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개
-
정형외과 수술 종류2025.03.021. 정형외과 수술의 종류 1.1. 어깨 수술 1.1.1. 회전근개 봉합술 회전근개 봉합술은 어깨 관절 부위에 최소 절개를 하여 관절 내시경으로 찢어진 힘줄을 봉합하는 수술이다. 회전근개가 손상되면 어깨 통증, 어깨를 벌리거나 들어 올리는 동작, 뒷짐이 지는 동작이 제한되나 치료사가 수동적으로 올릴 때는 올릴 수 있고, 회전근개 파열 시 근육의 약화가 나타난다. 이 수술은 전신마취 하에 시행되며,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 고려할 수 있다. 1.1.2. 견봉하 감압술 견봉하 감압술(subacromial decompres...2025.03.02
-
요관협착 케이스스터디2025.03.101. 서론 1.1. 사례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수신증은 어떤 원인에 의하여 콩팥에서 요관과 방광으로 내려가는 길이 막히게 되면 소변의 저류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막힌 부위 상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콩팥의 신우와 신배가 늘어나 있는 상태이다. 또한 심한 통증으로 인한 정신적 손상과 더불어 피로감을 생기게 하기도 한다. 따라서 수신증 환자 및 그 가족들을 돕기 위한 신체 간호와 정서적 지지가 요구되므로 본 사례연구에서는 요관 협착으로 인해 수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 진단을 적용하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신우요관 협...2025.03.10
-
수술기구2025.03.261. 수술기구의 종류와 특징 1.1. 절개 및 절단 기구 1.1.1. 수술용 칼날(knife/blade) 수술용 칼날(knife/blade)은 수술 시 조직을 절개하거나 절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이다. 다양한 종류의 수술용 칼날이 있으며, 각각 고유한 특성과 용도를 가지고 있다. NO. 10 칼날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칼날이다. 중간 크기의 절개나 중간 크기의 조직을 절단할 때 사용되며, 염증이나 괴사 조직을 긁어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NO. 11 칼날은 깊고 좁은 절개를 할 때 사용되며, 농양 배액 시에도 사용된다. ...2025.03.26
-
조기위암 부분위절제술 케이스2025.05.2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이며, 높은 발생률과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 특히 위암은 환경적,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발병률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위암에 대한 체계적이고 계속적인 간호지식과 기술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위암의 원인과 증상, 진단, 치료법 등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위암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연구는 위암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지식을 습득하여 적용할 수 있는 간...2025.05.21
-
갑상선부분절제술2024.12.241. 갑상선암 및 수술 1.1. 갑상선암의 정의와 특성 갑상선암은 갑상선에 생긴 악성종양을 말하며, 갑상선암은 다른 암과 달리 비교적 천천히 자라기 때문에 예후가 좋고 생존율이 높다"이다. 갑상선암의 95% 이상은 유두암이며 이외에도 여포암, 수질암, 저분화암, 미분화암 등의 종류가 있다. 갑상선암은 대부분 원인이 명확하지 않지만, 방사선 노출, 유전적 요인, 과거 갑상선 질환 병력 등이 발병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사선 노출은 갑상선암의 가장 잘 알려진 위험 요인으로, 노출된 방사선의 양이 많을수록 발병 위험도가 증...2024.12.24
-
위암 사례연구보고서: 간호진단 및 과정 연구2025.08.301. 서론 1.1. 위암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전 세계적으로 암으로 인한 사망률 중에서 위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세 번째로 높다. 위암 환자의 80~90%는 H.pylori 항체 양성자로 WHO와 국제암연구기관(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에서는 1994년도에 H.pylori를 group1발암물질로 분류하였고 H.pylori 감염의 근절을 위한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위암 발생률이 높은 국가는 동아시아, 중국, 라틴아메리카, 동유럽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중 우리나라는...2025.08.30
-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검사 간호2025.08.311. 내시경 검사의 정의와 종류 1.1. 내시경 검사의 개념 및 목적 내시경 검사는 수술을 통해 우리 몸을 절개하지 않고도 직접 눈으로 조직의 병변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조직검사, 세포학 검사를 위한 검체 채취도 가능하고, 비정상적인 병변을 제거할 수도 있어 검사적 목적과 치료적 목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즉, 내시경은 수술을 하거나 또는 부검을 하지 않고서는 직접 병변을 볼 수 없는 장기에 대하여 기계를 삽입하여 관찰하도록 고안된 기구이다. 내시경은 진단과 치료를 목적으로 다양한 부위에 적용되며, 개복수술보다 내시경수...2025.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