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건강사정 사례 흉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NSTEMI (Non 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질환 고찰
2.1. 정의
2.2. 원인 및 병태생리
2.3. 증상
2.4. 진단 검사
2.5. 치료 및 간호
3. 사례 연구
3.1. 간호력
3.1.1. 일반적 사항
3.1.2. 과거력
3.1.3. 건강 사정
3.2. 진단적, 임상병리 검사 및 기타 자료
3.3. 약물 치료 현황 파악
3.4. 간호과정 적용
3.4.1. 간호진단 및 계획
3.4.2. 간호중재 및 평가
4. 결론 및 자아 성찰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최근 서구화된 생활과 식습관이 영향을 미쳐 지속적으로 고혈압,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같은 성인병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심근경색 환자수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심근경색은 50~60대 남성, 그리고 고령일수록 발병률이 증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우리나의 경우 STEMI보다 NSTEMI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심근경색을 경 험하는 대상자 중 50%는 1년 이내에 사망하고 심장발작 환자의 95%는 병원 도착 이전에 심실세동으로 사망한다. 이에 갑작스러운 흉통으로 병원을 방문하여 NSTEMI을 진단받은 75세 여성으로 비만, 고혈압 등 질환이 없는 대상자 연구함으로써 성인 심장질환에 대한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방법 및 적절한 간호를 이해하고, 간호과정을 대상자에게 적용하여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과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뿐 만 아니라, 이에 대한 합병증을 예방하여 간호의 수준을 한단계 높여 대상자의 안녕을 추구하기 위해 이 사례를 연구해보고자 한다.
2. NSTEMI (Non 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질환 고찰
2.1. 정의
관상동맥 안쪽에 생긴 혈전에 의해 심장근육에 이루어져야 할 혈액 공급이 완전히 차단되어, 그 결과 심장근육의 일부가 죽고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이다. NSTEMI(비 ST상승군)은 ECG상 흉통 + 0.5mm이상 ST하강, 역동적 T파 역전 관찰, 일시적으로 0.5mm이상의 ST절 상승 발생이 특징이다. 반면 STEMI(ST분절 상승)는 ECG상 1mm이상 ST절 상승 2개의 이상의 사지유도 전 흉부 유도 관찰하는 경우이다. 심전도상 전형적인 ST segment elevation 없이, ST segment depression 혹은 T wave inversion을 보이는 경우, 대부분 관상동맥의 부분 폐쇄를 의미하며 보통 약 20분 이내에 충분한 혈류가 재개통되면 조직학적 및 생화학적 심근괴사나 지속적인 허혈성 심전도 변화는 없다. Cardiac, serum marker 검사 상 심근괴사의 증거가 없으면 불안정형 협심증(unstable angina), 관상동맥 폐쇄가 좀 더 지속되어 심근괴사의 증가 있으면 Non-ST 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NSTEM)으로 진단하게 된다.
2.2. 원인 및 병태생리
NSTEMI의 주된 원인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갑자기 발병되는 것이다.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은 죽상판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의 혈류가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발생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드물게는 관상동맥의 색전증이나 손상, 혈관염 또는 수술 후 쇼크, 심한 탈수증, 저혈압 등으로 관상동맥의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될 때도 발생된다.
NSTEMI는 불안정형 협심증과 비슷한 병리적 현상과 임상증상을 보인다. 둘 다 플라그의 파열로 관상동맥의 갑작스러운 부분 폐색으로 혈류가 감소하는 병태생리과정을 거친다. 즉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 플라그의 파열, 혈전, 혈류폐색으로 발생한다. 불안정형 협심증과 달리 혈액지표와 변화와 지속적인 ECG 변화가 더 심하여, 사망의 위험이 높다.
동맥경화 진행 -> 좁아져 있는 혈관에 혈전 생성 -> 혈관이 완전히 막힘 -> 심장으로 가는 혈액 공급 차단 -> 일정한 시간(30분 이상) -> 심장근육 세포 파괴 의 과정을 거치며, 이로 인해 심근경색증이 발생하게 된다.
2.3. 증상
급성 심근경색은 전형적인 흉통을 주 증상으로 나타낸다."흉통의 부위와 양상, 방사부위 등은 안정형 협심증과 비슷하나 그 강도가 훨씬 심하고, 30분 이상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가슴에 무겁게 짓눌리고, 격렬하고 쥐어짜는 듯 한 심한 분쇄통(crushing pain)이 휴식이나 NTG로도 완화되지 않는다."흉통은 활동 중이나 휴식 시, 수면 주에서도 일어날 수 있으며 흔히 이른 아침 시간에 원인 없이 발생된다."
호흡곤란도 주요한 증상으로, MI의 초기에는 카테콜아민의 교감신경계 자극으로 발한과 말초현관 수축작용이 강하게 일어나서 발작 직후에는 일시적으로 혈압이 상승하나 좌심실 심근의 20% 정도에 괴사가 오면 심장의 수축력 저하로 심부전이 발생된다."괴사심근의 수축력 저하로 인한 심박출량의 감소로 저산소증, 소변량이 줄어들고 폐울혈로 진행되면서 환자는 호흡곤란을 호소한다."
교감신경계 자극에 따른 증상으로 당원 유리, 발한, 말초혈관 수축이 나타나며 신체검진 시 환자의 피부는 잿빛이고 축축할 수 있다."신체검진 시 환자의 피부는 잿빛이고 축축할 수 있다."
심혈관 계통의 증상으로는 초기에 혈압과 심박동 수가 증가하다가 이후 혈압은 심박출량 감소로 인해 저하된다."폐에서 설음(crackles)을 들을 수 있고 이는 좌심실 기능부전을 의미한다."경정맥 확장, 간 울혈, 말초부종은 우심실 기능부전을 나타낸다."심장검진을 통해 어렴풋이 들리는 비정상적인 S3와 S4 심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주의 깊게 청진하면 ...
참고 자료
윤은자, 김숙영, 소향숙, 서연옥, 이연남, 이은자, 석소현, 박연환, 류은정, 박영미, 백명화, 손덕옥 외 공저, 2019년 2월, 『성인간호학 II』. 경기도 파주시 : 수문사
성미혜, 정향미, 김영희, 양영옥, 2019년 8월 『근거기반 간호과정』 경기도 파주시 : 수문사
대한심장학회 : https://www.circulation.or.kr:4443/
대한내과학회 : https://www.kaim.or.kr/index.php
황옥남 외. (2019). 성인간호학 상. 서울: 현문사.
김진희 외. (2021). 응급간호 및 재난간호. 서울: KMS(고문사).
MEG GULANICK, JUDITH L. MYERS. (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 현문사.
이윤미 외. (2019).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파주: 수문사.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main.do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관리포털. “심근경색”,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4580,(2023.04.02.)
최욱진. (2020). 응급실에서 Guideline 대로 진료하기-급성관상동맥증후군. 대한응급의학회 학술대회초록집, 2020(1), 173-175.
황옥남 외. (2019). 성인간호학(하) 제7판. 서울 : 현문사. P678-695
정향미 외. (2020).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파주 : 수문사. P334, 349, 396
우수희. (2005).협심증 환자의 증상경험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Doctoral dissertation, 연세대학교 대학원).
이상현, 정명호, 박종수, 김원, 김계훈, 강경태, ... & 강정채. (2001).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의 예후 예측 인자로서 Troponin 및 심전도의 임상적 의의: 1 년 추적 결과 분석.Korean Journal of Medicine (구 대한내과학회지),61(5), 506-51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490A00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7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