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9개
-
인체 지레, 각 형에 따른 지레 원리2024.09.291. 지레의 원리와 적용 1.1. 지레의 정의와 종류 지레는 받침점, 힘점, 작용점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된다. 첫째, 받침점이 힘점과 작용점 사이에 있는 1종 지레는 장도리, 가위 등의 예로 볼 수 있다. 이 경우 작용점과 받침점 사이의 거리가 힘점과 받침점 사이의 거리보다 짧아 더 큰 힘을 작용점에 가할 수 있다. 둘째, 작용점이 받침점과 힘점 사이에 있는 2종 지레는 병따개, 손수레 등이 해당한다. 이 경우 힘팔이 저항팔보다 길어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도 큰 무게를 움직일 수 있다. 셋째, 힘점이 받침점과 작용...2024.09.29
-
의학용어2024.09.251. 약물 처방 관련 용어 1.1. 약물 투여 시간 관련 약어 '약물 투여 시간 관련 약어'는 투약 처방 시 흔히 사용되는 약어들로, 약물 투여 시간을 나타내는데 활용된다. 약물 투여 시간 관련 약어에는 'AC(식전)', 'PC(식후)', 'HS(취침 전)', 'QD(하루 1회)', 'BID(하루 2회)', 'TID(하루 3회)', 'QID(하루 4회)' 등이 포함된다. 'ac'는 식전(ante cibum)을 의미하며, 'pc'는 식후(post cibum)를 뜻한다. 'HS'는 취침 시(hora somni)를 나타낸다. 'QD...2024.09.25
-
수문사 기본간호2024.10.021. 간호, 인간, 건강 1.1. 간호의 메타패러다임 간호의 메타패러다임은 인간, 환경, 건강, 간호의 4가지 주요개념으로 구성된다. 이는 간호학의 가장 기본적인 틀이자 핵심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은 생물학적, 심리사회적, 영적으로 상호 연관된 통합된 존재이며,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영향을 주고받는다. 환경은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외적 요인이자 내적 요인으로, 인간과 분리될 수 없는 상호의존적 존재이다. 건강은 단순히 질병이나 장애가 없는 상태뿐만 아니라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 상태를 의미한다. 간호는 인간이...2024.10.02
-
아동간호학 아기방의 온도와 습도조절 어머니 교육2024.09.181. 신생아 간호의 일반적 개요 1.1. 신생아의 생리적 적응 신생아의 생리적 적응"은 태아가 모체에서 떠나 자궁 외 생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변화를 말한다. 이 시기에 신생아는 체온, 피부, 근골격계, 면역체계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의 변화에 적응해야 한다. 첫째, 체온조절 특성의 경우 신생아는 체온 조절을 위해 열을 스스로 생산할 수 있지만 과다한 열손실의 요인을 가지고 있다. 신생아는 체중에 비해 큰 체표면적, 얇은 피하지방층, 비떨림성 열생산 등의 특징으로 인해 체온유지가 어렵다. 따라서 출생 직후에는 급...2024.09.18
-
모성간호 태아발달2024.09.221. 태아의 발달과 성숙 1.1. 배아기 1.1.1. 배아 전 시기 난소에서 난자가 수란관으로 나오는 배란이 되면 수란관 앞부분에서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진다. 이 수정란은 난할을 하면서 자궁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수정이 일어난 지 일주일정도가 지나면 수정란이 자궁내막에 달라붙는다. 이를 임신이 되었다고 한다. 착상이 되면 태반이 만들어져 태아와 모체 사이의 물질 교환이 이루어진다. 태아발달은 수정후의 나이를 사용한다. 태내발달은 배아 전, 배아, 태아의 3단계로 나뉘어 진다. 배아 전 시기에는 세포증식, 배포형성, 배...2024.09.22
-
응급처치 강사 자료 및 골절 케이스2024.10.211. 연부조직 손상 및 근골격계 손상 1.1. 피부의 기능 및 구조 피부는 신체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가장 큰 기관으로, 우리 몸을 보호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피부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신체를 외부의 위험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피부의 표피층은 박테리아나 세균의 침입을 막는 방어벽 역할을 하며, 특히 표피의 가장 바깥층인 각질층은 방수 기능을 하여 수분 손실을 막는다. 또한 피부는 체온 조절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관의 확장과 수축, 그리고 땀샘의 분비를 통해 체온을 조절한다. 감각 기능 또한 피부의 중요한 역할로...2024.10.21
-
의학용어 기말고사2024.11.071. 신체계 및 비뇨계통의 구조와 기능 1.1. 신체계 1.1.1. 골격계 골격계는 뼈와 연골로 이루어진 체내 구조물로, 신체의 지지대이자 보호기능을 하는 중요한 계통이다. 뼈는 체내에서 가장 단단한 조직으로, 크게 피질골과 해면골로 구성되어 있다. 피질골은 뼈의 겉면을 덮고 있는 치밀한 층이고, 해면골은 피질골 내부의 엉성한 구조를 가진다. 해면골은 내장기관을 보호하며, 골수생성의 장소가 되기도 한다. 뼈는 성장이 완료되면 약 206개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이 크게 구분된다. 두개골은 머리 부분을 보호하며, 안면골은 눈, 코...2024.11.07
-
정형외과 약어2024.10.061. 근골격계 용어 1.1. 관절 및 인대 관절은 두 개 이상의 뼈가 만나 연결된 부위로, 관절의 종류에는 경첩관절, 볼과 소켓관절, 활막관절 등이 있다. 관절에는 관절낭, 관절강, 관절윤활막, 관절연골 등의 구조물이 존재하며, 이들은 관절의 기능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관절인대는 뼈와 뼈를 연결하여 관절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섬유성 연부조직이다. 대표적인 관절인대로는 무릎관절의 전방십자인대(ACL), 후방십자인대(PCL), 내측측부인대(MCL), 외측측부인대(LCL) 등이 있다. 이들 인대는 관절의 과도한 움...2024.10.06
-
미숙아 NICU 간호진단 사례 연구2024.11.161. 저체중 신생아 관리 1.1. 저체중 신생아의 정의 저체중 신생아는 출생 시 체중이 2.5kg 미만인 신생아를 의미한다. 이는 재태기간과 상관없이 정의되며, 저체중 신생아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포함된다. 먼저 극소 저체중 출생아는 출생 시 체중이 1.5kg 미만인 신생아를 말하고,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는 1kg 미만인 신생아를 의미한다. 이러한 저체중 신생아의 2/3가 미숙아에 해당한다. 미숙아란 재태기간 37주 미만으로 출생한 신생아를 일컫는다. 즉, 저체중 출생의 대부분은 미숙아에 기인하며, 이들은 신체적, 생리적으로 미성...2024.11.16
-
정형외과 의학용어2024.11.301. 정형외과 용어 1.1. 구조 및 기능 1.1.1. 척추기둥 척추기둥은 인체의 중심축으로, 총 33개의 척추골로 구성되어 있다. 척추골은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골 5개, 미골 4개로 이루어져 있다. 척추기둥은 신체를 지지하고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경추는 목 부분에 위치하며, 두개골과 연결되어 머리의 움직임을 돕는다. 흉추는 가슴 부위에 자리하고 갈비뼈와 연결되어 흉곽을 형성한다. 요추는 허리 부분에 위치하며 체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천골과 미골은 골반 부위에 있으며 골반...2024.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