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신이 한국어 교사가 되어 가르칠 문법 항목을 하나 고르십시오(예. ‘-(으)니까’, ‘에서’, ‘-(으)ㅂ시다’, ‘반말’, ‘피동 표현’...). 2) 그 문법을 적용할 교수법을 2주 2차시에 공부한 외국어 교수법 중에서 하나 고르십시오(문법 번역식 교수법, 직접식 교수법, 청각 구두식 교수법, 자연적 접근법, 의사소통식 교수법). 3) 그 문법 항목을 그 교수법을 적용하여 가르치고 싶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4) 그 문법과 교수법을 적용할 때
2025.04.13
1. 자신이 한국어 교사가 되어 가르칠 문법 항목
1.1. '반말' 에 대한 문법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반말과 존대말을 구분하는 문법을 이해하는 것은 학습자가 친구, 가족, 또래와의 대화 등 비공식적인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종종 반말은 형식 문법과 구별되는 뚜렷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반말에서는 동사 어미가 비공식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현재 시제에서 동사 어간 바로 뒤에 '-아/어' 또는 '-지'와 같은 적절한 어미가 올 수 있다. 이는 격식체의 '-아요/어요'와 구분된다.
둘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