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개
-
생리학 요점정리2024.10.091. 신경계통의 구조와 기능 1.1. 중추신경계통 1.1.1. 대뇌 대뇌는 인간의 사고, 운동, 감각 등 모든 활동과 인체의 변화를 관장하는 가장 중요한 기관이다. 대뇌는 크게 왼쪽과 오른쪽 두 개의 대뇌반구로 구성되며, 세로틈새에 의해 양쪽으로 나뉜다. 이 두 반구는 뇌들보라는 신경섬유다발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대뇌의 바깥층은 회색질로 이루어진 대뇌겉질이며, 안쪽의 층은 백색질이다. 대뇌겉질은 수의운동을 조절하는 운동영역, 후각, 시각, 미각, 청각 등의 모든 감각을 담당하는 감각영역, 기억, 사고, 판단, 정서 등...2024.10.09
-
인체구조와기능2024.09.091. 인체구조와 기능 1.1. 신경계통 1.1.1. 신경세포의 특성 신경세포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흥분성이다. 모든 세포들은 환경적 변화(자극)에 반응할 수 있는데, 뉴런은 이러한 흥분성이 가장 두드러진 세포이다. 둘째, 전도성이다. 뉴런들은 자극에 반응하여 멀리 떨어져 있는 다른 세포들에게 빠르게 전도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한다. 셋째, 분비성이다. 전기적 신호가 신경섬유의 말단에 도착하면, 뉴런은 다음 세포를 자극하는 화학적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한다. 이처럼 뉴런은 감각, 통합, 운동 등 신경계통의 주요...2024.09.09
-
두개내압상승,뇌졸증,척수손상 질환을 가진 성인을 위한 간호과정2024.09.161. 뇌의 구조와 기능 1.1. 대뇌겉질 대뇌겉질은 바깥쪽의 겉질과 안쪽의 속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은 복잡하게 주름진 회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각 이랑(돌기)은 깊은 함몰인 틈새(열구)와 얕은 함몰인 고랑(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마엽(전두엽)은 중심고랑의 앞쪽과 가로틈새의 위쪽에 위치하며, 이마엽 운동중추의 흥분은 숨뇌(연수)에서 교차하여 반대쪽 신체 움직임을 조절한다. 또한 기억력, 사고력, 추리, 계획, 운동, 감정, 문제해결 등 고등정신작용을 관장하며, 다른 연합영역으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조정하고 행동을 조절한다. ...2024.09.16
-
해부학기말고사2024.11.211. 중추신경계통 1.1. 뇌 1.1.1. 뇌의 조절 기능 뇌는 심장박동(heart rate), 호흡(respiratory rate), 혈압(blood pressure)과 같은 자율신경계통의 조절과 내분비계통의 조절을 담당한다. 또한 뇌신경을 통해 연결된 머리와 목부위를 지배하며, 가장 복잡한 신경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뇌는 지능(intelligence), 의식(consciousness), 기억(memory), 감각운동 통합(sensory-motor integration), 감정(emotion), 행동(behavior), ...2024.11.21
-
wallenberg syndrome2024.11.141. medulla 정의 및 구조 1.1. medulla 정의 연수는 뇌의 한 가운데 있으면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는 뇌줄기의 일부이다. 연수는 크게 중간뇌, 다리뇌, 숨뇌 등의 세 부분으로 나뉘며, 그 중 숨뇌(medulla oblongata)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부위로 위로는 다리뇌와 아래로는 척수, 뒤로는 소뇌와 맞닿아 있다. 숨뇌의 앞면 정중선을 중심으로 피라미드라는 융기부가 있고 운동을 담당하는 겉질 척수로 신경 다발의 대부분이 이 곳으로 지나간다. 아래쪽으로는 올리브(olive)라는 타원형...2024.11.14
-
건강사정 신경계2024.11.191. 신경계의 해부와 생리 1.1. 중추신경계(CNS) 1.1.1. 대뇌 대뇌는 인체에서 가장 복잡한 조직 중 하나로, 오른쪽과 왼쪽의 두 반구로 나뉘며, 대뇌겉질과 대뇌속질로 구성되어 있다. 대뇌겉질은 고차원적 기능을 담당하는 신경세포의 집합이고, 대뇌속질은 신경섬유다발로 뇌의 다른 부분이나 척수와 연결된다. 기능적으로 대뇌는 이마엽(사고, 구성, 집행 기능), 마루엽(지각, 인지 기능), 관자엽(기억, 언어 이해), 뒤통수엽(시각 기능)으로 분류된다. 이마엽은 문제해결, 계획, 판단 등의 고차원적 사고 기능을 담당하며, ...2024.11.19
-
삼차신경2024.10.311. 뇌의 구조와 기능 1.1. 뇌줄기 뇌줄기는 뇌의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부분이다. 뇌줄기는 대뇌와 소뇌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며, 기초적인 생명 유지 기능을 담당한다. 뇌줄기는 크게 중뇌, 소뇌다리, 교뇌, 연수로 구성된다. 중뇌(midbrain)는 뇌줄기의 가장 윗부분에 해당하며, 시각과 운동 기능을 조절한다. 중뇌는 상위 운동신경로에서 운동명령을 내리며, 시각반사 중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중뇌가 손상되면 안구운동장애, 사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소뇌다리(cerebral peduncle)는 대뇌반구와 소뇌를 연결...2024.10.31
-
생리학 요점정리2024.10.271. 근육 1.1. 뼈대근육 1.1.1. 뼈대근육의 구조 뼈대근육은 여러 개의 뼈대근육 세포가 연결되어 길이가 긴 근육섬유를 구성하고 있는 형태이다. 뼈대근육의 기본 구조단위는 근육섬유(muscle fiber)이다. 근육섬유는 수많은 근육잔섬유(myofilament)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근육잔섬유는 액틴(actin), 트로포미오신(tropomyosin), 트로포닌(troponin)이라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가는근육잔섬유(액틴섬유, thin filament)와 미오신(myosin) 단백질로 구성된 굵은근육잔섬유(미오신섬유, th...2024.10.27
-
인체구조와기능2024.10.111. 인체구성과 기능 1.1. 신경계통 1.1.1. 신경세포의 구조와 기능 신경세포(neuron)는 신경계통에서 정보 전달의 주체이다. 신경세포는 세포체(cell body), 수상돌기(dendrite), 축삭(axon) 등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체는 뉴런을 조정하는 센터이며 핵을 포함하고 있어 유전적 조절을 할 수 있다. 수상돌기는 다른 뉴런으로부터 신호를 받는 부분으로, 뉴런에 따라 하나의 수상돌기만 있을 수도 있고 수천 개의 수상돌기를 가질 수도 있다. 축삭은 뉴런이 다른 세포에 보내는 신호의 출력 경로이며, 축삭소구...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