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4개
-
감염미생물학 중간고사2024.10.011. 병원미생물학 개요 1.1. 병원체의 종류와 특성 1.1.1.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세균에 비해 매우 작은 크기로, 0.01~0.3 ㎛ 수준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렇게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는 사람에게 각종 감염병을 일으키는 주요 병원체 중 하나이다. 바이러스는 DNA 또는 RNA 중 한 종류의 핵산만 가지고 있으며, 스스로 증식할 수 없고 반드시 다른 생물체의 세포 내에서 증식하는 기생체이다. 바이러스의 생활사는 숙주 세포에 부착하여 침투하고, 자신의 유전체를 숙주 세포 안으로 주입하며, 숙주 세포의 기능을 이용...2024.10.01
-
쯔쯔가무시2024.09.281. 서론 동물들과 인간은 과거부터 밀접해 왔으며, 접촉이 늘어나면서 동물에게만 질병을 일으키던 병원체들이 인체에까지 적응하도록 변화한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런 경우를 인수공통전염병이라고 하는데, 사람과 동물이 같은 병원체에 감염되어 질병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인수공통전염병이 전파되는 방식은 모기 등의 절족동물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되기도 하고, 사람의 질병이 동물이나 음식을 통해 또 다른 사람에게로 전파되는 등 전염경로는 다양하다. 현재 전염병들 중 약 70%이상이 동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을철에 ...2024.09.28
-
급성세균성폐렴 케이스2024.10.07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폐렴이란 가장 작은 기도와 폐포를 포함하는 폐실질 조직의 급성염증을 말한다. 폐렴은 급성감염성질환 중에서도 가장 흔하며 치명적인 질병 중 하나이다. 증세는 감기와 비슷하기 때문에 정밀한 검사 없이는 폐렴을 진단하기 어렵다. 폐렴은 연령, 건강상태, 분류에 따라 다양한 임상반응이 나타난다. 폐의 염증으로 인해 폐에 물이 차고 구역질과 가래를 동반하며 심해질 경우 패혈증, 병원체가 혈관을 따라 뇌로 이동하면 뇌수막염의 위험까지 있다. 폐렴으로 인한 기침과 가래로 인한 호흡곤란은 삶의 질을 떨...2024.10.07
-
한센병미생물2024.09.101. 한센병(나병)의 개요 1.1. 정의 한센병(나병)은 인간의 가장 오래된 질병 중 하나로, 한센균(Mycobacterium leprae)에 의해 발생되는 만성 감염성 면역질환이다. 이 질병은 피부, 말초신경계, 상기도의 점막을 침범하여 조직을 변형시킨다. 특히 체온이 낮은 부위인 피부와 눈, 손, 발의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을 주로 침범한다. 한센병이란 명칭은 노르웨이 의사인 한센(Hansen)에 의해 나환자의 결절에서 나균을 처음으로 발견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과거에는 나병, 가라, 풍병, 대풍라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지만, ...2024.09.10
-
쯔쯔가무시 보건교육2024.09.301. 쯔쯔가무시병 1.1. 정의 쯔쯔가무시병은 진드기티푸스, 덤불티푸스, 초원열, 잡목열 등으로도 불리는 발열성 질환이다.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Orientia tsutsugamushi)에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면 그 미생물이 혈액과 림프(액)을 통해 전신에 퍼져 발열과 혈관염을 유발한다. 리케차(Rickettsiae)는 세포 내에 기생해야만 살아갈 수 있는 미생물로 세균보다 약간 작고, 막대 모양 또는 알 모양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리케차 감염증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쯔쯔가무시병도 그 중 하나이다." 1.2....2024.09.30
-
에이즈 사례보고서2024.10.021. 후천성면역결핍증(HIV/AIDS)의 이해 1.1. 개념과 원인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는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로,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AIDS)을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이다. HIV에 감염되면 우리 몸의 면역세포인 CD4 양성 T-림프구가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어 파괴되므로 면역력이 떨어지게 된다. 그 결과 각종 감염성 질환과 종양이 발생하여 사망에 이르게 된다. 이렇게 인체의 면역력이 상당히 저하되어 이러한 감염증과 종양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상태를 에이즈 또는 후천성 면역결핍증이라고...2024.10.02
-
폐렴 병태생리2024.09.101. 폐의 구조와 기능 1.1. 비강, 구강, 후두, 인두, 폐, 기관, 기관지, 후두덮개의 해부학적 구조 비강은 코안이라고도 하며 콧구멍을 통해 들이쉰 공기가 여과 및 가습되는 부분이며, 후각의 역할도 한다. 구강은 입안이라고도 하며 호흡 계통의 이차적인 입구이다. 후두는 기관의 맨 윗부분에 있는 연골로 된 근육질의 관이며, 성대가 들어 있어 발성과 호흡기능을 한다. 인두는 코안을 후두와, 입안을 식도와 연결하는 근막으로 된 통로이며, 호흡과 음식물의 섭취, 발성 등을 가능하게 한다. 기관은 유연하며 식도 앞쪽에 위치하고...2024.09.10
-
간염 문헌고찰2025.05.111. 서론 1.1. 간염의 정의와 원인 간염은 간에 염증이 생겨 간세포가 파괴되는 상태이다. 간염의 원인은 여러 가지이며, 크게 바이러스성 간염, 알코올성 간염, 독성 간염, 자가면역성 간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바이러스성 간염의 경우 A형, B형, C형, D형, E형, G형 바이러스가 주요 원인이 되며, 이들 바이러스가 간 조직에 감염되어 염증을 유발한다. 알코올성 간염은 과도한 음주로 인해 간 실질 조직의 괴사가 발생하여 생기며, 독성 간염은 간독성 물질에 노출되어 발생한다. 또한 자가면역성 간염은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이...2025.05.11
-
폐렴 성인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2025.04.121. 서론 폐렴은 병원성 미생물이 폐에 침입하여 발병하는 폐실질성 급성 감염성 염증이다. 폐렴은 정상 방어기전의 손상, 유발 위험 요인에의 노출, 그리고 폐렴균의 침입으로 인해 발병한다. 폐렴의 전형적인 증상은 발열, 기침, 가래, 호흡곤란 등이며, 병태생리적으로는 폐울혈기, 적색간변기, 회색간변기, 용해기의 과정을 거친다. 폐렴의 진단은 주로 흉부 X선 검사와 혈액배양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항생제 투여가 중심이 된다. 폐렴의 합병증으로는 탈수, 저알부민혈증, 호흡부전 등이 있으며, 예후는 연령과 기초 질환 등의 요인에 따...2025.04.12
-
간호미생물학 문제2024.10.151. 미생물에 의한 감염과 숙주의 방어 1.1. 감염을 유발하는 미생물의 유형 감염을 유발하는 미생물의 유형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등으로 다양하다"" 세균은 감염성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미생물로, 공기, 물, 음식, 신체조직 및 체액을 통해 전파된다"" 정상균무리(normal flora)는 피부, 비강, 구인두, 구강, 장관, 하부 요도, 질 등 신체 부위에 서식하며, 병원성은 없지만 다른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1.2. 감염 유형 1.2.1. 증상발현 범위에 따른 분류 감염은 미생물이 민감한 숙...2024.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