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방송 프로그램 개선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현대 한국 미디어의 쟁점과 개선방안
1.1. 텔레비전 미디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1.1.1. 트로트 열풍과 양산형 프로그램의 문제
1.1.2. 선정성 논란의 관찰 예능 프로그램
1.2. 다문화가정 관련 방송 프로그램의 재현과 한계
1.2.1. 다문화가정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인식
1.2.2. 다문화가정 관련 방송 프로그램의 분석
1.2.3. 다문화가정 방송 프로그램 개선 방향
1.3. 범죄보도와 범죄인식의 문제
1.3.1. 범죄 보도의 유형과 특징
1.3.2. 개인의 본성과 도덕적 문제 중심 접근의 한계
1.3.3. 사회적 측면에서의 범죄 대응 방안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현대 한국 미디어의 쟁점과 개선방안
1.1. 텔레비전 미디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1.1.1. 트로트 열풍과 양산형 프로그램의 문제
트로트 열풍은 TV조선의 "내일은 미스트롯"이 엄청난 대박을 터트리면서 시작되었다. 트로트가 변방의 장르에서 이제는 사람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로 주목받으면서 신드롬을 일으켰고, 새로운 스타일의 트로트 방송이 특히 중장년층의 매력 포인트를 정확히 타격하여 트로트 방송의 시청률이 고공행진을 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신예 스타 임영웅, 영탁, 이찬원 등등의 스타들이 탄생하면서 기존의 음악 방송의 판을 흔들었다.
하지만 이러한 트로트 열풍은 문제가 있다. 작년까지만 해도 단발성으로 그칠 것이라는 시장의 예상과는 달리 트로트 열풍이 계속되면서 어느 채널이나 가릴 것 없이 트로트 이야기로 난리가 났다. TV조선의 트로트 프로그램을 필두로 너나 할 것 없이 비슷한 포맷의 트로트 예능이나 오디션 프로그램을 내놓으면서 시청자들은 점점 트로트의 매력에 빠지기는커녕 지난해부터 1년 동안 계속되는 트로트 행진에 신물이 나기 시작했다. 이는 단순히 트로트만의 문제가 아니라 이전부터 이어지던 고질적인 문제점이 폭발했다고 봐야 한다. 어느 한 방송사에서 어떤 포맷으로 인기를 얻었을 때 다른 방송사들은 우후죽순 그 포맷을 따라가고 시청률에 혈안이 되어있었다. 즉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아닌 양산형 프로그램들이 계속해서 생산되면서 다양성을 잃어버리며 그 결과 시청자들이 추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에서 얻고자 하는 즐거움을 방송사들은 그저 이익에 눈이 멀어 망각해버리고 말았다.
1.1.2. 선정성 논란의 관찰 예능 프로그램
약 8년 전부터 인기를 끌고 있는 새로운 예능 형식인 '관찰형 예능'이 최근 방송사들의 경쟁으로 인해 순한 맛에서 매운맛으로 변화하고 있어 시청자들 사이에서 과연 관찰 예능의 이러한 변화를 그저 바라만 봐야 하는가에 대해서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90년도 후반에서 약 10년간 지속되던 '리얼 버라이어티 예능'에 피로감을 느끼는 시청자가 많아지면서 피로감을 줄이고 연예인들을 관찰하는 재미를 더한 등의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누구나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생활 밀착형 프로그램이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2020년 현재까지 등의 프로그램이 한국 예능의 핵심 트렌드로 자리를 잡으며 지상파 3사 중 2개의 방송사가 일요일 밤 프라임타임 예능을 관찰 예능으로 고정 편성하고 있다"" 최근 열풍을 타고 여러 방송사에서 앞다퉈 제작을 하고 있는 부부 예능은 실제 부부의 사생활을 관찰 예능으로 담으면서 '리얼'과 '에로'의 사이를 줄타기처럼 넘나들고 있다"" 초창기 부부 일상 관찰 예능 프로그램인 SBS의 은 연예인 신혼부부의 건전한 일상생활을 공개하면서 시청자들의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 냈지만, 종편이나 케이블 방송사에서 더욱 선정적이고 자극적으로 출연자의 사생활을 더욱 깊이 파고드는 프로그램을 만들면서 시청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드는 일이 생겨나고 있다"" 방송사들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부부 관찰 예능이 점점 더 수위를 높여가며 여러 시청자의 민망함을 불러오고 관찰 예능을 앞세워 수위 높은 발언을 고스란히 노출하는 등 시청자들에게 있어서 매우 자극적인 소재를 다루면서 선정성 논란을 피할 수 없는 처지에 이르렀다""
1.2. 다문화가정 관련 방송 프로그램의 재현과 한계
1.2.1. 다문화가정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인식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은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산정...
