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주대 심장박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물벼룩 심장박동 관찰
1.1. 실험 목적
1.2. 실험 이론
1.2.1. 물벼룩
1.2.2. 신경계 분류
1.2.2.1. 중추신경계
1.2.2.2. 말초 신경계
1.2.3. 심박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2.3.1. 호르몬
1.2.3.2. 온도
1.2.3.3. 화학물질
1.3. 실험 재료 및 방법
1.4. 실험 결과
1.5. 고찰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물벼룩 심장박동 관찰
1.1. 실험 목적
신경전달물질, 호르몬 등의 화학적 메신저에 의해 일어나는 신체의 조절 현상과 온도 변화, 화학물질에 따른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물벼룩을 대상으로 관찰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물벼룩은 투명한 외골격과 심장박동수 관찰이 용이하여 화학적 조절 현상 연구에 적합한 생물이다. 이를 통해 동물의 화학적 조절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2. 실험 이론
1.2.1. 물벼룩
물벼룩(Daphnia sp.)은 0.2~6.0mm 크기의 작은 수생 갑각류로, 물에서 벼룩처럼 뛰는 듯한 수영 방식 때문에 '물벼룩'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주로 담수 환경에서 발견되며, 투명한 외골격을 지니고 있어 현미경 관찰에 용이하다. 대개 1~5mm 길이이며 여러 부분으로 나뉘지만 이 구분이 명확하지는 않다. 머리는 몸에 대해 아래로 구부러져 있고, 눈에 띄는 노치로 머리와 몸이 구분된다. 대부분의 종에서 몸의 나머지 부분이 갑각으로 덮여 있으며, 갑각 아래에는 다리가 위치하는 배쪽 틈새가 있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복합 눈, 두 번째 더듬이, 그리고 복부의 강모이다. 현미경으로 관찰 시 물벼룩의 순환계도 관찰할 수 있으며, 심장을 통해 혈액 세포가 순환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심장은 머리 뒤쪽 상단에 위치하며, 통상적인 심장 박동수는 정상 조건에서 분당 약 180회이다. 투명한 외골격과 심장 박동수로 인해 신경계에 미치는 화학물질의 영향을 연구하기 좋다. 니코틴이나 에피네프린과 같은 물질로 심박수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저산소 환경에서 헤모글로빈을 생산하여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하는 데 사용하는데, 이는 이중 확산과 순환 방식을 모두 사용하기 때문이다. 물벼룩은 주로 여과 섬식자로 단세포 조류 및 유기적 잔류물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입자를 섭취한다. 다리의 운동으로 갑각 안으로 지속적인 물 흐름을 만들어 먹이 입자를 소화관으로 끌어들이고, 먹이 덩어리는 소화관을 따라 이동하여 꼬리 부분에 위치한 항문을 통해 배출된다.
1.2.2. 신경계 분류
1.2.2.1. 중추신경계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 System)는 주로 뇌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몸 전체 부분의 활동을 통합하고 조정하며 영향을 주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척추동물에서 뇌와 척수는 모두 수막에 의해 둘러싸여 보호를 받고 있으며, 체액 대신 뇌척수액에 의해 채워져 있다.
중추신경계는 두 가지 주요 구조로 구성되는데, 바로 뇌와 척수이다. 뇌는 두개골 안에 위치하여 물리적 보호를 받으며, 척수는 뇌와 연결되어 뇌의 뒤쪽에 자리 잡고 있다. 척수는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요추까지 이어져 있으며, 척추관의 상단 부분을 차지한다. 척수는 말초신경계의 일부인 척추신경을 통해 감각과 운동 신호를 전달하여 근육의 자발적 및 비자발적 움직임과 감각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뇌는 크게 대뇌, 소뇌, 뇌간으로 구분된다. 대뇌는 정신 활동의 중추로, 기억, 판단, 감각 및 운동을 조절하며 행동을 통합하는 고등 정신 작용을 담당한다. 회백질과 백질로 구성된 대뇌피질은 감각, 연합, 운동 영역으로 나뉘어 감각 인식과 운동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뇌는 몸의 균형과 자세 유지를 조절하며, 운동 학습에 관여해 숙련된 운동을 조정한다. 뇌간은 안구 운동 조절, 자세 유지, 호흡 및 순환 조절 등 다양한 기본적인 생명 활동을 관장한다.
1.2.2.2. 말초 신경계
말초 신경계(PNS, Peripheral Nervous System)는 중추신경계(CNS)와 함께 좌우대칭동물(Bilateria)의 신경계를 구성하는 두 부분 중 하나이다. PNS는 뇌와 척수 바깥에 위치한 신경과 신경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CNS와 사지 및 장기를 연결하는 중계 역할을 담당한다. 말초신경계는 체성신경계와 자율신경계로 구성되어 있다.
체성신경계는 의식적인 움직임과 감각을 담당하...
참고 자료
캠벨 생명과학 개념과 현상의 이해/김명원 저/ pg/572~576
호르몬,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ED%98%B8%EB%A5%B4%EB%AA%AC
신경전달물질,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EC%8B%A0%EA%B2%BD%EC%A0%84%EB%8B%AC%EB%AC%BC%EC%A7%88
장신경계,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EC%B0%BD%EC%9E%90%EC%8B%A0%EA%B2%BD%EA%B3%84
정온동물,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EC%98%A8%ED%98%88%EB%8F%99%EB%AC%BC
카페인,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EC%B9%B4%ED%8E%98%EC%9D%B8
니코틴,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EB%8B%88%EC%BD%94%ED%8B%B4
Wikipedia, Daphnia, https://en.wikipedia.org/wiki/Daphnia
Wikipedia, Central nervous system, https://en.wikipedia.org/wiki/Central_nervous_system
위키백과, 중추신경계, https://ko.wikipedia.org/wiki/%EC%A4%91%EC%B6%94%EC%8B%A0%EA%B2%BD%EA%B3%84
Wikipedia, Peripheral nervous system, https://en.wikipedia.org/wiki/Peripheral_nervous_system
위키백과, 말초신경계, https://ko.wikipedia.org/wiki/%EB%A7%90%EC%B4%88%EC%8B%A0%EA%B2%BD%EA%B3%84
위키백과, 호르몬, https://ko.wikipedia.org/wiki/%ED%98%B8%EB%A5%B4%EB%AA%AC#%EB%B6%84%EB%B9%84%EA%B8%B0%EA%B4%80%EC%A4%91%EC%8B%AC_%EB%B6%84%EB%A5%98
위키백과, 아세틸콜린,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C%84%B8%ED%8B%B8%EC%BD%9C%EB%A6%B0
위키백과, 아드레날린,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B%93%9C%EB%A0%88%EB%82%A0%EB%A6%B0
Wikipedia, Thermoregulation in humans, https://en.wikipedia.org/wiki/Thermoregulation_in_humans
위키백과, 카페인, https://ko.wikipedia.org/wiki/%EC%B9%B4%ED%8E%98%EC%9D%B8
위키백과, 니코틴, https://ko.wikipedia.org/wiki/%EB%8B%88%EC%BD%94%ED%8B%B4#%EC%A4%91%EC%B6%94%EC%8B%A0%EA%B2%BD%EA%B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