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츄파춥스와 폴로 사탕의 차이점과 공통점
1.1. 차이점
1.1.1. 시작
1.1.2. 네이밍 방식
1.1.3. 특징적 형태
1.1.4. 맛의 상실 속도
1.1.5. 브랜딩
1.2. 공통점
1.2.1. 제품의 특징적 형태에 따른 과학적, 생산적 이점
1.2.2. 소비 사이클에 대한 전략
1.2.3. 맛에 대한 전략
1.2.4. 디자인을 통한 마케팅
2.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망가진 순수의 기억
3. 라틴 아메리카의 단종경작과 경제 저발전 연구 - 사탕수수 단일재배국가 쿠바의 사례를 중심으로-
3.1. 서론
3.1.1. 연구 배경
3.1.2. 연구 목적
3.2. 본론
3.2.1. 쿠바 사탕수수 재배 역사
3.2.1.1. 식민지 개척과 노예 활용에 기초한 플랜테이션 농업
3.2.1.2. 독립 후 쿠바의 사탕수수 산업
3.2.2. 사탕수수 단종경작과 쿠바의 저발전
3.2.2.1. 혁명 이후 단종경작 체제의 지속
3.2.2.2. 쿠바의 경제 저발전
3.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츄파춥스와 폴로 사탕의 차이점과 공통점
1.1. 차이점
1.1.1. 시작
폴로 사탕의 시작은 기존 타 브랜드의 이미지를 그대로 카피하여 타국에서 출시한 모방에 불과하다. 반면 츄파춥스는 당시의 막대사탕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통해 지금의 형태로 만든 독창적인 결과물이다. 당시의 막대사탕은 대부분 나무막대에 커다란 크기의 사탕을 꽂아 파는 형태였는데, 사탕의 큰 부피로 인해 설탕물이 흘러내려 불편했고 나무막대는 비위생적이었다. 이에 츄파춥스의 창업주는 사탕을 한입 크기로 개선하고 나무막대를 플라스틱 막대로 변경하여 츄파춥스를 탄생시켰다.
1.1.2. 네이밍 방식
츄파춥스와 폴로 사탕의 두 번째 차이점은 '네이밍 방식'이다. 츄파춥스의 경우 "츄파춥스"라는 이름은 빠는 행위의 의성어를 브랜드 네이밍에 사용했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이 이름을 들으면 빨아먹는 사탕이라는 이미지가 자연스럽게 연상된다.
반면 폴로 사탕의 경우 "폴로"라는 이름은 북극을 뜻하는 'polar'와 발음이 유사한 "polo"를 사용했다. 이는 폴로 사탕이 주는 시원한 민트 느낌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폴로 사탕의 이름을 들으면 시원한 상쾌함이 떠오른다.
이처럼 두 브랜드는 서로 다른 네이밍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소비자들의 각기 다른 감각적 이미지를 불러일으키게 된 것이다.
""
1.1.3. 특징적 형태
폴로 사탕의 특징적인 형태는 중간에 구멍이 뚫려 있다는 점이다. 이 구멍은 실수로 인해 탄생한 결과물이었다. 폴로 사탕의 전신인 생명구조 사탕(Life Savers)의 창업자 크레인은 이 구멍을 개성 있는 디자인이라고 여겼고, 고무 튜브와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Life Savers"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후 폴로 사탕이 생명구조 사탕의 디자인을 모방하면서 이 구멍이 폴로 사탕의 특징적 형태가 되었다.""
반면 츄파춥스 막대사탕의 플라스틱 막대 디자인은 사탕이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한 과학적 사고의 결과물이다. 사탕을 제조할 때 속이 빈 플라스틱 막대에 조그마한 구멍을 내어 원액이 스며들어 굳게 되도록 함으로써 걸림쇠 역할을 하여 사탕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같은 양의 재료로 같은 길이의 원형을 만들 경우 속이 빈 경우가 더 튼튼하다는 과학적 원리를 활용하였다. 이로써 플라스틱 막대는 손의 끈적거림을 해결하는 동시에 사탕의 크기와 모양을 사람 입의 사이즈에 맞추는 등 과학적 디자인의 결과물이었다.""
