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급성 위장염은 어린 아동에게 가장 흔히 오는 위장관계 질환이며, 5번째로 흔한 사망원인이다. 실제로 3세 이하의 대부분의 소아가 1~3회의 심한 설사증을 경험한다. 영유아의 경우, 체중에 비해 수분요구량이 상대적으로 높고, 음식물에 의해 유행을 일으키는 전염병에 감염이 쉬워 특히 급성위장염에 더 취약하다. 이처럼 아동에게 흔하게 일어나는 질환이지만, 어린 아동은 스스로 대처하는 능력이 미숙하기 때문에 증상은 더욱 심각해질 수 있고, 또 빠른 속도로 전파되기도 쉽다. 따라서, 이 질환에 대한 높은 관심과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 이에 간호사는 병원이라는 낯선 환경과 만나게 된 아동과 가장 가까이에서 접하는 의료인으로서 아동에게 적합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기에 이 연구는 의미가 있다. 이 환아는 전형적인 급성 위장염의 증상을 보이고 있으므로 이 케이스를 통해 간호사가 어떠한 간호를 제공해줄 수 있을지 고민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1.2. 연구의 기간 및 방법
본 연구는 2018년 06월 04일부터 06월 18일까지 인제대학교 ㅇㅇㅇ병원 7A병동에 입원한 이OO님을 대상으로 문헌고찰, 관찰, 의료진과 대상자 본인, 주변인으로부터의 정보, Chart, cardex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2. 문헌고찰
2.1. Acute gastroenterocolitis
2.1.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급성 위장염(Acute gastroenterocolitis)은 위와 장의 염증 상태를 말하며, 위나 소장에 염증이 발생한 것을 의미한다"". 이 질병의 주요 원인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등의 병원체에 의한 것으로, 음식이나 대변, 입, 사람과의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 실제로 원인균이 확인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흔한 원인균으로는 대장균(E. coli), 로타바이러스, 장독소원성 대장균(enterotoxigenic E. coli), 살모넬라균, 이질균 등이 있다"".
2.1.2. 증상
급성 위장염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사이다. 급성 위장염 환자의 경우 평소보다 배변 횟수가 현저히 늘어나며, 배변물의 양도 증가한다. 또한 배변물의 성상도 변화하여 무른 상태나 수양성 설사를 보인다. 이는 장관의 염증으로 인한 삼투압 증가와 장운동 항진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이다""
둘째, 구토이다. 구토는 위장관의 염증으로 인해 자극받은 구토 반사가 유발된 것으로, 식사 후 특히 심해지는 양상을 보인다. 구토로 인해 체액 및 전해질 균형이 깨지게 되어 탈수가 동반될 수 있다""
셋째, 복통이다. 급성 위장염 환자는 복부가 불편하고 통증을 호소하는데, 이는 장관의 염증으로 인한 자극과 복부 팽만감 때문이다. 통증의 양상은 간헐적이고 미만성인 경우가 많다""
넷째, 발열이다. 급성 위장염은 주로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므로, 체온 상승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38도 이상의 고열이 나타나며, 열감과 오한을 호소한다""
다섯째, 두통과 근육통 등의 전신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급성 위장염의 배경에 바이러스 감염이 있는 경우, 전신적인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급성 위장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설사, 구토, 복통, 발열 등이며, 이러한 증상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이로 인해 환자는 전반적인 불편감과 함께 탈수,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을 겪게 된다""
2.1.3. 진단
급성 위장염의 진단은 건강력과 대변 검사로 이루어진다""
먼저, 사정을 위한 건강력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① I/O를 측정하여 탈수 상태 유무에 주의하고 ② 배변과 배뇨 양상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한다. 또, ③ 체중을 측정해 변화를 살피고 ④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임상 검사로는 대변 검사가 필수적이다. 대변 검사의 항목은 다음과 같다. ① 대변의 성상(굳기, 냄새, 색) ② 대변의 산도(정상 pH 7~8) ③ 잠혈 검사 : 대변 속에 혈액이 섞여있는지 확인한다. ④ 백혈구 검사 : 변에 함유된 백혈구를 통해 질병 진단에 활용할 수 있다. ⑤ 지방배설 검사 : 식사 섭취 후 72시간동안 대변 수집하는데, 이때 식사 섭취를 기록해 지방 섭취를 계산해야 한다. ⑥ 배양 검사 : 원인 병원체 규명하기 위해 시행된다."
2.1.4. 치료
급성 위장염의 치료는 수액 보충과 전해질 불균형의 조정에 초점이 맞춰진다"" 구토와 설사가 심한 경우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치료 목표이다""
먼저, 탈수의 정도에 따라 경구나 정맥으로 수액을 공급하여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한다"" 구토가 심한 경우에는 일정 기간 금식을 하고, 구토 증상이 호전되면 점진적으로 유동식을 시작하여 탈수를 예방한다""
원인균이 밝혀졌거나 의심되는 경우에는 항생제를 투여할 수 있다"" 세균성 또는 바이러스성 위장염의 경우 대부분 제토제, 흡수제, 장운동 억제제 등의 약물치료는 권장되지 않는다"" 이는 감염 원인균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구토와 설사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동의 경우 탈수 위험이 크므로, 경구 수화 요법(Oral Rehydration Therapy, ORT)이 중요하다"" ORT는 전해질과 포도당이 균형을 이루는 수용액을 제공하여 신속하게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하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