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토목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토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LCA 기반 PSC 교량 환경부하 특성 분석
2.1. LCA의 이론적 특성 분석
2.1.1. LCA의 정의
2.1.2. LCI의 정의
2.2. 기존연구동향 분석
2.2.1. 연구현황

3. BIM 기반 토공량 산출 기법
3.1. BIM의 개요 및 선행연구동향
3.1.1. BIM의 정의
3.1.2. 토공량 산출 관련 선행연구동향
3.2. 문제인식 및 분석
3.2.1. BIM기반 토공량 산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3.3. BIM 기반 토공량 산출 프로세스

4. 결론
4.1. 연구 결과
4.2. 기대효과 및 향후연구방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산업혁명 이후 급격한 기술개발과 경제발전으로 인한 환경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세계 각국은 제품 생산에서 폐기과정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환경오염 물질을 파악하고 줄여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내 또한 2015년 1월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시행되는 등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사업의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부하량을 절감하고 그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의 환경부하 평가는 주로 탄소 배출량 위주였으나, 환경부에서 "탄소성적표지" 제도를 운영하면서 전과정평가(LCA) 기반의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LCA 기반의 ISO 환경부하 범주 중심의 환경부하량 예측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획 및 설계단계에서의 수량산출서를 기반으로 LCA 기법을 활용한 PSC 교량의 환경부하량을 주요자재별, 범주별로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PSC 교량 건설의 기획 및 기본설계 단계의 의사결정에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PSC 교량을 대상으로 전과정평가(LCA) 기법을 활용해 환경부하량을 분석한다. 이에 따라 32곳의 PSC 교량을 대상으로 수량산출데이터 EBS(Event Breakdown System)건설공사비 내역작성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주요 건설자재 및 중장비 에너지 사용량을 산정하여 전과정을 평가하고 정량적으로 8가지 항목을 에코포인트로 산출한다.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첫째, 제1장에서는 연구수행의 배경 및 목적, 범위 및 방법을 설정하여 본 연구의 전체적인 수행절차를 제시한다.
둘째, 제2장에서는 본 연구와 관련된 LCA 기법의 특성 분석과 선행연구 분석을 수행한다.
셋째, 제3장에서는 연구대상범위를 선정하고 분석에 적용할 목록분석과 환경부하 영향범주를 정의하여 LCA 기법의 분석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넷째, 4장에서는 PSC 교량의 환경부하특성을 정리하여 정량적으로 산출하고 주요 자재별, 환경부하 범주별 특성을 비교분석한다.
다섯째,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와 효용성 및 제약사항,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한다.


2. LCA 기반 PSC 교량 환경부하 특성 분석
2.1. LCA의 이론적 특성 분석
2.1.1. LCA의 정의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는 전과정에 관련된 투입물과 산출물의 목록을 취합하여 처리하고, 이러한 투입산출물에 관련된 환경 영향들을 평가하여 얻을 결과를 연구에 맞게 해석함으로써 제품이나 서비스와 관련된 환경적 영향을 평가하는 기술이다. 전과정평가는 대상 제품 및 서비스가 자원 채취에서 제조, 유통, 소비, 재활용 및 폐기에 이르기까지의 전과정에 대한 환경영향을 객관적, 정량적으로 분석, 평가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론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국제표준화기구(ISO)를 통해 수행 절차와 방법이 규격화(ISO14040-14049)됨으로써 점차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전과정평가(LCA)의 목적은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전과정을 통한 자원, 에너지소비 및 환경오염 부하를 최소화시키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2.1.2. LCI의 정의

전과정 목록분석 단계는 앞서 정의한 연구의 목적과 범위에 부합하는 연구대상 시스템에 대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 데이터의 물질 수지, 에너지 수지, 물 수지를 기능단위에 적합하게 계산하여 제품 또는 서비스의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부하를 도출하는 단계이다. 이렇게 도출된 환경부하는 그 자체로도 의미를 가질 수 있지만, 앞서 정의한 특성화 인자들의 정량적인 값을 도출하기 위해 전과정 영향평가 단계에서 사용된다.


