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4개
-
방광염 병태생리2024.09.121. 방광염 1.1. 원인 방광염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그 중 가장 흔한 원인은 세균 감염이다. 특히 대장균(E-coli)이 약 9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장균은 위장관 상주균으로, 항문과 요도구가 인접해 있어 비뇨기 감염을 쉽게 일으킨다. 여성의 경우 요도가 짧고 질과 항문에 가까워 대장균이 방광으로 옮겨가기 쉽기 때문에 감염 위험이 더 크다. 칸디다 감염도 방광염의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는데, 특히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나 당뇨병 등의 만성 질환자에게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요로카테터 사용, 해부학적 ...2024.09.12
-
간호학과 미생물감염 2학기2024.10.311. 바이러스 감염병의 종류와 특성 1.1.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 1.1.1. 병원체 및 감염경로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의 병원체는 변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이다. 사스는 동물 숙주 코로나바이러스 변종에 의해 동물로부터 사람으로 종간의 벽을 넘어 감염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사스 바이러스는 Nidovirales 목, Coronaviridae 과, Betacoronavirus 속에 속한다. 전자현미경 관찰 시 형태가 다양하고, 피막이 있으며 코로나바이러스 특이적인 왕관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2024.10.31
-
감염성 질환 발생2024.11.051. 서 론 감염은 병원성 미생물이 동물이나 식물 등의 숙주 내에서 증식하면서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이 과정에서 숙주의 감염에 대한 대응 능력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감염을 일으키는 원인균에는 바이러스, 미코플라스마, 박테리아, 곰팡이균 기생충 등이 있다. 감염은 질병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게 갑작스럽게 질병을 일으킬 수 있어 그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감염의 기전과 경로, 그리고 감염으로 인한 감염성 질환에 대해서 이해하고 이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감염의 기전과 경로, 감염성 ...2024.11.05
-
간호미생물학2024.10.161. 미생물학 개론 1.1. 미생물의 정의와 특성 미생물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생물체를 통칭하며, 이는 크기와 복잡성에 따라 크게 원핵생물과 진핵생물로 구분된다. 원핵생물은 대표적으로 세균(bacteria)을 포함하며, 진핵생물에는 진균(fungi), 원생생물, 바이러스 등이 포함된다. 세균은 가장 대표적인 미생물로서, 대부분 단세포 생물로 구성되어 있다. 세균은 크기가 0.5-5μm 정도로 매우 작아 현미경으로만 관찰이 가능하며, 세포벽, 세포막, 염색체, 리보솜 등의 기본적인 세포소기관을 가지고 있다. 특...2024.10.16
-
헤르페스 바이러스2024.11.031. 바이러스 감염증 1.1. 단순포진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HSV) 감염증 1.1.1. 유래와 분류 단순포진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HSV)의 유래와 분류는 다음과 같다. 헤르페스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기어간다"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점점 넓어져가는 피부 발진 형태를 묘사한 것이다.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은 생소한 이름이지만 몸의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나타나는 잠복성, 재발성의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이다. 단순포진바이러스는 단순 헤르페스 바이...2024.11.03
-
에이즈 레포트2024.11.201. HIV와 AIDS 1.1. HIV의 정의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로,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을 유발하는 원인 병원체이다. HIV는 인체에 침입하면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 특히 CD4+ T 림프구를 공격하여 그 기능을 파괴함으로써 면역기능을 저하시킨다. 이에 따라 감염인은 각종 기회감염 질환에 걸리기 쉬워지며, 결국 AIDS로 진행하게 된다. HIV는 감염인의 혈액, 정액, 질분비물, 모유 등 체액에 다량 존재하므로, 이러한 체액과의 접촉을 통해 주로 감염된다. ...2024.11.20
-
원충류2024.10.151. 감염경로 1.1. 간접전파방법 1.1.1. 토양 토양은 다양한 기생충의 감염원이 될 수 있다. 특히 회충, 편충, 분선충, 안킬로스토마 속의 선충류와 같은 선충들은 토양 내에서 생활환을 거치기 때문에 토양이 주요 감염경로가 된다. 이들 선충류는 토양 중 존재하는 충란 또는 유충 형태로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다. 토양 내에 존재하는 기생충의 감염경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 토양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감염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회충이나 분선충의 자충포장란이나 편충, 안킬로스토마 속 선충의 사상유충이 토양 중...2024.10.15
-
해부학 소화계통 문제2024.10.151. 병리학 개요 1.1. 병리학의 정의 및 분류 병리학은 우리 인간의 질병에 대한 본질을 연구하는 의학의 한 분야이다. 병리학은 질병의 발생 원리를 밝히기 위한 의학의 가장 기초적인 분야로, 형태학적 변화와 기능적 변화를 연구한다. 병리학의 어원은 그리스어로 질병(disease)을 의미하는 'Pathos'와 학문 또는 과학을 의미하는 'logos'의 합성어이다. 따라서 병리학은 질병의 발생 원리를 밝히기 위한 의학의 기초적인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병리학은 크게 인체병리학과 실험병리학으로 분류된다. 인체병리학은 병의 원인이...2024.10.15
-
코로나 19 개요 및 감염발생 원인과 감염관리2024.10.30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개요 1.1. 정의 코로나바이러스는 외피에 싸여 있는 포지티브 센스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로, 크기는 80~220 nm이다. 외피에 20 nm의 왕관 모양과 같은 돌기가 있어 태양의 코로나(corona)처럼 보이기 때문에 코로나바이러스로 명명되었다.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확산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이다. 중국 정부는 2020년 1월 21일 우한 의료진 15명이 확진 판정을 받...2024.10.30
-
병원성 미생물과 안전관리에 대하여2024.10.301. 병원성 미생물과 감염 관리 1.1. 병원성 미생물의 정의와 특성 1.1.1. 병원성 미생물의 개념 병원성 미생물이란 인간에게 질병을 유발하거나 해를 끼치는 미생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병원성 미생물에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원생동물 등 다양한 종류가 포함된다. 특히 최근에는 항생제 내성균이라는 새로운 종류의 병원성 미생물이 등장하여 큰 우려를 낳고 있다. 이러한 병원성 미생물은 주로 식품이나 환경 중에 존재하며, 인간 활동에 의해 오염된 토양, 물, 공기로부터 유래되고 있다. 이들은 인체 내부에 침입하여 감염을 일으키며...2024.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