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원형이론과 한국어 어휘 교육
1.1. 원형이론의 개념
원형이론(prototype theory)은 1975년에 로쉬(Rosch)의 범주 내부구조에 대한 심리언어학적 연구에서 비롯된 것으로, 의미의 원형이론(prototype theory)은 사람들이 낱말을 사용할 때 더 원형적인 보기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서 낱말의 의미를 이해한다는 견해이다.
원형이란 그 범주를 대표할 만한 가장 전형적이고 적절하고 중심적이고 이상적인 좋은 보기를 의미하며, 원형적 보기는 중심적 보기, 비원형적 보기는 주변적 보기에 해당한다. 사람들이 단어를 사용할 때 더 원형적인 보기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서 단어의 의미를 이해한다는 견해로, 단어란 고정된 의미를 갖지도 않으며 가질 수도 없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전형적 보기는 무의식적이며 자동적이라는 특성이 있고, 대중적인 논의거리도 아니며 변화를 겪지도 않는다. 일반적으로 추론을 할 때는 전형적인 보기에서 비전형적인 보기를 이끌어 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회적 판박이 보기는 전형적인 보기와 대조, 전체로서 한 범주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보통 의식적이며 대중적인 논의의 주제이지만 오랜 시간에 걸쳐서 변화를 겪게 되며, 다소 부정확한 속성이 있다. 이상적 보기는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심리적 이상형을 말하는 것으로 이상적 결혼, 배우자, 가정, 직업 등에 관한 문화적 규범을 가진다. 모범적 보기는 어떤 범주의 경험적 이상형을 말하며, 현저한 보기는 사람들이 범주를 이해하는데 익숙하고, 기억에 남고, 두드러진 보기를 말한다.
1.2. 한국어 어휘의 특징
한국어는 첨가어로서 형태소의 결합에 의해서 어휘가 구성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조사의 결합에 의한 문법 관계의 표시라든지 선어말 어미의 결합에 의한 시제, 존경, 겸양, 회상, 추측이 이루어진다. 한국어는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구조적으로는 접사에 의한 파생어, 어휘 결합에 의한 합성어 형성이 이루어진다.
한국어 어휘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의어가 많다. 둘째, 동음이의어가 많다. 셋째, 대우를 나타내는 어휘가 발달하였다. 넷째, 음운 교체에 의한 어감의 차이가 발달하였다. 다섯째, 개념어로는 한자어가 많이 쓰인다. 여섯째, 기초어휘에는 고유어 체계가, 전문어휘에는 한자어가 발달하였다. 일곱째, 체언이 격에 따라 형식이 달라지지 않는다. 여덟째, 음성 상징어가 발달하였다. 아홉째, 이철자 동음이의어가 많다.
이와 같은 한국어 어휘의 특징은 한국어 교육, 특히 어휘 교육에서 중요한 논점이 된다.
1.3. 원형이론의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