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llenberg syndrome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최초 생성일 2024.11.14
5,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wallenberg syndrom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medulla 정의 및 구조
1.1. medulla 정의
1.2. medulla 형태 및 구조

2. medulla 기능

3. medullary infarction
3.1. 외측 연수 경색 = wallenberg syndrome
3.1.1. 원인
3.1.2. 증상
3.2. 내측연수증후군(medial medullary infarction)

4. Lateral Medullary Syndrome
4.1. Introduction
4.2. Cause
4.3. Clinical features
4.4. Treatment
4.5. Prognosis

5. 어지러움 증상에 대한 접근
5.1. 현기증 일반
5.2. 현기증의 기전
5.3. 현기증에 대한 접근
5.3.1. 지속 시간
5.3.2. 자극 요인
5.3.3. 악화 요인
5.3.4. 안진
5.3.5. 자세 불안정성
5.3.6. 청력 상실
5.3.7. 뇌간 징후
5.4. 말초성 현기증과 중추성 현기증
5.4.1. 말초성 현기증
5.4.2. 중추성 현기증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medulla 정의 및 구조
1.1. medulla 정의

연수는 뇌의 한 가운데 있으면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는 뇌줄기의 일부이다. 연수는 크게 중간뇌, 다리뇌, 숨뇌 등의 세 부분으로 나뉘며, 그 중 숨뇌(medulla oblongata)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부위로 위로는 다리뇌와 아래로는 척수, 뒤로는 소뇌와 맞닿아 있다. 숨뇌의 앞면 정중선을 중심으로 피라미드라는 융기부가 있고 운동을 담당하는 겉질 척수로 신경 다발의 대부분이 이 곳으로 지나간다. 아래쪽으로는 올리브(olive)라는 타원형 융기가 있고 목소리를 내고 음식을 삼키고 목 주위를 움직이는 등의 기능과 기타 자율 신경계 기능을 담당하는 뇌신경들이 이곳에서 기시된다.


1.2. medulla 형태 및 구조

숨뇌(medulla)는 위로 다리 뇌교(pons)와 연결되고 아래로는 척수와 연결된다. 연수와 척수의 경계는 큰수조(cisterna magna) 위치에 있다. 중심관(central canal)은 연수의 아래 절반까지 이어지고 위 절반은 확장되면서 제4뇌실(fourth ventricle)로 이어진다.

연수의 앞면에는 앞면정중고랑(anterior median fissure)이 있고 양 옆에는 피라미드(pyramid)라고 하는 융기부가 있는데 이는 팔, 다리 운동을 관장하는 겉질 척수로(corticospinal tract)를 구성하는 신경 섬유 다발로 이루어져 있다. 피라미드는 아래로 내려가면서 가늘어지고 섬유의 대부분은 반대편으로 교차하여 피라미드 교차(decussation of pyramids)를 형성한다.

그 아래쪽의 올리브(olive)는 속에 타원형 융기부로 피라미드의 뒤쪽, 바깥쪽에 위치한다. 올리브 뒤에는 숨뇌와 소뇌를 연결하는 아래소뇌다리(inferior cerebellar peduncle)가 위치한다. 올리브와 아래소뇌다리의 사이의 고랑으로부터 제9뇌신경 혀인두신경, 제10뇌신경 미주신경, 제11뇌신경 더부신경이 시작된다.

숨뇌의 위 절반 뒷면은 제4뇌실의 바닥이 되고 뒤쪽정중고랑(posterior median sulcus)이 된다. 가운데 융기한 부분을 혀밑신경삼각(hypoglossal trigone)이라 하고 이곳에는 혀밑신경의 핵이 위치한다. 그 아래쪽으로 미주신경의 등쪽 핵이 위치한 미주신경삼각(vagal trigone)이 위치한다. 뒷면의 바깥 구조를 보면 뒤쪽정중고랑의 양옆으로 널판결절(cuneate tubercle)과 쐐기결절(gracile tubercle)이 위치한다.


2. medulla 기능

숨뇌는 말 그대로 호흡, 순환 등 생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율 신경 기능이 집약되어 있는 부위이다. 척수와 연결되어 운동, 감각의 중요한 통로가 되기도 하고 기침하고 삼키며 목소리를 내는 뇌신경들이 위치해 그와 관련된 기능을 담당하기도 한다. 숨뇌에 위치하는 수많은 교감, 부교감 자율신경계의 기능은 생명을 유지하는 것으로, 자발적으로 호흡을 하게 하고 심장을 뛰게 하며 혈압, 맥압, 혈류 등 생체 징후를 의식과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중간뇌에서부터 숨뇌까지 위치하는 '망상체'라고 하는 부위는 사람을 가장 사람답게 하는 의식을 관장하는 부분으로, 이 부위의 손상은 영구적인 혼수 상태 및 여러 기능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중간 뇌에서부터 다리뇌, 숨뇌, 목뼈의 척수까지는 대뇌에서 나온 운동 신호를 각 팔, 다리로 전달하고 팔, 다리에서 온 감각 신호를 감각 중추로 보내주는 통로 역할을 한다. 숨뇌는 뇌줄기을 이루는 세 부분 중 가장 아랫부분으로 12개의 뇌신경 중 9~12번에 해당하는 뇌신경이 이곳에서 기시한다. 이 신경들을 주로 목 주위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일들을 하는데, 음식을 먹을 때 잘 삼키게 해주는 연하 기능, 목소리를 내게 해주는 발성 기능, 혀를 잘 움직여 발음을 내게 해주는 기능, 혀의 맛을 느끼게 해주는 기능, 목 주위 근육을 움직이게 해주는 기능 등을 담당한다.


3. medullary infarction
3.1. 외측 연수 경색 = wallenberg syndrome
3.1.1. 원인

PICA(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또는 그 가지 중 하나 또는 척추 동맥의 폐색으로 인해 외측 연수 경색(Wallenberg syndrome)이 발생한다"" 이는 뇌간의 측부가 경색하여 전형적인 증상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가장 흔히 영향받는 동맥은 척추 동맥이며, 그 다음으로 PICA, 상급 중간 및 하 유수 동맥이 뒤따른다.


3.1.2. 증상

외측 연수 경색의 전형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이 증후군은 몸무게와 반대쪽의 몸통과 말단에 영향을 미치는 감각 결손과 병변과 같은면과 뇌신경의 감각 결손이 특징이다. 특히 측방 시상 상실이 관련되면 통증과 온도 감각의 상실이 나타난다. 교차 신체 검사는 진단이 가능한 주요 증상이다. 환자는 신체의 어느면이 온도 변화의 대상이 되는지를 기준으로 보행이나 균형 유지(운동 실조)에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비스듬히...


참고 자료

Principle of neurology ( 7th ) Adams
Office practice of neurology ( 2nd ) Samuels
Localization in clinical neurology ( 4th )
D.L. Long 외 5인; 『해리슨 내과학』(2013), 제 18판, 도서출판 MIP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