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이상한 정상가족》의 주요 내용
《이상한 정상가족》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 책은 우리 사회의 아동인권과 가족정책에 대한 고정관념을 비판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며 큰 반향을 일으킨 책이다. 저자 김희경은 아동이 부모의 소유물이 아닌 자율적 개인으로 존중받아야 한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며, 우리 사회의 '정상가족' 이데올로기가 얼마나 깊이 뿌리내려 있는지를 날카롭게 비판한다. 특히 초판 출간 이후 저자가 여성가족부 차관으로 발탁되어 책에서 주장했던 문제를 실제 정책의 현장에서 해결하려 노력했고, 그 결과 5년 만에 개정증보판을 내놓았다. 개정증보판에서는 현장에서 직접 쌓은 경험과 치밀한 자료조사를 바탕으로, 아동인권 및 가족정책 관련 법과 제도가 어떻게 변화해 왔고, 어떤 한계가 여전히 남아 있는지를 촘촘히 담고 있다.
1.2. 아동인권 및 가족정책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변화
《이상한 정상가족》은 우리 사회의 아동인권과 가족정책에 대한 고정관념을 비판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며 큰 반향을 일으킨 책이다. 이 책은 아동이 부모의 소유물이 아닌 자율적 개인으로 존중받아야 한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며, 우리 사회의 '정상가족' 이데올로기가 얼마나 깊이 뿌리내려 있는지를 날카롭게 비판한다.
특히 이 책은 아동인권 및 가족정책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변화를 상세히 다루고 있다. 저자 김희경은 초판 출간 이후 여성가족부 차관으로 발탁되어 책에서 주장했던 문제를 실제 정책의 현장에서 해결하려 노력했고, 그 결과 5년 만에 개정증보판을 내놓았다. 개정증보판에서는 현장에서 직접 쌓은 경험과 치밀한 자료조사를 바탕으로, 아동인권 및 가족정책 관련 법과 제도가 어떻게 변화해 왔고, 어떤 한계가 여전히 남아 있는지를 촘촘히 담고 있다.
초판에서 저자가 강조했던 '보편적 아동수당'의 실현, '징계권' 조항의 폐지, 그리고 아동학대 대응체계의 개편 등은 책의 주장을 현실로 옮긴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특히 2019년 개정된 〈아동수당법〉에 따라 모든 만 6세 미만 아동이 소득이나 재산과 관계없이 월 10만 원의 아동수당을 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아동권리를 보편적으로 인정하는 방향으로 큰 진전을 이뤘다. 또한 2021년 폐지된 〈민법〉의 '징계권' 조항은 아동에 대한 체벌을 용인하던 법적 근거를 없애며 부모의 권리보다는 아동의 인권을 우선시하는 중요한 변화를 이루었다.
이처럼 《이상한 정상가족》은 우리 사회의 아동인권과 가족정책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변화를 상세히 다루고 있다. 이를 통해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아동을 자율적 개인으로 존중해야 한다는 근본적인 시각을 제시한다. 또한 현실에서 나타난 긍정적인 변화와 더불어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들을 함께 다루며, 아동인권과 가족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2. 보편적 아동수당과 아동권리의 보편화
2.1. 아동수당의 확대와 아동 복지 증진
아동수당의 확대와 아동 복지 증진은 아동인권의 보편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진전이었다. 《이상한 정상가족》의 저자 김희경은 기존의 아동수당이 소득 수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지급되었던 문제를 지적하며, 모든 아동이 평등하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보편적 아동수당 제도의 도입을 강력히 주장했다.
2019년 1월, 이러한 주장이 현실화되며 〈아동수당법〉이 개정되었다. 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