2.2. 기존연구동향 분석
2.2.1. 연구현황

국내외 문헌 고찰 결과, 토공량 산출에 대한 연구는 국내의 경우 토공장비의 용량에 시간당 작업량을 곱하는 단순 산술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국외의 경우 변화되는 토공량을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량의 토공작업 후 레이저 스캐너로 이미지데이터를 취득하여 토공작업 후 토공량을 산출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분석되었다....


참고 자료

권석현(2008), 건설사업의 환경경제성 평가모델 개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철(2014), LCA를 이용한 고속철도 건설단계에서의 포괄 환경성 평가,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민성규(2013), LCA 분석을 활용한 공항포장의 환경부하 저감 방안 수립을 위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재성(2011), 도로시설물의 환경비용 분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공찬휘(2015), LCA기반 물질흐름분석 기법을 이용한 고속도로 건설에서의 총 자원요구량 산정,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한권(2001), LCA를 적용한 건축물의 환경부하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문진석(2009), 도로건설공사의 환경요인 전과정평가(LCA) 분석 및 사례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홍정우(2010),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탄소배출량(LCCO2)산정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규연(2015), 아스팔트포장의 탄소배출량 추정을 위한 간략화 LCA모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정도환(2014), 전과정평가(LCA)를 이용한 정수장의 환경부하 저감방안 수립을 위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배은석(2015), 전과정평가를 이용한 아파트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충식, 정혁상, 이성우,“보강토옹벽의 사고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토목섬유학회 논문집, 제3권 2호, pp. 13~21, 2004
양남용, “강우침투에 의한 보강토옹벽의 거동 해석”, 박사학위 논문, 2011
최승완, “절토부 보강토옹벽의 안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2013
강호명, “보강토옹벽의 시공실패 사례분석을 통한 효율적 시공방법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2008
유찬호, “절·성토 보강토옹벽의 작용토압 분석과 전면블럭 두께 산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2010
강호명(2008), “보강토옹벽의 시공실패사례분석을 통한 효율적 시공방법에 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정모(2012), “보강토옹벽 설계/시공개선방안”, 울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유충식, 정한용, 정혜영, 정혁상,“집중 강우 시 발생한 블록식 보강토옹벽의 붕괴 사례”,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1권 4호, pp. 135~143, 2005
유충식, 정혜영, 정혁상,“강우로 인한 보강토옹벽의 붕괴 사례 연구”, 한국토목섬유학회논문집 제4권 1호, pp. 17~25, 2005
한중근, 조삼덕, 정상섬, 이광우, 김지선(2005),“시공환경을 고려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붕괴요인분석 및 대책방안 사례 연구”, 한국토목섬유학회논문집 제 4권 3호, pp. 35~43
한중근, 조삼덕, 정상섬, 이광우, 홍기권(2005),“블럭식보강토옹벽의 전면 사면 붕
괴 사례 연구”, 한국토목섬유학회논문집 제 4권 2호, pp. 47~56
한중근, 조삼덕, 이광우, 김지선(2005),“보강토옹벽 전면 활동 붕괴원인분석에 관한 사례 연구”,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pp. 3393~3396
홍기권, 한중근, 이종영, 박재선(2013),“현장사례를 이용한 보강토옹벽의 파괴원인 및 안정성 분석”, 한국토목섬유학회논문집 제12권 1호, pp. 109~114
인석, 이준결, 이승훈(2006),“보강토옹벽 붕괴 정밀안전진단 사례”, 한국구조물진단학회 제10권 2호, pp. 33~44
00건설(2010), “0000현장 보강토옹벽 정밀진단 보고서”, pp. 1~61
유충식, 정혁상(2006), “ 강우와 보강토옹벽의 거동 - 시공 및 붕괴사례고찰”, 한국토목섬유학회논문집 제5권 3호, pp. 17~24
이은수, 김홍택, 이승호, 김경모(2007),“보강토 공법”, 건설가이드, pp. 32~252
신창건, 권성주, 이송, 장범수(2004),“집중호우에 따른 보강토옹벽 붕괴사례 분석”,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pp. 2493~2495
김문규(1998), “뒤채움 과정을 고려한 모형벽체에 작용하는 수평토압”,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건설교통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2007),“불포화 사면 및 다짐지반 최적화 표준설계를 위한 지반정수산정기술 연구 보고서”
