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정관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정관념과 다시 생각하기
1.1. 고정관념의 개념과 특성
1.1.1. 고정관념의 개념
1.1.2. 고정관념의 형성과 강화
1.1.3. 고정관념의 지속과 영향
1.2. 고정관념으로부터의 탈출
1.2.1. 확증 편향과 과도한 확신
1.2.2. 다시 생각하기의 과정
1.2.3. 다시 생각하기의 실천적 방법
1.3. 교육에서의 다시 생각하기
1.3.1. 기존 교육의 문제점
1.3.2. 다시 생각하는 교육 방식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정관념과 다시 생각하기
1.1. 고정관념의 개념과 특성
1.1.1. 고정관념의 개념
고정관념(Stereotype)은 "최소 노력의 법칙"으로 표현되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특정 집단이나 사회적 범주 내 구성원들이 가지는 특성이나 성질, 가령 사회적 역할이나 성격적 특질을 인지적으로 일반화시킨 신념이나 기대를 말한다""
고정관념은 사람들이 자신이 속한 집단의 다른 구성원과 일정한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외집단 구성원들은 서로 더 획일적인 것으로 지각하는 외집단 동질성 편향 때문에 발생한다"" 또한 고정관념은 상대방을 비하하거나, 자신의 우월감을 확인하기 위해서도 나타나기도 한다""
1.1.2. 고정관념의 형성과 강화
고정관념의 형성과 강화는 크게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사람들은 같은 범주에 속한 구성원들은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여기고 이러한 특성을 일반화시킬 때 고정관념이 만들어진다. 즉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집단의 다른 구성원과 일정한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외집단 구성원들은 서로 더 획일적인 것으로 지각하는 외집단 동질성 편향을 가진다. 이러한 편향 때문에 다른 구성원들도 일반화를 하게 된다. 이때 상대방이 지닌 성, 인종, 연령 등의 집단 정보는 무의식적으로 자동처리 되고, 고정관념은 착각상관(illusory correlation)으로 설명된다. 그리고 고정관념은 상대를 비하하거나, 우월감을 맛보기 위해서도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특정 집단의 구성원에게 기대했던 행위를 구성원이 하게 되면 그 행위에 대해서 고정관념을 확증하고 강화하게 된다. 즉 고정관념은 자성예언의 작용과정을 가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직업에 대한 고정관념이 있는 경우, 그 직업군에 속한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기존 고정관념을 더욱 강화하게 된다.
이처럼 고정관념은 사람들의 편향된 인식과 자성예언의 메커니즘을 통해 형성되고 지속적으로 강화된다. 이는 객관적인 사실과 동떨어진 편파적인 판단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1.1.3. 고정관념의 지속과 영향
고정관념의 지속과 영향은 첫째, 사람들이 특정 행위를 상황에 따른 일시적인 것이 아닌 그 사람의 성격으로 결론 짓는 근본적 귀인오류(fundamental attribution error)와 둘째, 그가 ...
참고 자료
사회심리학, Aronson·Wilson·Akert, 박권생 외 3인 옮김, 시그마프레스, 2015.
사회심리학, David G, Myers, 이종택 외 5인 역, 한올출판사, 2015.
사회심리학, 정태연 외 10명, 학지사, 2016.
사회심리학의 이해, 한규석, 학지사, 2009.
사회심리학 교안, 배움사이버평생교육원, 2016.
장몽몽. "소비자의 성 스키마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