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교재 분석과 평가 기준 및 한국어 종성 발음 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선정과 평가
1.1. 교재의 분석과 평가 기준
1.1.1. 교재 평가의 중요성
1.1.2. 교재 분석 및 평가 기준 제시 (이지영, 배두본, 서종학, 이해영)
1.2. 한국어교재 분석: 이화 한국어 3-1
1.2.1. 형식적 특성
1.2.2. 내용 분석 (교육과정, 학습 내용, 학습자, 교수법)
1.3. 한국어교재 분석: 세종 한국어 2
1.3.1. 외적 특징
1.3.2. 내적 특징
1.4. 교재 선정과 활용의 중요성
2. 한국어 자음 발음 교육
2.1. 한국어와 일본어의 자음 체계 비교
2.2. 일본어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자음 오류 유형
2.2.1. 비음 종성 발음 오류
2.2.2. 기타 종성자음 발음 오류
2.3. 일본어 학습자 대상 종성자음 발음 교육 방안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선정과 평가
1.1. 교재의 분석과 평가 기준
1.1.1. 교재 평가의 중요성
교재 평가의 중요성은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재가 차지하는 중요한 역할에서 찾을 수 있다. 교재는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하고 학습자의 효과적인 언어 습득을 지원하는 매개체이다. 따라서 적절한 교재의 선택은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체계적인 언어 학습 기반을 마련하는 데 필수적이다. 특히 외국어 학습에 있어 교재는 교사와 학습자를 연결하는 핵심적인 도구이자 기본적인 지침서 역할을 하므로, 학습자의 목적과 수준에 부합하는 교재를 선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교재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통해 적절한 교재를 선택하고 활용하는 것은 효과적인 외국어 교육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활동이라 할 수 있다.
1.1.2. 교재 분석 및 평가 기준 제시 (이지영, 배두본, 서종학, 이해영)
이지영(2004)은 교재를 구성(형식)과 내용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구성 평가 항목으로는 교재의 단계, 단원 수, 단원구성, 삽화, 관련 구성물 등이 있으며, 내용 평가 항목으로는 주제, 언어, 기능, 과제 및 활용, 문화 등이 있다""
배두본(1999)은 교재 평가 기준을 교육과정에 적합성, 구성, 교수 적합성, 언어적 적합성, 교수-학습 활동 유형, 실용성의 6가지 영역으로 나누고 50개 항목을 제시하였다""
서종학(2001)은 교재 평가 기준을 형식, 학습자, 교수법, 학습 내용(체계와 자료, 문자와 발음, 어휘, 문법), 교육과정으로 나누고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평가 항목을 제시하였다""
이해영(2001)은 교수-학습 상황 분석과 내·외적 구성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교수-학습 상황 분석 기준에는 교육 기관, 정보, 학습자, 교사가 포함되며, 내·외적 구성 평가 기준에는 학습자 중심 수업에 필요한 교재의 구성 요건이 포함된다""
1.2. 한국어교재 분석: 이화 한국어 3-1
1.2.1. 형식적 특성
『이화 한국어 3-1』은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네 가지 언어 기능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유도하면서 무엇보다 말하기 능력을 강화하도록 고안되었다"" 이 교재는 1급에서 6급까지 총 26권의 교재와 연습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근 학습자 성향과 편의를 고려하여 1~3급의 교재를 두 권으로 구성하고, 1급과 2급은 영어, 일본어, 중국어로 설명을 넣었다"" 『이화 한국어 3-1』은 모두 17개의 단원 176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단원은 120쪽, 부록으로 구성된 듣기 지문과 정답, 찾아보기는 모두 17쪽으로 이루어져 있다""
1.2.2. 내용 분석 (교육과정, 학습 내용, 학습자, 교수법)
이화 한국어 3-1의 내용 분석은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 이화 한국어 3-1은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을 준용하여 개발되었다. 교육과정 내 언어 기능별 ...
참고 자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 교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론 교안
서종학·이미향·박진욱, 2017, 한국어교재론, 한국문화사
한울 사이버 평생 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개론 교안
한울 사이버 평생 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교안
서울대학교 한국어 문학 연구소, 국어교육연구소, 언어교육원 공편.‘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체’.p.471-510
국립국어원, ‘세종 한국어 2’,2021.01.07
송향근, 『한국어교육론』, 하우, 2016.
허용, 「자음체계대조연구,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대상으로」, 언어과학연구55, 2010. pp.305-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