김기영(2011), “TRC센서를 이용한 제방의 포화도 및 지하수위 해석”,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27권 2호, pp. 63~72
김상규, 이은수(1996), “보강토 구조물 뒤채움재로서의 화강풍화토의 적용성”, 한국지반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제12권 제1호, pp. 60~71
김지만, 조삼덕, 정한교, 오세용(1997), “지오그리드 보강토옹벽의 시공중 계측평가”, 97년도 토목섬유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국제토목섬유학회 한국지부, pp. 45~52
김진만, 조삼덕, 정한교, 오세용, 심완섭(1997), “CHAMSTONE 블록 보강토 벽체의 현장계측 및 안정성 평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보고서, pp. 74~101
노한성, 최영칠, 백종은, 김영남(200),“보강토의 시공중 거동 평가”, 2000년도 가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pp. 95~100
대우기술연구소(1988), “보강토 공법에 관한 연구”, 기술논문 DEP-C008-88, pp. 53~102
신은철, 이상조, 오영인, 이상혁(2000),“현장계측을 통한 지오블럭 보강토옹벽의거동 평가에 대한 연구”, 인천대학교 공학기술연구소, pp. 42~52
유충식, 이광문(1999),“블럭식 보강토옹벽의 거동 특성 연구”, 한국지반공학회학회지, 제15권 제1호, pp. 53~62
한국도로공사(1989), “보강토 공법”,기술교재 78호, pp. 221~222
김상수(2008), “보강토옹벽의 실패 사례”, 한국토목섬유학회 학회지, 제6권 2호, pp. 15~20
산업안전관리(주)(2013), “해운대 AID 재건축 아파트 신축공사 보강토 안정성 검토보고서“
한국지반공학회(2008), “성남판교지구 택지개발 조성공사 3공구 보강토옹벽 안정성검토연구 보고서“
한국지반공학회(2008), “명지대학교 외곽순환도로 블록식 보강토옹벽 안정성 검토연구보고서”
국토해양부(2010), “건설공사 보강토옹벽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잠정 지침”
국토해양부(2011),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 기준”
강인석, 문현석 (2009), 토목공사 분야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활용 현황 및 적용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집 제10권 제5호(통권 제51호)
강인석 (2009) “ 토목공사 분야 BIM활용 현황 및 적용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제 10권 제5호.
김상현 (2009) “공공프로젝트 기획단계의 BIM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건축공학과 공학 석사학위 논문.
김영만 (2010) “토공량 산정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대학원 토목광학과 공학박사학위논문.
김용비, 김상범 (2011) "건설 생산성 향상을 위한 BIM의 활용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김현우 (2010) “국내 건설업체의 BIM 활성화 방안연구 : BIM 적용 가산점 도입을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석사 학위논문
박현용, 태용호, 우성권(2007), “운반작업의 영향요소분석을 통한 덤프트럭의 운반속도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8권, 제3호, pp.97-105
백대현, 박정로, 김주형, 김재준 (2011) “BIM을 활용한 토공량 산출의 효율성 분석에 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서정원 (2011) “토목공사의 BIM활용현황 및 첨단기술의 융합을 통한 발전방향”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연구자료, NONB1201118094
서종원, 김영욱, 장달식, 이승수(2008), “지능형 굴삭시스템 개발-2차년도 연구내용-”,『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심창수 (2011) “BIM Manager", 중앙대학교 BIM manager 교육프로그램의 교육자료, pp. 46
유병인 안지성 오세욱 한승우 김영석 (2007) “실시간 지반형상 인식 및 토공량 자동 산출을 위한 요소기술 선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이진녕 (2010) “3차원 정밀지형자료의 토공계획 활용”. 건국대학교대학원 토목공학과 공학박사학위논문.
이창희, 김성아, 진상윤 (2011) "BIM기반 물량산출 완성도 측정을 위한 지수 개발" 한국선설관리 학회 논문집 제 12권 제6호 2011-11
조달청 (2010), 시설사업 BIM적용 기본 지침서 v1.0, 조달청
조진종, 김의성 (2011) “BIM기술을 활용한 설계 품질 향상 사례 연구” 한국건설관리 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최병길, 황창수 (2003) “수치사진측량에 의한 DEM 구축 및 토공량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2003년도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Eastman C, and Teicholz P. and Sacks R. and Linston K.(2008), BIM Handbook, John Wiley & Sons, Inc.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