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3개
-
kcl 약물2024.08.291. 칼륨 1.1. 기전 칼륨은 세포 내에 존재하는 주된 양이온으로, 세포 내 등장성 유지, 신경 자극 전도, 심근, 골격근, 평활근 수축, 정상적인 신 기능 유지에 필수적이다. 특히 칼륨은 탄수화물 이용과 단백질 합성에 사용되며, 신경전달, 근 수축, 특히 심근 수축에 아주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1.2. 임상적 사용 1.2.1. 저칼륨혈증 치료 저칼륨혈증 치료는 다음과 같다. 우선 digitalis 중독, 가족성 주기적 마비, 당뇨성 산증, 설사 및 구토, 수술 후 질소 소실, 배액, 칼륨 뇨배설 증가 등의 상황에서 ...2024.08.29
-
celluitis2024.09.041. 대상자 기본 정보 1.1. 개인정보 38세 주부인 여성 조○○님은 11/20경 Rt inguinal site mass 촉지되어 observation 하다가 size 커지며 통증이 동반되어 local 방문 하였으나 큰 병원 recom 받아 본원 opd 통해 admition 하였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과 같다. 조○○님은 38세의 여성 주부이다"" 그녀는 Rt inguinal site mass가 있었으며, 이를 치료하기 위해 local 병원을 방문한 뒤 본원에 입원하였다"" 1.2. 건강정보 38세 주부인...2024.09.04
-
불안정한 혈압의 위험 간호과정2024.09.04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EICU에서 실습하면서 신부전 대상자들을 많이 보았기 때문에 신부전에 대해 공부하고 싶어졌다. 이번 사례과정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신부전을 공부하기 가장 적합해 보이는 대상자가 있어 과제를 진행하게 되었다. 신부전의 종류와 증상, 합병증, 치료 방법에 대해 공부하면서 신장 기능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1.2. 대상자 정보 대상자는 91세 여성으로, 내원 당일 오후 4시 넘어서 열이 나고 산소포화도가 82%로 저하되어 119를 통해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평소 요양원에서 생활하던 분으로, 작년 가...2024.09.04
-
고칼륨혈증2025.02.091. 간호사례 보고서 1.1. 대상자 정보 F/72 강씨는 2005년 늑막염으로 치료받은 적이 있으며 당시 S-creatine이 높고 고혈압이 있어 신부전 진단을 받고 외래 방문 중이다. 내원 일주일 전부터 전신쇠약이 심하고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전신 부종이 있었으며 K+ 7.5로 높아 응급투석이 필요하여 입원하였다. 키는 160cm이고 몸무게는 69.4kg이며 과거력으로는 당뇨, 고혈압이 있었고 2009년 대장암 수술을 받았으나 완치 판정을 받았다. 또한 2018년 협심증으로 스텐트 삽입술을 받았고 2019년 좌측 측복부 통...2025.02.09
-
전해질불균형 문제집2024.10.201. 급성 신부전증 1.1. 정의 및 원인 급성 신부전증이란 원인과 관계없이 신장 기능이 수시간에서 수일 내로 갑자기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이는 신장 기능이 떨어져 정상적으로 노폐물이 배설되는 것이 어려워지고, 그 결과 몸 속에 노폐물이 축적되고,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이 깨지게 되는 것이다. 급성 신부전증의 주요한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신전성 원인으로 신장으로 가는 혈류의 감소로 인한 경우이다. 이에는 심한 탈수, 과다 출혈, 화상, 심한 구토, 장기적인 이뇨제 복용, 췌장염이나 복막염, 패혈증 등이 포함된...2024.10.20
-
고칼륨혈증2024.09.191. 전해질 불균형 1.1. 호흡성 산증과 대사성 알칼리증 호흡성 산증은 폐에서 이산화탄소를 적절히 제거하지 못해 탄산이 과잉된 상태이다. 이는 호흡근의 마비에 따른 환기 저하, 폐기종이나 마취제 등 연수의 호흡중추가 억제되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호흡성 산증은 혈액완충제로 수 초 이내에 교정 가능하고, 수 시간 내에 신장은 수소이온을 배출하여 보상된다. 또한 암모니아 이온(NH4)의 형성과 배출, 중탄산 이온(HCO3-)의 보유와 염소(Cl-)의 배출로 보상된다. 호흡성 알칼리증은 탄산의 과다한 소실이 있을 때 발생하며, ...2024.09.19
-
고칼륨혈증 간호진단2024.09.191. 고칼륨혈증(Hyperkalemia) 1.1. 정의 및 원인 고칼륨혈증(Hyperkalemia)은 혈청 칼륨이 5.0 mEq/L 이상 상승한 상태이다. 고칼륨혈증은 콩팥기능이 정상인 사람에게는 드물게 나타나고 급성 콩팥기능상실이 있는 사람의 50% 이상에서 발생한다. 고칼륨혈증의 기본 원인은 콩팥기능 저하와 연관이 있다. 칼륨 배설의 80-90%가 콩팥에 달려 있기 때문에 콩팥기능 저하가 고칼륨혈증의 주된 원인이 된다. 그 외에도 칼륨 정체, 세포 내 칼륨의 과다 유리, 칼륨의 과다 투여 등이 고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2024.09.19
-
성인간호학 정리 전해질불균형2024.09.111. 세포외액과 세포내액의 균형 1.1. 나트륨(Sodium) 1.1.1. 나트륨의 역할 나트륨은 세포외액의 주요 양이온으로, 세포외액의 삼투압 농도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포외액 내 나트륨은 수분 정체와 산-염기 균형 조절에도 핵심적인 영향을 미친다. 나트륨 이온은 수분과 함께 이동하며, 체내 나트륨 양의 조절은 항이뇨 호르몬, 갈증 기전, 신장에서의 나트륨 농축 기전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정상적인 혈장 나트륨 농도는 135~145 mEq/L이며, 체내 나트륨의 대부분은 세포외액 구획에 존재한다. 나트륨...2024.09.11
-
esrd 전해질 불균형, 피로, 무력감, 감염위험성2024.10.301. 말기신부전 ESRD 대상자 사정 1.1. 일반정보 김OO 환자는 74세 남성으로 말기콩팥기능상실(end-stage renal failure, ESRD) 진단을 받고 동정맥루(arteriovenous fistula, AVF) 수술을 받았다. 고혈압과 당뇨의 과거병력이 있으며, 입원 당시 식욕부진으로 진료를 받다가 혈중 크레아티닌이 10.0mg/dL 높게 측정되어 투석이 필요하다는 소견을 받았다. 가족력에서는 특이사항이 없으며, 알러지와 약물 복용력도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입원 당시 의식수준은 명료하였고, 호흡음도 깨끗하였으...2024.10.30
-
심정지 간호과정 사례보고서2024.10.071. 응급, 재난 상황 별 응급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간호중재 분석 1.1. 서론 응급, 재난과 관련된 사례를 찾기 위해 여러가지 영상을 시청하였다. 한 학기동안 배웠던 간호들에 대해 관련된 영상들이 다수 있었지만, 『응급 및 재난간호』 과목을 수강하며 다른 과목에는 느낄 수 없는 남다른 흥미를 느꼈기에 이번 과제도 가장 흥미로운 사례를 하고자 하였다. 그러던 중 올해 초에 심폐소생술 자격증인 BLS를 취득하면서 익혔던 내용이 생각나였고 『응급 및 재난간호』 과목을 통해 심장정지의 원인부터 시작하여 응급약물까지 상세하게 학습하였던 ...2024.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