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9개
-
물리치료 보조기2024.08.291. 재활전문가 1.1. 작업치료사 작업치료사는 육체적, 인지적, 감정적으로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치료와 재활 과정에서 의미 있는 작업을 사용하게 함으로써 건강한 생활과 균형 잡힌 생활방식을 달성하도록 돕는다. 작업치료사는 의미 있는 작업에 접근하거나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다양한 사람들과 일하며, 활동 분석과 적응을 통해 생활에 필요한 기술을 제공한다. 작업치료사는 환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병력, 직업력 등을 면담한다. 이를 바탕으로 환자의 운동능력, 손기능 능력, 감각능력, 인지·지각능력, 구강운동기능능력, 정신·사회기술능...2024.08.29
-
splint cast 종류2025.02.181. 서론 1.1. 스플린트와 캐스트의 개요 및 특성 스플린트는 근골격계 손상 부위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지지하는 장치이다. 스플린트의 목적은 통증을 최소화하고, 근육, 신경, 혈관의 추가 손상을 예방하며, 출혈과 부종을 경감시키는 것이다. 스플린트는 경성부목과 연성부목으로 나뉘며, 상지와 하지에 다양한 종류가 적용된다. 캐스트는 골절된 골편을 정복된 상태로 유지하고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캐스트의 목적은 균일한 압박으로 변형을 예방하고, 조기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관절염 대상자의 관절구축을 예방하고 손상된...2025.02.18
-
건강사정 근골격계2024.12.171. 근골격계 검진 1.1. 건강력 사정 1.1.1. 주요 증상 주요 증상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움직임과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만성 질환은 없으므로 정상이다. 평소 하던 활동이나 동작이 힘들어진 일 없으므로 정상이다. 갑자기 시작된 통풍도 없으므로 정상이다. 엄지발가락, 발목, 하지가 갑자기 아프고 발적이 생기면 통풍을 의심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증상은 없었다. 류마티스 관절염과 건염으로 인한 통증, 아픈 쪽으로 누웠을 때 깜짝 놀랄 정도의 아픔, 아침에 관절이 뻣뻣해지는 증상도 없었다. 골관절염은 관절에 체중부...2024.12.17
-
정형외과 의학용어 약어2025.03.021. 정형외과 의학용어 및 약어 1.1. 구조 및 기능 척추기둥 또는 척추의 구조이다. 경추(C1~C7), 흉추(T1~T12), 요추(L1~L5), 천골, 미골로 구성되며 추간(원)판이 척추체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흉곽은 쇄골, 흉골, 늑골로 이루어져 있다. 상지의 구조로는 척골과 요골이 있으며, 골반은 장골, 좌골, 치골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의 구조로는 대퇴골, 경골, 비골이 있다. 이와 같이 정형외과 분야에서는 신체 각 부위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1.2. 병태생리와 관련된 용어 뼈 관련 용어로는...2025.03.02
-
의학용어2025.03.121. 의학용어 소개 1.1. 약물 투여 시간 관련 약어 AC, ac는 식전을 의미하며, ad lib은 자유롭게 또는 원하는 대로를 의미한다. BID, bid는 하루에 두 번, Daily는 매일을 뜻한다. PC, pc는 식후를 나타내고, p.r.n.은 필요할 때마다를 의미한다. qAM은 매 아침을, h와 hr은 시간을 나타낸다. qh는 매 시간, q2h는 2시간마다, q4h는 4시간마다, q6h는 6시간마다, q8h는 8시간마다를 의미한다. QID, qid는 하루에 네 번, STAT는 즉시, TID, tid는 하루에 세 번을 나타...2025.03.12
-
건강사정요점정리2025.03.221. 건강사정 요점 정리 1.1. 유방과 액와 액와의 검진 시 대상자를 좌위를 취하고 팔꿈치를 약간 구부리게 한 후 검진자의 팔로 대상자의 팔을 지지한다. 액와 체모 여부를 기록하고 액와의 발적, 발진, 덩어리, 도는 병변이 없는지 확인한다. 손가락의 바닥표면으로 액와의 깊은 곳까지 닿도록 하여 탐지할 수 있다. 액와의 전방가장자리(앞쪽), 흉곽을 따라 중앙면(중간), 후방 가장자리(뒤쪽), 상완의 안쪽면(옆)을 조심스럽게 촉진한다. 남성의 유방 시진 시 좌위에서 유방이 편평하고 덩어리나 병소가 없는지 관찰한다. 남성의 유방과...2025.03.22
-
아동간호학 성인과 아동의 생리학적 차이2025.03.291. 성인과 아동의 생리학적 차이 1.1. 고위험 신생아 개요 및 분류 고위험 신생아란 재태 연령이나 출생 시 체중에 관계없이 자궁 밖의 생활에 적응하기 어렵거나 출생과 관련된 문제로 사망률이나 이환율이 평균 이상인 신생아를 의미한다. 고위험 신생아는 출생체중에 따라 저출생 체중아, 극소저출생 체중아, 초극소저출생 체중아로 분류되며, 재태기간에 따라 미숙아, 만숙아, 과숙아로 나뉜다. 또한 자궁 내 성장에 따라 재태기간에 비해 작은 체중아, 재태기간에 비해 큰 체중아로 구분된다. 고위험 신생아와 만삭아를 비교하면, 고위험 신생아는...2025.03.29
-
임신 시기별 변화2025.03.311. 임신 시기별 변화 1.1. 생식기계의 변화 1.1.1. 자궁 자궁은 임신 여성의 중심 기관으로, 임신 기간 동안 눈에 띄는 변화를 겪는다. 임신 초기에는 서양 배 모양의 작은 크기였던 자궁이 점차 증대되어 임신 말기에는 성인 머리 크기에 이르게 된다. 자궁의 모양도 초기 구형에서 점차 난원형으로 변화한다. 임신이 진행되면서 자궁 내막의 혈관이 확장되고 근세포가 증식하여 자궁이 커지게 된다. 자궁의 크기는 임신 7주경에는 큰 달걀 크기, 10주경에는 오렌지 크기, 12주경에는 자몽 크기로 변화한다. 자궁저부의 위치도 임신 주...2025.03.31
-
인체해부학 근골격계2025.01.241. 서론 인체해부학 분야 중에서도 근골격계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근골격계는 뼈, 관절, 근육으로 구성되어 신체의 기본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움직임과 자세를 담당하며, 열 생산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근골격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는 인간의 기본적인 생리적 기능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본고에서는 근골격계의 구조와 기능, 각 구성 요소의 특성 및 역할, 근골격계 질환 등을 살펴봄으로써 근골격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의학 및 보건 분야에서 근골격계의...2025.01.24
-
노인의 근력강화를 위한 저항운동2024.08.311. 노인운동과 재활 1.1. 노인운동 적절한 운동은 노화를 지연시키고 노화과정을 역행시킬 수 있다. 규칙적이고 적당한 운동은 피로를 감소시키고 사람들의 기능을 향상시킨다. 운동은 정신적·신체적인 유익성을 가져오며, 노인의 기력을 증진하고, 만성질환의 영향을 감소시켜며, 질환관리를 촉진한다. 노인에게 운동요법을 적용할 때 운동의 목표는 근력 및 운동능력의 향상보다는 신체기능의 저하를 예방하고 운동을 통한 사회적 활동의 참여와 정신적 건강에 있으므로 안전성, 유효성, 강한 동기 유발 및 비용에 대한 배려를 하면서 운동종목을 선택하는...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