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부부관계가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1.1. 서론
부부관계가 가족을 만드는 가장 기본적이면서 초기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로서,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부부의 갈등이나 이혼한 경우 자녀의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요즘 방송 프로그램을 보면 부부관계에 관련된 프로그램과 아이들의 행동 교정 프로그램들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그런 방송에서 공통적으로 나온 이야기들 중 이혼가정의 가족관계를 다루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혼한 부부의 사례를 통해 부부관계가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려 합니다.
1.2. 본론
1.2.1. 이혼 부부관계의 문제점
1.2.1.1. 경제적인 문제
이혼으로 인해 여성이 더 경제적인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이혼은 부부 양쪽에 수입의 감소를 가져 오는 것으로 보입니다. 한집에서 두집으로 나누어 살면서 불화는 없어 질수 있지만 살림이 나누어지면서 지출이 더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가족 내에서 가정의 역할과 생계부양자로서의 책임-역할이 가증됨으로 어려움은 더 큽니다. 대부분의 한 부모가족은 경제적인 빈곤을 경험하고 있는데, 경제적 수입을 벌기 위한 직장생활과 가사와 아동양육을 병행하는데서 생기는 경제적 빈곤이 발생합니다.
1.2.1.2. 신체적 · 정신적 건강상의 문제
이혼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든지 또는 그렇지 않든지 간에 당사자 부부는 심리적 · 정서적 불안을 경험하게 됩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결혼의 붕괴는 면역체계를 변화시키어 이혼 후 조기사망률, 교통사고 및 기타 상해, 만성적 무능력과 질병, 자살, 우울증, 알코올중독, 마약 등의 유혹에 빠지는 경우가 더 높다는 결과는 이혼의 부정적 요소를 지적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불안정한 감정을 조절하고 가족을 지켜야 한다는 점이 큰 어려움이 되고 있으며, 아이와 함께 지내며 감정조절을 하는 것은 더욱 어려워 보였습니다.
1.2.1.3. 부모 · 자녀관계 문제
이혼 후 부모도 모든 변화에 혼란스럽고 자녀도 혼란스러운 상황에 경제적 문제와 양육 그리고 심리적 문제까지 모두 변화가 되어 안정성을 찾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해 보였다. 사례자의 경우 엄마는 아들을 키우며 씩씩하게 이겨내려고 아이 앞에서 강한 모습을 보이려 노력하고 아들과의 관계를 잘 유지하고자 했었다. 그러나 아들은 엄마에게 받은 사랑이 부족해서 인지 엄마의 심리적 불안이 느껴져서 인지 엄마와 관계가 좋지 않고 항상 엄마에게 불만을 표출했다. 이는 부부관계로 인해 발생한 이혼이 자녀에게까지 영향을 주며 부모 자녀 관계에 악영향을 준 사례라고 볼 수 있다.
1.2.2. 이혼한 부부관계가 부모자녀에게 미친 영향
1.2.2.1. 심리 · 정서적 문제
이혼하는 부모에게는 이혼이 하나의 선택일 수 있지만, 자녀들의 경우는 그렇지 못합니다. 이혼당사자인 부모는 자신의 문제를 돌보느라 자녀에 대한 배려에 소홀해 질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아이들의 심리와 정서적인 문제가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혼한 부모와 함께 살아야 하는 자녀들은 양 부모와의 상실과 이별로 인한 충격과 혼란스러운 정서를 겪게 됩니다. 이러한 부모의 이혼은 자녀들의 자아개념 형성과 정체성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