며, 전파 정류와 반파 정류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다. 또한 정류회로 내에서 축전기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실험의 목적이다. 2. 이론적 배경 2.1. 다이오드의 특성 다이오드는 전기회로에서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는 정류 작용을 하는 핵심 부품이다.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순방향으로는 낮은 저항을 가지고 있지만 역방향으로는 높은 저항...2024.10.28
-
multisim으로 배우는 전자회로 실험2024.10.151. 다이오드의 특성 및 응용 1.1. 다이오드 클리퍼 및 클램퍼 회로 1.1.1. 클리핑 및 클램핑 회로 클리핑 및 클램핑 회로는 신호전압을 일정한 레벨로 위 또는 아래로 잘라내는 다이오드 응용회로이다. 클리퍼 회로는 신호전압의 크기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클램퍼 회로는 교류 신호전압에 직류레벨을 더하거나 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클리퍼 회로에서 입력전압의 양의 반주기 동안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 되며, 이때 출력전압은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과 같아진다. 일반적으로 실용 다이오드 모델을 사용할 경우 출력전압은 대략...2024.10.15
-
boost converter 제작2024.10.031. 전력전자 설계 실습 결과 1.1. Boost Converter 동작 실험 1.1.1. 실험 목적 Boost 컨버터의 원리 및 구조를 이해하고, 간단한 Boost 컨버터를 제작하여 직류 전압을 승압시킬 수 있음을 실험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Boost 컨버터는 입력전압보다 높은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는 승압형 DC-DC 컨버터의 하나로, 주로 입력전압보다 높은 출력 전압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이번 실험에서는 Boost 컨버터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로 Boost 컨버터를 제작하여 입력전압을 승압시킬 수 있음을 ...2024.10.03
-
Xy모드 다이오드2024.10.031. 다이오드 특성 실험 1.1. 다이오드의 전류-전압 특성곡선 관찰 다이오드의 전류-전압 특성곡선을 오실로스코프로 관찰한 결과, 특정 전압에서 그래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커서로 측정한 결과 그 전압은 약 0.6V 부근이었는데, 이는 이론적인 문턱전압인 0.4V~0.7V 사이의 값과 잘 부합하였다. 다이오드는 순방향 전압이 증가할수록 전류 값이 증가하는 특성을 보인다. 순방향 전압이 0.6~0.7V 부근을 지나면서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다이오드의 전류-전압 특성을 잘 보여주는...2024.10.03
-
반파 및 전파 정류2024.10.061. 반파 및 전파 정류 1.1. 반파 정류회로 1.1.1. 반파 정류 동작 원리 반파 정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반파 정류회로는 교류 입력 전압의 양의 반주기 동안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회로이다. 이를 위해 다이오드가 사용된다.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 시 낮은 전압강하로 전류가 흐르지만, 역방향 바이어스 시 높은 저항값으로 인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반파 정류회로에서 교류 입력 전압이 양의 값일 때, 다이오드가 순방향 바이어스되어 전류가 부하 저항을 통해 흐른다. 이때 출력전압은 입력 전압과 같은 극성을 가...2024.10.06
-
실습4.신호발생기 예비보고서2024.10.071. 신호발생기 설계 1.1. 실습 목적 Wien bridge RC 발진기를 이용하여 신호 발생기를 설계, 제작, 측정하며 그 동작을 확인하는 것이 이번 실습의 목적이다. Wien bridge 회로를 이용하여 1.63kHz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진 조건을 만족하는 회로를 설계하며, 다이오드를 활용하여 출력 신호를 안정화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이 이번 실습의 핵심 목표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RC 발진회로의 설계 원리와 발진 조건을 이해하고, 연산증폭기의 특성을 활용하여 원하는 특성의 신호 발생기를 설계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2024.10.07
-
전자공학 면접2024.10.071. 전기, 전자, 반도체 회로 1.1. 역률 역률(力率)은 피상전력에 대한 유효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전력계통에 공급되는 전력 중에서 실제 사용되는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율을 의미한다. 전력 공급 시스템에서는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이 함께 공급되는데, 유효전력은 실제 부하에 공급되어 일을 하는 전력이며, 무효전력은 유도성 또는 용량성 부하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이다. 무효전력은 전력 전송 과정에서 손실을 초래하므로, 이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역률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역률 = 유효전력(P) / 피상전력...2024.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