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잊을 수 없는 6.252025.04.031. 서론 잊을 수 없는 6.25 전쟁은 우리나라의 근현대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이다. 70년 전인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전면적 남침으로 시작된 6.25 전쟁은 한반도를 38선을 기준으로 남과 북으로 양분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 전쟁은 3년여 간의 격전 끝에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이 체결되었지만, 전쟁의 상처는 아직도 한반도에 깊게 남아있다. 특히 이 전쟁의 주요 현장 중 하나였던 낙동강 방어선과 관련하여 창녕지역에서 치열했던 전투 양상에 대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1950년 8월 31일부터 9...2025.04.03
-
전쟁기념관 감상문2024.09.261. 소개 용산전쟁기념관에 견학학습을 간다는 소식을 처음 들었을 때 전쟁을 왜 기념하나? 라는 의문이 바로 생각났다. 전쟁과 기념은 서로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전쟁이 좋은 것인가? 라는 생각을 했고, 일본이 6.25전쟁에서 국군의 물자를 생산하면서 다시 경제성장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내용이 떠오르면서 누군가에겐 좋을 수도 있겠구나 싶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가 무슨 전쟁을 기념하길래 용산처럼 비싼 땅에 큰 기념관을 세웠을까? 월남전에 파병하면서 큰 돈을 얻었으니 월남전인가? 아니면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일본이 망했으니 2차 세계대...2024.09.26
-
영화 연평해전 군인정신2024.09.191. 한국전쟁 60주년 1.1. 개요 한국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군의 남침으로 발발한 전쟁으로,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 체결로 3년 1개월 만에 일단락되었다. 남과 북이 서로를 향해 포화를 주고받은 전쟁은 온 민족에게 비극적인 사건이었다. 전쟁은 한반도를 폐허로 만들었고, 약 25만 명의 사망자와 10만여 명의 전쟁고아, 천만 명이 넘는 이산가족을 만들어냈다. 또한 경제적, 사회적 암흑기를 초래하였다. 이처럼 한국전쟁은 한민족이 겪은 큰 비극이었으며, 60년이 지난 지금에도 분단의 고통과 아픔이 지속되고 ...2024.09.19
-
한국의 대2024.10.031. 한국전쟁과 한국군의 역할 1.1. 한국전쟁의 배경과 전개과정 한국전쟁의 배경과 전개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 당시 동아시아의 지정학적 상황은 영국, 프랑스, 네델란드 등의 제국주의 승전국들이 기존의 식민지를 되찾으려는 움직임을 보여 더욱 악화되고 있었다. 이로 인한 무력 충돌이 냉전 주변부에서 발발하고 있었다. 열강들이 동아시아에서 관심을 보이는 나라는 일본과 중국이었으며, 한반도는 부차적으로 밀려 있었다. 1950년 애치슨선언을 보면 유사시 방어해야할 미국의 관심지역에 한반도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2024.10.03
-
잊을수없는6.252025.04.141. 잊을 수 없는 6.25 1.1. 창녕의 6.25전쟁 낙동강이 서쪽에 흐르고 있어 창녕지역은 6.25전쟁 당시 북한과의 전투가 가장 치열하게 벌어진 지역이었다. 1950년 8월 31일부터 9월 17일까지 약 3주 동안 미 제2사단과 북한군 제1군단 예하 부대간의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미 제2사단은 낙동강 동쪽의 오봉리~주매리·본초리 선에서 북한군 제2·9사단과 대치하고 있었다. 9월 1일 북한군의 기습 공격으로 미 제2사단의 진지가 돌파되었지만, 이후 반격을 통해 낙동강 서쪽으로 북한군을 격퇴하는데 성공했다. 특히 ...2025.04.14
-
북한군 도하작전2025.04.301. 서론 1.1. 북한군 도하작전의 배경 북한군 도하작전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6.25전쟁 초기 북한군의 기습 남침으로 인하여 국군은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최후의 방어선인 낙동강 방어선을 구축하게 되었다. 북한군은 낙동강을 도하하여 대구와 부산을 잇는 아군의 대동맥을 끊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미 8군 사령관 워커 장군은 낙동강과 그 상류 동북부의 산악지대를 연결하는 천연장애물을 이용한 방어선을 구축하고 이를 사수하기로 결단했다. 이렇듯 북한군의 낙동강 도하 작전은 한반도 전쟁 주도권을 좌우할 수 있...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