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보건의료 협력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보건의료 팀 간 협력과 업무조정
1.1. 협력과 조정의 개념
1.2. 협력과 조정의 중요성
1.3. 보건의료 팀 간 협력과 조정의 필요성
1.4. 보건의료 팀 간 협력과 조정의 영역
2. 효과적인 보건의료 팀 협력을 위한 전략
2.1. 의사소통 향상
2.2. 팀워크 증진
2.3. 전문가 간 역할 이해
3. 보건의료 팀 간 협력 사례
3.1.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협력
3.2.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협력
4. 보건의료 팀 간 협력 문제와 해결방안
4.1. 협력 문제의 원인 분석
4.2. 협력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
5. 보건의료 팀 간 협력 관련 논문 고찰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보건의료 팀 간 협력과 업무조정
1.1. 협력과 조정의 개념
협력이란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서로 돕고 힘을 합하여 함께 노력하는 것이다. 동일한 목표를 위해 요구되는 업무를 각 서비스 제공자가 함께 수행해나가는 과정이다. 최근 의료제공자 중심의 케어서비스에서 환자 중심의 케어 서비스로 전환되고 있으며, 환자중심의 케어 서비스를 위해서는 보건의료 서비스 기관 간, 전문직종 간, 동일 직종 간 혹은 환자 가족과 의료진 간 업무의 협력이 필요하다.
조정이란 공통의 목표를 위해 통합하는 것으로, 조직을 효과적으로 연계하여 상호작용을 통해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해 모든 부분의 활동을 통합·조화시키는 것이다. 환자 케어 서비스 조정이란 둘 이상의 참여자(환자 포함)가 환자 케어 활동을 신중하고도 구체적(체계적)으로 구성하여 케어 서비스를 적절히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협력과 조정은 환자 중심의 양질의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1.2. 협력과 조정의 중요성
협력과 조정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의료는 각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팀을 통한 의료서비스 제공이 보편화 되어있고, 의료부분에 있어 의료의 질과 효율성은 의료 전문 인력 간의 조정과 협력 정도에 달려있다. 보건의료체계 내 서비스를 제대로 조정하여 전문직 간 협력을 높이면 보건의료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케어 서비스 조정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의료팀 내의 업무는 복잡하게 정해져 있고 상호연계작용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원활한 협력이 필수적이다. 모든 환자 케어 활동에 요구되는 인적, 물질적 자원을 이용하려면 케어의 각 측면을 담당하는 참여자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하여 업무를 적절히 분배하고 협력해야 한다.
셋째, 간호사 윤리강령에도 '간호사는 대상자의 간호와 관련된 사람의 고유한 역할을 존중하여야 하며 협력한다'라는 의무와 책임이 명시되어 있다. 이는 협력과 조정이 간호사의 핵심적 역할이자 윤리적 책임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넷째, 최근 의료제공자 중심의 케어서비스에서 환자 중심의 케어 서비스로 전환되고 있다. 환자중심의 케어 서비스를 위해서는 보건의료 서비스 기관 간, 전문직종 간, 동일 직종 간 혹은 환자 가족과 의료진 간 업무의 조정과 협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환자의 요구와 선호를 맞추어 나가며 높은 질과 가치의 돌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협력을 통해 중복 노력을 방지하고 기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간호사-의사 간 협력은 환자의 사망률과 재원일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등 환자안전과도 직결된다.
따라서 보건의료 분야에서 협력과 조정은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 의료비용 절감, 환자 안전보장, 간호사 직무만족도 증진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3. 보건의료 팀 간 협력과 조정의 필요성
보건의료 팀 간 협력과 조정은 안전하고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 의료 서비스의 질과 효율성은 의료 전문 인력 간의 조정과 협력 정도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보건의료체계 내에서 서비스를 제대로 조정하고 전문직 간 협력을 높이면 보건의료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케어 서비스 조정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건의료 팀 간의 협력을 통해 중복 노력을 방지하고, 전문가들의 기술과 역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환자의 안전을 위해서는 보건의료 팀 간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간호와 관련된 사람의 고유한 역할을 존중하고 협력해야 한다는 윤리강령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의사, 간호사 간의 협력은 환자의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매우 중요하다.
이처럼 보건의료 팀 간 협력과 조정은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 의료비용 절감, 환자 안전 보장 등 다양한 측면에서 필요하다. 따라서 보건의료 현장에서 전문직 간 상호 존중과 개방적 의사소통,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1.4. 보건의료 팀 간 협력과 조정의 영역
보건의료 팀 간 협력과 조정의 영역은 환자와 가족, 보건의료 전문가, 그리고 보건의료체계 차원에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환자와 가족의 측면에서 보면, 보건의료 서비스 조정을 위해 환자와 가족의 요구도와 선호도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각 서비스 관련 담당자나 전문직종 및 기관은 이러한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해야 한다. 특히 환자나 보호자는 병원 혹은 지역사회 등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담당자, 진료...
참고 자료
신미자 외(2022). 개정판 간호관리학. 수문사
박은진, 한지영(2018). 병원종사자의 조직 의사소통과 팀워크가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및 환자안전보장활동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474-498
이인복 (2019.03.26.). 내시경 환자 투약오류로 식물인간…의료진 벌금형 (medicaltimes.com)
김준규, 송영숙, and 서순림(2021). 임상간호사의 투약오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정보통계학회지. 19~27
류한술, “환자 확인 잘못으로 발생하는 투약오류 주의하자” , 경인종합일보, 2022.04.19, https://www.jonghap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0670
김은영, “예방 가능한 환자안전사고 ‘투약오류’ 줄이려면?”, 청년의사, 2021.05.14.,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0618
최윤경, “세계환자안전의 날을 맞이하여”, 의학신문, 2021.08.30.,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7411
KOPS,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 ‘환자에게 처방되지 않은 다른 의약품 투여’ https://www.kops.or.kr/portal/aam/atent/atentAlarmCntrmsrDetail.do
이미지, 이윤미, 신소영, & 조정현. (2022). 국내 보건의료 전문가의 협력적 실무 경험. 중환자간호학회지 년월제권제호, 2(15), 1.
권의옥, 이명하, 정석희, 김희선.(2019).간호사-의사 협력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간호행정학회지,25(3),186-197.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수정판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1”. 수문사. 2022. 경기도 파주시
신미자, 김성진, 김지미, 김현경, 남정자, 이종율, 전민경 외 공저. “개정판 간호관리학”. 수문사. 2022. 경기도 파주시
이은경, 김옥현.(2009).간호사의 전문 인력 간 협력과 대인 의사소통 능력.의료커뮤니케이션,4(1),49-57.
안효자 외. 2018.09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수문사, 경기도 파주시
권성복, 안화영, 곽명희, 윤숙현. (2019). 병원 간호조직 내 간호사의 갈등 경험. 간호행정학회지, 25(5), 499-509.
건강한 인간관계를 위한 의사소통 기술, 양경희(2019), 퍼시픽북스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 스킬, 김진모(2018),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염영희 외(2020), 간호관리학 개정7판 학습성과기반,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