참고 자료
한겨래 신문, 넘쳐나는 트로트 예능, ‘독이 든 성배’?
http://www.hani.co.kr/arti/culture/entertainment/949836.html
위키트리, “지긋지긋한 트로트 방송 그만…” 급기야 국민청원까지 떴다
https://www.wikitree.co.kr/articles/599101
네이버 지식백과 트랜드 지식사전 2, 관찰 예능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718567&cid=55571&categoryId=55571
pdjournal, 낯뜨거운 부부 예능, 자극만큼 해롭다.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71965
뉴스1, [N초점] 리얼예능 끝은 없다…이혼까지 예능 속으로
http://www.hani.co.kr/arti/culture/entertainment/949836.html
서울신문, 와우! 김광석·터틀맨이? AI ‘찐무대’를 소환하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1214015006&wlog_tag3=naver
YTN, [열린라디오YTN] 12년 전 숨진 '거북이' 터틀맨 살려낸 AI복원 방송프로그램
https://www.ytn.co.kr/_ln/0106_202012141432050752
일요시사, ‘틀면 나오는’ 판박이 트롯 코드의 한계
http://www.ilyosi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1640
최고의 마농의 블로그 '트로트 지겹다?' 판박이 포맷이 지겹다
https://blog.naver.com/famer153/222143246990
스포티비 뉴스, 관찰 예능, 금기를 넘다…대세가 된 '이혼' 콘텐츠
http://www.spotvnews.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394131
김초원, 「한국적 다문화 갈등의 미봉합적 담론구조 : EBS 고부열전을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6
서운석, 「한국사회의 국제개방과 다문화에 대한 인식 – 연령대별 비교를 중심으로」, 공공사회연구 6(3), 한국공공사회학회, 2016
이숙진, 「다문화가족에 대한 몇 가지 오해」, 『월간 복지동향, (151)』,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2011
장현주, 「EBS의「다문화 고부열전」 다큐멘터리 내용과 시청자 의견 분석연구 :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가정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정의철, 「다문화 미디어 정책과 이주민 미디어교육에 관한 연구」, 『2012년 10월 다문화사회 세미나 자료집』, 한국소통학회, 2012
여성가족부,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분석, 2016
통계청, 2015년 다문화 인구 동태 통계보고서, 2016
한국교육방송공사 이사회, 2015년 사업년도 EBS 경영평가 결과, 2016
아산정책연구원, “닫힌 대한민국: 한국인의 다문화 인식과 정책”, http://asaninst.org/, (2016.12.19)
“피는 물보다 진하다? 가족이라서 화해할 수 있다”, , 2014년 9월,
https://topclass.chosun.com/board/view.asp?tnu=201409100014&catecode=J&cpage=1,(2016.12.09)
“한국인 시어머니-외국인 며느리 고부 갈등 해소 프로그램 제작”, <영남일보>, 2013년 8월 15일,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
20130815.0*************1, (2016.11.16).
“‘이웃집 찰스’ PD ”생존 비결, 외국인에 대한 신선한 접근“”, <매일경제>, 2015년 7월 24일, http://star.mk.co.kr/new/view.php?mc=ST&no=710688&year=2015, (2016.12.10.)
노병일, 사회문제론, 양서원, 2018
구도완 외, 한국사회문제, 한국방송통신출판문화원, 2017
김다롬, 미디어노출이 청소년의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2020
김보은, ‘강남역 살인사건’과 여성혐오 담론의 사회적 구성, 부산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7
노성호, 청소년비행에 대한 생애과정이론과 잠재적 특성이론의 경험적 비교, 형사정책연구, 2007
김옥현, 형사정책, 고시연구사, 2008
유진이, 외국인 범죄 보도 예시에서 인종적 단서와 책임귀인 프레임이 수용자의 지각 및 판단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5
이기수‧윤상연, 언론보도상 ‘잔혹 범죄’의 발생 추이와과대추정현상 극복방안, 경찰학논총, 2017
이윤호, 범죄학, 박영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