1.1.4. 맛의 상실 속도
사탕에서 얻을 수 있는 맛은 녹는 속도에 비례하고, 녹는 속도는 사탕의 표면적에 비례한다. 츄파춥스의 구형 디자인은 입 안에서 균일한 속도로 녹아 맛의 감소가 급격하지만, 폴로 사탕의 환형 원통 모양은 내부 반경이 증가하고 외부 반경이 줄어드는 형태로 녹아 맛의 점진적 손실이 상대적으로 적다. 즉, 폴로 사탕의 형태적 특징은 맛의 상실 속도를 더디게 하는 과학적 디자인의 결과물이다.
1.1.5. 브랜딩
마지막 차이점은 브랜딩이다. 츄파춥스의 로고는 달리의 영감에 의해 디자인되어 다듬어져 왔지만, 폴로는 전문 디자인 에이전시인 택시에 의해 리브랜딩 된 현대 브랜딩의 사례이다. 츄파춥스는 츄파춥스의 경우 유럽의 디자인 방식인 예술적 사고를 바탕으로 창조된 로고 디자인 하나로 파격적인 매출의 상승을 이끌었다. 이는 제품 판매에 디자인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인식시키는지를 인식시키는 마케팅의 전설 같은 선례로 남아있게 되었다. 반면 폴로는 미국의 디자인 방식인 기능주의와 상업주의에 초점을 맞춰 브랜딩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폴로 또한 유럽의 브랜드이지만 미국의 제품을 모방한 것으로 그 기원은 미국의 디자인 방식을 따른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1.2. 공통점
1.2.1. 제품의 특징적 형태에 따른 과학적, 생산적 이점
제품의 특징적인 형태에 따른 과학적, 생산적 이점이다. 폴로 사탕의 구멍은 생산 시 50%의 원료로 2배 큰 부피의 사탕을 만들 수 있게 해주며, 포장의 지름이 커져 같은 원료 대비 제품이 더욱 풍성해 보이는 효과를 준다. 츄파춥스의 플라스틱 막대 또한 사탕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플라스틱 막대의 속을 비우고 구멍을 내는 디자인의 결과물이다. 이처럼 폴로와 츄파춥스 모두 제품의 특징적인 형태에서 과학적이고 생산적인 이점을 찾을 수 있다.
1.2.2. 소비 사이클에 대한 전략
폴로 사탕의 구멍은 실수로 인해 생겨났지만, 소비자들은 이를 폴로 사탕의 특징적 모양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폴로 사탕의 구멍은 같은 양의 재료로 더 큰 부피의 사탕을 만들어낼 수 있게 해주는 생산적 이점을 가져다주었다.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에게 폴로 사탕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부여하여 구별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였다.
마찬가지로 츄파춥스의 플라스틱 막대 디자인도 사탕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과학적 원리에 기반하고 있다. 사탕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사람 입의 사이즈에 맞추는 등 소비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디자인이었다. 이처...
참고 자료
https://www.nestle.co.uk/en-gb/media/newsfeatures/a-hole-lot-of-history-polo-turns-seventy
http://www.fontclub.co.kr/?p=4158
김훈, 『세계사를 뒤흔든 스페인의 다섯 가지 힘』, 유노북스(2020)
김형자, 『구멍에서 발견한 과학』, 갤리온(2007)
Martin, Carla D. “Popular Sweet Tooths and Scandal.” Digital Image. AAAS 119x Lecture 9. Cambridge. 25 Feb. 2015. Lecture.
윤정현, 쿠바의 지속가능한 농업과 정책
시드니 민츠, 『설탕과 권력』, 지호(1998)
유항근, 홍일곤(2002), 『지리적, 기후적 여건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응용경제, 제4권 제1호. 한국응용경제학회.
김승욱(2006), “재산권과 경제성장: 노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2006 경제학 공동학술대회(2006년 2월 16일). 한국하이에크소사이어티.
그림1,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ZdI8&articleno=6993&categoryId=134®dt=20180801163506
쿠바 통계청, UN FAO(www.fao.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