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미생물에 대한 이해
1.1. 박테리아
1.1.1. 세균의 정의
세균은 현미경으로만 관찰할 수 있는 무핵(無核)의 단세포성 생물이다. 엽록소를 갖지 않고, 세포의 2등 분열에 의해 늘어나는 생물이다. 전체 생물 중 그 수가 가장 많으며, 지구 환경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1.2. 세균의 특징
세균은 하나의 세포로, 동·식물보다 단순한 형태의 생물이다"" 세균은 스스로 양분을 만들지 못하여 땅, 물, 공기, 동식물, 사람의 몸속 등에서 양분을 얻어 살아가야 한다"" 따라서 세균은 생물의 몸이나 자연환경 등 어느 곳에나 널리 분포하고 있다"" 세균은 종류가 매우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물질을 분해하고 생산하므로 우리에게 유익하기도 하고 유해하기도 한다"" 이처럼 세균은 지구환경 유지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또한 세균은 살기 적절한 조건이 되면 단시간 안에 폭발적인 증식이 가능하다""
1.1.3. 세균의 형태
세균의 형태는 둥근알균(cocci), 막대균(bacillus), 나선균(spirillum)으로 구분된다.
둥근알균은 완전히 둥근 모양의 포도알균, 사슬알균, 완두콩 모양의 쌍알균, 란셋 모양의 폐렴알균 등이 있다. 막대균은 굵고 둥근 것, 가늘고 뾰족한 것, 약간 만곡되어 있는 것 등이 있다. 나선균은 꼬임의 주기가 크고 불규칙한 보렐리아, 꼬임이 작고 규칙적인 트레포네마, 선단부분이 굽어진 렙토스피라 등이 있다.
세균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micrometer(㎛)로 표시하며, 알균은 직경으로, 막대균은 장경과 단경으로 나타낸다.
1.1.4. 세균의 구조와 기능
세균의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세균의 세포벽은 어는 것이나 2~3층의 막으로 되어 있는데, 그중 1층은 펩티도글리칸 층이라 불리는 세균 특유의 구조로서 모든 세균의 세포벽에 존재한다. 세포질막은 균체 내외의 물질 투과를 조절하는 삼투압 장벽의 역할을 하며, 낮은 삼투압 하에서는 세포 내용물이 유출하여 세포질막만 남게 되는데 이를 "ghost"라고 한다. 세포질에는 박테리아 진핵세포와 달리 사립체나 엽록체가 없지만,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리보솜이 있다. 핵양체는 진핵세포와 달리 핵막을 갖지 않고 하나의 긴 2중 나선구조를 가지는 DNA분자로서 세균의 유전을 담당한다. 협막과 점액층은 외래인자에 의한 용균작용이나 백혈구에 의한 탐식작용을 막는다. 편모는 운동성을 가진 세균의 균체 표명에 부착되어 있으며, 편모의 배열 방식에 따라 단모성, 쌍모성, 총모성, 주모성으로 나뉜다.
1.1.5. 편모에 따른 세균 분류
편모에 따른 세균 분류는 다음과 같다"".
무모균은 편모가 없는 세균이다. 대표적인 예로 시겔라(Shigella)가 있다"".
단모균은 세균 끝 부분에 하나의 편모를 가지고 있다. 비브리오(Vibrio)가 이에 해당한다"".
양모균은 세균의 양끝 부분에 하나 이상의 편모를 가지고 있다. 슈도모나스(Pseudomonas)가 그 예이다"".
총모균은 한쪽 또는 양쪽에 두 개 이상의 편모를 가지고 있다. 스피릴룸(Spirillum)이 대표적이다"".
주모균은 세균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편모를 가지고 있다. 프로테우스(Proteus)가 이에 해당한다"".
1.1.6. 세균관련 질환
세균관련 질환은 식중독, 헬리코박터 감염증, 출혈성 장염 등이 있다.
식중독은 음식물이나 피복류를 변패시키는 부패세균과 사람이나 동식물에 기생하거나 독소를 생산하여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세균에 의해 발생한다. 대장균, 캄피로박터 식중독, 콜레라균,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장염 비브리오 등이 대표적인 원인균이다. 이들 감염증은 주로 오염된 식품이나 음식물 섭취를 통해 발생하며, 손 위생관리, 식품 저온보관 등으로 예방할 수 있다.
헬리코박터 감염증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 의해 발생하는 만성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이다. 사람이 주요 감염원이며 분변-구강 경로로 전파된다. 예방을 위해서는 비타민 C가 풍부한 야채 섭취, 청결한 위생관리가 필요하다. 치료를 위해서는 산분비 억제제와 항생제 투여가 효과적이다.
출혈성 장염은 장출혈성 대장균(EHEC)에 의해 발생한다. 증상으로 중증 설사와 복통이 나타나며, 격리와 수액요법 등의 치료가 필요하다. 예방을 위해서는 오염된 식품 섭취 주의와 개인위생 수칙 준수가 중요하다.
이처럼 세균관련 질환은 식중독, 소화기계, 비뇨생식기계, 중추신경계 등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하며, 예방과 치료에 개인위생 관리가 필수적이다."
1.2. 진균
1.2.1. 진균의 정의
진균은 곰팡이, 효모, 버섯을 포함한 72,000종 이상의 균종으로 구성되는 미생물 집단이다. 곰팡이라고 불리는 진균은 핵막을 가진 진핵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균보다 크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진균은 발육 양식에 따라 접합균류, 자낭균류, 담자균류, 불완전균류로 나뉘며, 병원성을 일으키는 주된 균류는 불완전균류에 대부분 속한다.
1.2.2. 진균의 특징
진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pH에 대해 대부분의 진균은 약산성을 좋아하며, pH 4-6의 환경을 선호한다. 온도 면에서 다른 생물종에 비해 저온에서도 잘 생존할 수 있으며, 병원성 진균의 경우 사람의 체온 정도의 온도를 선호한다. 습도 측면에서 진균은 습한 환경을 좋아하며, 산소 조건에서는 산소가 없어도 성장이 가능한 통성 혐기성균이다. 영양분의 경우 기생생활을 통해 영양분을 획득한다. 햇빛에 대해서는 광합성을 하지 않으므로 어두운 곳에서도 잘 성장한다. 또한 진균은 핵막, 사립체, 골지복합체, 세포질그물 등의 소기관을 가지고 있는 진핵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