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3개
-
투석 간호진단 혈압2024.10.011. 만성신부전 1.1. 정의 만성신부전이란 신장의 기능이 점진적으로 손상되어 신장이 올바른 대사 평형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주로 긴 시간 동안 지속되는 신장 질환, 약물 남용, 대사 이상, 고혈압, 당뇨병 등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신장의 여과 기능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혈액에서 노폐물과 수분을 충분히 배출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 만성신부전의 병태생리적인 특징이다. 1.2. 병태생리 만성신부전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만성 신부전은 신장의 기능이 점진적으로 손상되어 신장이 올바른 대사 평형을 ...2024.10.01
-
5H5T2024.11.081. 심전도 및 호흡음 1.1. 심전도 1.1.1. 정의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파형으로 나타낸 것으로, 심장근육의 전도를 평가하는 데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심전도는 체표면으로 전달되는 심장 내의 전기적 흐름을 팔, 다리나 가슴의 신체 표면에 전극을 부착시켜 기록한다. 1.1.2. 정상파형 정상파형은 심전도상에서 나타나는 정상적인 파형으로, 심근의 전기적 활동이 잘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정상파형은 P파, QRS군, T파 등 다양한 파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파형은 심장 기능의 특정 단계를 반영한다. P파...2024.11.08
-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 case2024.11.151. 부정맥 1.1. 정의 부정맥이란 심장의 수축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을 말한다. 정상적인 맥박은 심장 내에 위치한 동방 결절(S-A node)에서 발생한 전기적 자극에 의해 심방이 규칙적으로 수축할 때 일어나며, 이 때의 맥박 수는 신경 및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분당 60~100회의 범위에서 규칙적으로 나타난다. 이를 동성 맥박이라고 한다. 하지만 심장의 수축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부정맥이라 정의한다. 1.2. 원인과 병태생리 자율신경계의 불균형으로 인...2024.11.15
-
고칼륨혈증2024.08.261. 전해질 불균형 1.1. 산-염기 불균형 1.1.1. 호흡성 산증 호흡성 산증은 폐에서 이산화탄소를 적절히 제거하지 못해 탄산이 과잉된 상태이다. 이는 호흡근의 마비에 따른 환기 저하, 폐기종이나 마취제 등 연수의 호흡중추가 억제되어 나타날 수 있다. 호흡성 산증의 보상기전은 다음과 같다. 호흡성 산증은 혈액완충제로 수 초 이내에 교정 가능하고, 수 시간 내에 신장은 수소이온을 배출한다. 또한 암모니아 이온(NH4)의 형성과 배출을 하고, 중탄산 이온(HCO3-)의 보유와 염소(Cl-)의 배출로 보상된다. H+와 Na+을 ...2024.08.26
-
고칼륨혈증 케이스2024.12.131. 서론 1.1. 고칼륨혈증의 정의 고칼륨혈증이란 혈중 칼륨 농도가 정상(3.5-5.0mEq/L) 이상 과도하게 상승된 상태로 5.0mEq/L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칼륨은 우리 몸에서 근육과 심장, 신경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데 필수적이고, 칼륨의 약 98%가 세포 내에 존재하므로 세포 내에서 세포 외로 소량만 이동해도 커다란 생리학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1.2. 고칼륨혈증의 원인 고칼륨혈증은 칼륨이 신장을 통해 배설되는 과정에 장애가 생겨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칼륨은 신장을 통해 90% 이상 배설되는데, 신장기능 ...2024.12.13
-
고칼륨혈증2024.10.061. 전해질 불균형 1.1. 산-염기 불균형 1.1.1. 호흡성 산증 호흡성 산증은 폐에서 이산화탄소를 적절히 제거하지 못해 탄산이 과잉된 것이다. 이러한 상태는 호흡근의 마비에 따른 환기 저하, 폐기종이나 마취제 등 연수의 호흡중추가 억제되어 나타날 수 있다."" 호흡성 산증의 보상기전은 다음과 같다. 호흡성 산증은 혈액완충제로 수 초 이내에 교정가능하고, 수 시간 내에 신장은 수소이온을 배출한다. 또한 암모니아 이온(NH4)의 형성과 배출을 하고, 중탄산 이온(HCO3-)의 보유와 염소(Cl-)의 배출로 보상된다. H+와 ...2024.10.06
-
고칼륨혈증2025.06.231. 서론 1.1. 고칼륨혈증의 정의와 특징 고칼륨혈증(Hyperkalemia)의 정의와 특징 고칼륨혈증은 혈청 칼륨(K+) 농도가 정상 범위(3.5~5.0 mEq/L)를 초과하여 5.0 mEq/L 이상으로 증가한 상태를 의미한다. 칼륨은 우리 몸에서 세포 내외의 이온 균형을 유지하고 신경 및 근육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고칼륨혈증이 심해질 경우 심각한 심장 부정맥과 심정지를 유발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고칼륨혈증은 급성(Acute)과 만성(Chronic)으로 구분되며, 그 ...2025.06.23
-
5H5T2025.07.071. 서론 1.1. 응급실 진료와 심전도 응급실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신속히 파악하고 적절한 처치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중에서도 심전도 검사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그래프로 나타내어 심장근육의 상태를 평가하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심전도는 체표면으로 전달되는 심장 내부의 전기적 흐름을 팔, 다리 또는 가슴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 기록한다. 심전도에서는 P파, QRS파, T파 등의 정상적인 파형과 각 간격을 확인할 수 있다. P파는 심방의 탈분극을, QRS파는 심실의 탈분극을, T파는 심실의 재분극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파형과 ...2025.07.07
-
대사성 산증 응급실 케이스2024.09.10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응급실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응급상황이면서 가장 기본적인 처치인 심장마사지, EKG 모니터, 응급약물 들을 공부 할 수 있으며 심정지상태의 병태생리와 필요한 응급간호에 대해서 더욱 깊게 공부하고자 Cardiac arrest 를 케이스로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응급 환자 간호의 중요성과 향상된 간호 실무에 기여할 수 있다."" 1.2. 연구의 목적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응급상황이면서 가장 기본적인 처치인 심장마사지, EKG 모니터, 응급약물 들을 공부 할 수 있으며 심정지상태의...2024.09.10
-
성인 선행2025.04.291. 서론 1.1. 선행 증상의 유형과 특징 저혈당은 내분비계 교감신경계 징후와 신경 저혈당 징후로 나타난다. 내분비계 교감신경계 징후에는 떨림, 발한, 불안정, 신경쇠약, 빈맥, 진전, 심계항진, 배고픔, 감각이상이 포함되며, 신경 저혈당 징후에는 두통, 정신 이상, 집중력 저하, 느린말투, 흐린시야, 혼돈, 비정상적 행동, 기면, 의식 변화, 혼수, 발작, 사망이 포함된다. 이러한 증상들은 혈당이 낮아지면서 발생하는 생리적 반응들이다. 1.2.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원인과 병태생리 당뇨병성 케톤산증(Diabetic Ketoaci...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