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해커스 한국어2024.10.061. 한국어 높임법 교수법 1.1. 주체높임법 1.1.1. 주체높임법이란? 주체높임법이란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것으로, 주로 선어말어미 '-시-'의 사용으로 실현된다. 또한 조사 '께서'의 사용이 동반되며, 일부 높임 어휘가 같이 사용된다. 주체 높임은 선어말어미 '-시-'가 대체로 어느 어간에나 자유롭게 결합하지만 일부 동사와 형용사는 형태적으로 다른 모습을 취하기도 한다. 이러한 어휘로는 '드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 계시다, 편찮으시다'가 있으며 '들다, 잡수다, 편찮다'와 같이 별도의 높임 어휘가 선어말어미 '-시-'와...2024.10.06
-
한국어 문법2025.02.181. 서론 한국어의 높임법은 한국어가 지닌 가장 특징적 현상 중의 하나이다. 모어 화자에 근접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반드시 익혀야 할 중요한 문법 범주이다. 한국어 문법서와 교재에서 높임법이 비중 있게 다루어지면서 초급 단계부터 교육 목표의 중요한 부분을 점하고 있다. 그렇지만 높임법은 한국어 특징적 현상이라는 이유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는 낯설다. 이를 익히는 것이 단순히 문법적 표지나 어휘 항목을 아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그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적절하게 사용...2025.02.18
-
1) 자신이 한국어 교사가 되어 가르칠 문법 항목을 하나 고르십시오(예. ‘-(으)니까’, ‘에서’, ‘-(으)ㅂ시다’, ‘반말’, ‘피동 표현’...). 2) 그 문법을 적용할 교수법을 2주 2차시에 공부한 외국어 교수법 중에서 하나 고르십시오(문법 번역식 교수법, 직접식 교수법, 청각 구두식 교수법, 자연적 접근법, 의사소통식 교수법). 3) 그 문법 항목을 그 교수법을 적용하여 가르치고 싶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4) 그 문법과 교수법을 적용할 때2025.04.131. 자신이 한국어 교사가 되어 가르칠 문법 항목 1.1. '반말' 에 대한 문법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반말과 존대말을 구분하는 문법을 이해하는 것은 학습자가 친구, 가족, 또래와의 대화 등 비공식적인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종종 반말은 형식 문법과 구별되는 뚜렷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반말에서는 동사 어미가 비공식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현재 시제에서 동사 어간 바로 뒤에 '-아/어' 또는 '-지'와 같은 적절한 어미가 올 수 있다. 이는 격식체의 '-아요/어요'와 구분된다. 둘째,...2025.04.13
-
1) 자신이 한국어 교사가 되어 가르칠 문법 항목을 하나 고르십시오(예. ‘-(으)니까’, ‘에서’, ‘-(으)ㅂ시다’, ‘반말’, ‘피동 표현’...). 2) 그 문법을 적용할 교수법을 2주 2차시에 공부한 외국어 교수법 중에서 하나 고르십시오(문법 번역식 교수법, 직접식 교수법, 청각 구두식 교수법, 자연적 접근법, 의사소통식 교수법). 3) 그 문법 항목을 그 교수법을 적용하여 가르치고 싶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4) 그 문법과 교수법을 적용할 때2025.04.131. 자신이 한국어 교사가 되어 가르칠 문법 항목 1.1. '반말' 에 대한 문법 한국어에서 '반말'은 형식 문법과 구별되는 뚜렷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동사 어미에서 비공식 연설에서는 일반 동사 어미를 사용한다. 현재 시제에서는 동사 어간 바로 뒤에 '-아/어' 또는 '-지'와 같은 적절한 어미가 온다. 둘째, 비격식적인 문장은 캐주얼한 문장 어미로 끝난다. 일반적인 문장 어미에는 '-어/아', '-야', '-니'가 있다. 셋째, 비공식적인 말에는 친숙함이나 강조감을 더하기 위해 '-야', '-이야', '-이' 같은 접미...2025.04.13
-
메체 활용 한국어교육2024.12.011. 국어 교과서와 한국어 교재의 차이 1.1. 학습대상 국어 교과서의 주요 학습 대상자들은 모국어를 한국어로 사용하고 있는 이들을 위해 제작되고, 이들을 위해 사용된다. 한국어를 배우는데 목적을 두는 것이 아니라 한국어를 사용하는 다양한 능력을 개발함은 물론, 사회적 언어 내에 내포되어 있는 메타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국어 문화를 계승 및 발전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반면, 한국어 교재의 주요 학습 대상자들은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외국인으로서 학문 목적과 직업 및 취업 목적 대상자로 구분된다. 학문 목적으로 ...2024.12.01
-
한국어수업지도안초급1문법2025.04.191. 서론 1.1. 한국어 문법 교육의 중요성 한국어 문법 교육의 중요성이다. 문법은 적절한 어휘들을 정확하게 구사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현재 교육 현장에서는 많은 교사들이 한국어 문법에 공을 들이고 있는 상황이다. 문법은 언어를 구성하는 기본 뼈대로서, 문법을 안다는 것은 언어를 이루는 형식이나 양식을 알고 단어를 알맞게 구성하여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문법은 언어를 말할 때 사용하는 공식이기에 매우 중요하다. 1.2. 종결어미의 기능과 역할 종결어미의 기능과 역할이다. 종결...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