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비언어적 의사소통
1.1.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정의
1.2.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종류
1.3.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중요성
1.4.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사례
1.4.1. 어린이집 학대 피해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사례
1.4.2. 하계 올림픽 마스코트의 보디랭귀지를 통한 감정표현 사례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비언어적 의사소통
1.1.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정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의사소통으로서 한 사람에게서 다른 사람에게로 정보가 전달되는 가장 기본적이고 원시적인 형태이지만 인간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의사소통의 한 방법이다. 두 사람 사이의 의사소통에서 1/3만이 언어적 수준에서 전달되고 2/3 정도는 비언어적 수준에서 이루어지며 몸짓이나 얼굴 표정, 자세, 음성, 목소리 등을 통해 이루어지는 사람들의 정보 교환이다. 또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신뢰도가 높은 의사소통 수단으로 인식된다. 그 이유는 사회나 집단에서 통용되는 규칙을 따르기 때문이다.
1.2.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종류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종류에는 신체적 언어, 의사 언어, 용모, 접촉, 공간언어, 시간 언어, 인공적 장식과 환경으로 나눌 수 있다"
신체적 언어는 제스처, 몸과 다리의 움직임, 자세, 응시, 걸음걸이 등 가시적인 몸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의사 언어는 피치, 크기, 템포, 휴지 그리고 모음동화 등 낱말 외의 음색 사용을 말한다. 용모는 옷, 헤어스타일, 화장, 향수, 기타 장식 등 꾸민 특성을 나타낸다. 접촉은 빈도, 강도 그리고 터치 방법 등 모든 접촉 행위를 포함한다. 공간언어는 개인적 거리, 공간의 활용, 지역성을 포함한다. 시간 언어는...
참고 자료
박경옥, 『보건커뮤니케이션』, 계축문화사, 2020
안상윤 외 2인, 『new보건의사소통』, 보문각, 2020
이정자(2018)/모래 상자 놀이를 통한 ADHD 아동의 문제행동과 모-자간 의사소통 개선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놀이치료연구, 22권 1호, pp.41-54
홍채영(2019)/아동의 인지행동 놀이치료 사례연구/인지행동치료상담연구, 1권 1호, pp.43-66
김배운(2017)/발달지체 유아의 자기표현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임상미술심리연구, pp.1-21
민재원, 비언어적인 요소의 중요성, 한국 의학통신(2018)
(http://www.km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543)
노기옥 외, 문화 다양성 사회와 건강, 수문사(2019), 83p 참고
김지혜 한유진, 어린이집 학대피해아동을 위한 놀이치료가 아동의 자아인식, 자기조절능력 및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2021)
김복경, 하계 올림픽 마스코트 보디랭귀지를 통한 감정표현, 신라대학교 대학원(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