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방송통신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좋은 글쓰기와 단어 활용
1.1. 좋은 글의 요건
1.2. 단어 쌍의 차이 설명 및 예문 작성
1.3. 적절한 어휘 선택
2. 스트레스 관리
2.1. 스트레스의 이해
2.2. 스트레스 인식 및 측정
2.3. 스트레스 관리 계획 및 실천
2.4. 스트레스 관리 결과 평가
3. 절주 교육
3.1. PRECEDE-PROCEED 모형
3.2. 절주 교육의 필요성
3.3. 절주 교육 계획 및 실행
3.4. 절주 교육 평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좋은 글쓰기와 단어 활용
1.1. 좋은 글의 요건
좋은 글은 글의 의도가 분명하고 독자를 고려하여야 하며, 정확하고 충실한 내용을 담아내야 한다. 이런 내용이 잘 전달되기 위해서는 짜임과 정확한 표현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첫째, 글의 목적과 독자를 고려해야 한다. 글은 동기나 목적에 따라 양식과 문체가 달라지며, 과정도 달리하기에 글을 쓰기 전에 자신이 글을 쓰는 이유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독자에 따라 어휘와 문체, 내용 수준이 고려되어야 한다. 좋은 글은 독자가 끝까지 읽을 수 있으며, 이해할 수 있는 글이기 때문이다.
둘째, 내용의 충실함과 정확성이 필요하다. 사실에 토대를 둔 충실한 글은 이해의 폭을 넓혀 주고 깨달음을 주며 신뢰감을 준다. 정확한 내용과 적절한 근거를 기반으로 한 글은 자신의 글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책임이다.
셋째, 글의 표현이 정확해야 한다. 단어를 선택하거나 영어나 한자를 병기하여 설명해 주는 것이 중요하며, 문맥과 단어에 대한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문장의 길이는 짧고 명료한 것이 기본적인 좋은 글이나, 설명을 위해 길어져 모호해진 문장은 읽었을 때 제대로 해석되는 문장이라면 일시적이고 불가피한 것이기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넷째, 글의 짜임새가 중요하다. 문장과 단락, 글의 전문이 통일성을 유지하며 논리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글의 짜임을 구성해야 하며, 의도에 맞춰 적절한 구성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더불어 일관된 흐름을 유지하며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구체적 논거를 제시하며 적확한 해석을 전달해야 완결성 있는 좋은 글을 마무리할 수 있다.
결국 좋은 글을 위해서는 글의 의도와 독자에 대한 고려, 내용의 충실성과 정확성, 정확한 표현, 그리고 논리적인 구성 등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 단어 쌍의 차이 설명 및 예문 작성
'1.2. 단어 쌍의 차이 설명 및 예문 작성'
(1) '으로서'와 '으로써'
'으로서'는 신분이나 지위를 나타내며, '으로써'는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낸다.
'으로서'의 활용 예문:
A. 이 프로젝트의 총괄 기획자로서 최고의 성과를 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B. 내포된 의미 없이 예쁘기만 한 이런 로고는 디자이너로서 용납할 수 없다.
'으로써'의 활용 예문:
A. 인사이트를 정확히 함으로써 제안서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B. 내가 기획2팀 팀장이 된 지 올해로써 3년이 되었다.
(2) '-데'와 '-대'
'-데'는 자신의 과거 경험을 의미하고, '-대'는 누군가가 전해준 말을 전할 때 사용된다.
'-데'의 활용 예문:
A. 바뀐 기아 로고 세련됐던데?
B. 교원그룹 마케팅 외주 작년에 우리가 했었는데, 기업 규모에 비해 돈을 너무 적게 주더라.
'-대'의 활용 예문:
A. 강아지도 잠잘 때 꿈을 꾼대.
B. 신세계그룹 로고 공모전 1등 하면 1,000만 원 준대.
(3)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부딪치다'는 능동의 의미로 '밀치다', '넘치다'와 유사하며, '부딪히다'는 피동의 의미를 가진다.
'부딪치다'의 활용 예문:
A. 앞도 안 보고 달려가더니 결국 전봇대에 머리를 부딪쳤다.
B. 기획팀과 디자인팀은 업무상 부딪칠 일이 많다.
'부딪히다'의 활용 예문:
A. 달려오는 강아지를 피하려다 옆에 있던 아이와 부딪혔다.
B. 최치원은 당나라 빈공과에서 급제할 만큼 실력이 있었지만, 6두품이라는 신분의 장벽에 부딪혀 꿈을 펼치지 못한 채 낙향하였다.
(4) '어떻게'와 '어떡해'
'어떻게'는 부사로 서술어를 대신할 수 없지만, '어떡해'는 '어떻게 해'의 줄임말로 서술어의 자리에 쓰일 수 있다.
'어떻게'의 활용 예문:
A. 어떻게 하면 너처럼 돈을 많이 벌 수 있을까?
B...
참고 자료
김영임, 박영임, 이규영, 보건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이영란 외, 수문사 보건교육학, 2017
김지영, 2010, 직장인 직무스트레스의 대처 방안을 위한 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
정성희, 박영숙, 생활과건강, 출판문화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