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응급처치 시나리오
1.1.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은 생명을 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간호사는 심정지 환자를 발견하는 즉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처치를 수행해야 한다.
먼저 간호사는 환자의 의식과 호흡을 확인한다. 환자의 의식이 없고 호흡이 없으면 심정지로 판단하고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작해야 한다. 간호사는 환자의 경동맥을 촉진하여 맥박을 확인하고,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번갈아 실시한다. 가슴압박은 분당 100-120회의 속도로 강하고 규칙적으로 실시하며, 압박 깊이는 약 5cm를 유지해야 한다. 인공호흡은 구조자의 입을 환자의 입에 밀착시켜 가슴이 올라오는 것을 확인하며 1초에 걸쳐 실시한다.
간호사는 심폐소생술 중 다른 팀원들과 협력하여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역할을 교대한다. 예를 들어 다른 간호사와 가슴압박을 교대하거나, 응급의료장비 준비 등의 역할을 분담한다. 또한 심폐소생술 과정에서 코드블루를 신속하게 요청하고, 의사에게 환자 상태를 신속히 보고하는 등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수행한다.
가능한 빨리 제세동기를 준비하여 심전도 리듬을 분석하고, 필요한 경우 제세동을 실시한다. 제세동 전에는 모든 사람이 환자에게서 떨어져 있도록 주의를 주어야 한다. 제세동 후에는 즉시 심폐소생술을 다시 시작한다. 에피네프린과 아트로핀 등의 약물 투여도 의사의 지시에 따라 신속히 준비하여 투여한다.
심폐소생술 중에는 환자의 상태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필요한 경우 즉시 처치를 수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맥박이 돌아오거나 자발 순환이 회복되면 가슴압박을 중단하고 인공호흡만 지속해야 한다. 이때 간호사는 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보고하고, 산소요법 등의 처치를 수행한다.
심폐소생술 과정에서 간호사는 환자 가족에게 상황을 신속히 설명하고 안심시켜야 한다. 가족들은 상황 전개에 따른 불안감이 클 수 있으므로, 간호사는 차분히 환자의 상태와 처치 내용을 알려주어 이해와 협조를 구해야 한다.
이처럼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은 신속성, 정확성, 팀워크, 의사소통 등 다양한 역량을 요구한다. 간호사는 응급상황에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처치를 수행함으로써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1.2. 전문심폐소생술 수행
전문심폐소생술 수행은 심정지 환자의 생존률을 높이기 위해 병원 내 의료진에 의해 시행되는 체계화된 응급 처치 과정이다. 심정지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전문 처치를 제공하여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것이 핵심이다.
의사와 간호사가 팀을 이루어 전문심폐소생술을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