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여행프로그램 개선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템플스테이의 의미 -차와 명상을 중심으로-
1.1. 서론
1.1.1. 템플스테이 개념과 역사
1.1.2. 템플스테이 목적
1.2. 본론
1.2.1. 템플스테이 효과
1.2.2. 템플스테이 현황과 특성
1.2.3. 템플스테이 가치
1.3. 결론
1.3.1. 연구 결과
1.3.2. 제언
1.4. 참고문헌
2. 00주년 기획사업 돌봄인력(외국인,북한이탈주민)을 위한 힐링프로그램 운영 계획(안)
2.1. 추진배경
2.2. 추진목적
2.3. 개요
2.4. 프로그램 활동
2.5. 예산
2.6. 사업효과
3. 이벤트 전략 발표
3.1. 연극
3.2. 축제
3.3. 전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템플스테이의 의미 -차와 명상을 중심으로-
1.1. 서론
1.1.1. 템플스테이 개념과 역사
템플스테이는 산사에서 수행자들의 생활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비록 불교에 귀의해 수행을 하는 사람은 아니지만 짧은 기간이나마 산사에서의 생활을 체험할 수 있다. 템플스테이는 다양한 기간 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템플스테이 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통합 홈페이지 '템플스테이'에서는 '1천 7백 년에 이르는 한국 불교문화의 역사와 문화가 숨쉬는 산사에서 수행자의 일상을 체험하는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템플스테이는 '전통 사찰이 기획한 법회, 참선, 다례 등의 프로그램이나 예불, 발우공양 등 계획되지 않은 일상적 사찰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장/단기적으로 사찰에 머무는 것'이라고도 정의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템플스테이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지 20여 년이 흘렀다. 2002년 한.일 월드컵이라는 국가적 메가 이벤트에 앞서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들의 숙박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한국의 전통문화 체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목적에서 전통사찰들을 숙박시설로 활용하는 방안이 추진되었다. 2002년 한, 일 월드컵 당시 전국의 31개 사찰을 숙박시설로 활용하기 위해서 화장실, 샤워장 등을 개/보수하기 위해 예산이 10억 원 집행된 바 있다. 월드컵 기간동안 템플스테이는 성공적으로 운영되었고, 이때의 일을 계기로 전통 숙박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정부는 제 2차 관광진흥 5개년 계획에서 템플스테이 확대와 지원을 결정했다. 2009년에 국제협력개발기구 OECD에서는 전세계적으로 성공한 문화관광상품 5개 중에 하나로 템플스테이를 선정했을 정도이다. 2010년에 국가브랜드위원회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10대 아이콘의 하나로 템플스테이를 선정한 바 있다.
1.1.2. 템플스테이 목적
템플스테이의 목적은 종교적 목적과 사회적 목적으로 구분된다.
첫째, 종교적 목적은 불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템플스테이는 사찰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이며, 그 안에서 행해지는 활동들이 대부분 불교 수행자들의 수련, 훈련과 관련된 것이다. 초기 템플스테이는 주로 불교 신자들을 대상으로 운영되었다. 불교 신자가 아니라도 평소 불교에 관심이 있었던 사람들이 템플스테이를 통해 불교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템플스테이는 불교 포교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둘째, 사회적 목적은 국민의 행복 증진, 여가 문화 활성화, 전통 문화 체험 기회 확대에 있다. 템플스테이는 일상과 동떨어진 사찰이라는 공간에서 참선, 다도 등의 활동을 통해 치유와 휴식을 경험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템플스테이는 사찰에 머물며 전통 건축물과 생활 양식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템플스테이는 도시인들이 일상에서 벗어나 정신적, 육체적 안정을 얻고 전통 문화를 향유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사회적 의미를 지닌다.
1.2. 본론
1.2.1. 템플스테이 효과
전병길, 정윤조(2011)는 템플스테이를 여가관광 활동의 관점에서 접근했다. 템플스테이는 여가관광 활동에 속한다. 여가관광 활동은 개인적 역량 강화, 사회적 및 심리적 능력 향상, 삶의 질 향상 같은 긍정적 효과를 가져온다. 여가관광 활동을 하면 육체적 긴장감이 해소되고 피로가 회복되면서 신체를 재충전할 수 있게 된다. 템플스테이에 참가한 사람들은 체류 기간 동안 불교식의 생활을 기본적으로 수행했다. 예불, 참선, 108배, 발우공양 등이었다. 또 스님과 차담을 나누기도 했고, 탑돌이, 타종체험, 만다라 만들기, 108염주 꿰기, 유언장 쓰기, 눈 가리고 징검다리 건너기 같은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연구자들은 참가자들과의 인터뷰 결과 참가자들이 템플스테이 참가 이후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역량이 증진된 것을 확인했다. 이는 여가관광 활동의 일반적인 효과와 비슷한 것이었다. 또 연구자들은 참가자들이 템플스테이에서의 체험 결과가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효과로 전이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템플스테이 체험이 참가자들의 삶의 질을 고양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추론했다"이다.
1.2.2. 템플스테이 현황과 특성
템플스테이 현황과 특성은 다음과 같다.
2021년 12월 말을 기준으로 템플스테이 참가자 수는 600만 명을 돌파했다. 현재 템플스테이를 운영할 수 있는 사찰로 정식 지정된 곳은 137개소이며, 이 중에는 외국인을 위한 템플스테이를 전문적으로 운영하는 사찰도 28곳 있다. 템플스테이를 운영하는 사찰이 가장 많이 분포한 지역은 경기도(22개소)이고, 전남(20개소), 경북(16개소), 서울(13개소), 경남(12개소) 순서이다. 이는 수도권 일대에 템플스테이를 운영하는...
참고 자료
템플스테이 홈페이지(https://www.templestay.com/)
전병길,정윤조(2011), 템플스테이 체험과 체험 후 효과에 관한 질적 연구. 관광학연구 제35권 제1호(통권 96), pp.73-96. 한국관광학회
전병길(2022), 템플스테이 20년의 성과와 발전방향 세미나, pp.17, 한국불교문화사업단
허갑중(2004), ≪전통숙박시설 육성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장영섭(2020.11.17.), 템플스테이는 힐링만? 지역경제도 책임진다, 불교신문
템플스테이 웹진(2020.10),템플스테이 소식, 사회의 ‘치유와 성장’을 위한 템플스테이의 비전 모색
(https://webzine.templestay.com/kr/menu01/news_kr/view?seq=73&search_name=&search_value=&page=1&pagelistno=1)
김용훈(2011), 체험경제 시대의 템플스테이의 관광만족에 대한 연구, 불교학보통권 60, pp.315-340,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한국관광공사 관광일자리센터 공식블로그(2022.8.24.), 관광 트렌드) MZ 세대 여행 트렌드 인포그래픽 분석
(https://blog.naver.com/tourismjob/222856833467)
정성훈, 채석래, 정인원(2007), 단기간의 참선 수행이 갖는 정신 치료적, 생리적 효과, 불교학보 제46집, pp.289-306,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박선재(2019.8.23.), 참선, 명상 등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실제로 효과 있었다, 메디컬 옵저버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4556)
김연신(2012), 다도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