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장염 문헌고찰2024.10.231. 괴사성 장염(Necrotizing enterocolitis) 1.1. 배경 괴사성 장염의 90%는 재태주령 36주 미만의 미숙아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장의 점막(mucosal) 혹은 전층(transmural)의 괴사로 인해 생기는 미숙아의 응급 소화기 질환이다. 괴사성 장염은 만삭아들의 경우 주로 일찍(3-10일) 나타나는 반면, 미숙아들은 비교적 늦게(3-4주) 나타난다. 이는 장관 성숙도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여겨지며, 미숙아의 경우 장관 손상에 더욱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 병태생리학 괴사성 장염의 병태생...2024.10.23
-
신생아 괴사성 장염 사례 연구 보고서2024.09.291. 신생아 괴사성 장염 1.1. 정의 신생아 괴사성 장염은 창자의 일부 조직이 괴사되어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신생아 전체 사망 요인 중 두 번째로 높은 요인이다. 가장 많이 생기는 부위는 결장으로 신생아 괴사성 소아결장염이라고도 부른다. 1500g미만의 신생아에서 7%정도 유병율을 보일 정도로 흔하고, 사망률은 치료하더라도 20~30% 정도로 높은 편이다. 장 점막의 괴사가 다양한 정도로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1.2. 원인 및 병태생리 신생아 괴사성 장염의 원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괴사성 장염 발생에 중요한 ...2024.09.29
-
Elbw2025.07.191. 서론 미숙아, 특히 극소 저체중 출생아(ELBW, Extremely Low Birth Weight)는 호흡기 질환, 뇌 출혈, 감염, 괴사성 장염 등의 문제로 인해 이환률과 사망률이 높다. 이에 따라 ELBW 신생아에게는 초기 단계에서 확실하고 시기적절한 의료 및 간호처치가 요구된다. 또한 ELBW 신생아는 건강한 만삭아와 달리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게 되어 가족과 헤어지게 되므로, 아기뿐만 아니라 가족에 대한 간호중재와 지지도 필요하다. 이번 사례 연구를 통해 ELBW 신생아의 임상적 증상, 치료법 및 간호수행을 학습하여...2025.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