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플라스미드 추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플라스미드 DNA 추출
1.1. 플라스미드의 정의와 특성
1.2. 플라스미드 추출의 원리
1.3. 플라스미드 추출 실험 결과 및 고찰
2. 플라스미드 DNA 정제
2.1. 플라스미드 DNA 정제 방법
2.2. Alkali lysis method를 이용한 소규모 플라스미드 정제
3. 플라스미드와 항생제 내성
3.1. 플라스미드와 슈퍼박테리아
3.2. 플라스미드를 이용한 항생제 내성 유전자 전달
4. 플라스미드의 응용
4.1. 유전자 재조합 기술
4.2. 유전자 클로닝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플라스미드 DNA 추출
1.1. 플라스미드의 정의와 특성
플라스미드는 세포 내에서 세대를 통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전달되지만 염색체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자율적으로 번식하는 유전자를 총칭하는 말이다. 진핵세포의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 속에 들어 있는 DNA는 일반적으로 오르가넬 DNA라고 불리며 구별된다. 플라스미드는 세균의 생존에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유전자의 존재로 인해 결합 전이(F 인자),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R 인자), 항균성의 합성(콜리신 인자)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또한 토양 박테리아에 존재하는 Ti 플라스미드와 같은 식물 세포의 종양 유발 등의 기능도 가진다. 플라스미드는 크기와 복제 수 면에서 다양성을 보이며, 접합 능력과 공존성에 따라 접합성과 비접합성으로 구분된다. 이처럼 플라스미드는 박테리아 세포 내에서 다양한 특성과 기능을 가지며,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서 중요한 벡터로 활용되고 있다.
1.2. 플라스미드 추출의 원리
플라스미드 추출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플라스미드를 제외한 세균의 다른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 추출 원리이며, 특히 플라스미드와 염색체 DNA를 분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플라스미드와 염색체 DNA는 모두 핵산이므로 분리하는 것이 쉽지 않지만, 크기 면에서 염색체 DNA가 크기 때문에 이 성질을 이용한다""
세포벽을 파괴한 후 알칼리 용액을 넣으면 DNA가 변성되는데, 다시 산성도를 복구시키면 플라스미드는 쉽게 원상태로 되돌아오는 반면 염색체 DNA는 크기 때문에 서로 엉기게 되어 원심분리를 통해 분리할 수 있다""
즉, 플라스미드와 염색체 DNA의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플라스미드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것이 플라스미드 추출의 핵심 원리이다""
1.3. 플라스미드 추출 실험 결과 및 고찰
실험결과 1조와 4조에서 플라스미드 DNA 밴드가 발견되었으나, 나머지 2조, 3조, 5조, 6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일부 그룹에서만 DNA 추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험 결과에 대한 고찰은 다음과 같다. 우선, sol1이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잡아주고 완충 역할을 하며 세포의 삼투압과 외형을 유지시켰다. 다음으로 sol2가 세포의 지질을 제거하고 알칼리 환경을 조성하여 염색체 DNA를 변성...
참고 자료
미생물학, 2004, 최호형, 아카데미서적
임상분자생물학기법, 1993, 최영길, 고려의학
진단분자생물학, 2001, 정병균외, 현문사
thomo http://blog.naver.com/tohmo Redirect=LoglogNo=100010412775
쭐래오빠‘ http://blog.naver.com/jell2000 Redirect=LoglogNo=90073633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