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스트레칭"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스트레칭의 정의와 중요성
1.1. 스트레칭의 정의
1.2. 스트레칭의 목적
1.3. 스트레칭의 효과
2. 스트레칭의 종류
2.1. 정적 스트레칭
2.2. 동적 스트레칭
2.3. 탄성 스트레칭
2.4. 고유감각신경근 촉진 스트레칭
2.5. 능동적 스트레칭
2.6. 수동적 스트레칭
3. 스트레칭의 방법
3.1. 준비운동
3.2. 스트레칭 시 고려사항
3.3. 스트레칭 시 주의사항
4. 스트레칭의 구성단계
4.1. 편한 단계
4.2. 발전 단계
4.3. 호흡법
4.4. 신전 시간
4.5. 스트레칭 반사작용
5. 스트레칭의 실제
5.1. 스트레칭의 여섯 가지 조건
5.2. 스트레칭 프로그램의 실례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스트레칭의 정의와 중요성
1.1. 스트레칭의 정의
스트레칭(stretching)이란 근육, 건, 인대 등을 신전시키는 운동으로, 관절의 가동범위 증가, 유연성 유지 및 향상, 상해 예방 등의 효과를 가져오는 운동이다. 정확히는 'static stretching'의 약어로서, 구미 선진국에 널리 퍼져있는 준비 운동의 일종이다. 우리말로 번역하면 "신전유연운동" 또는 "신전체조"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스트레칭에는 동적인 신전운동(Dynamic stretching)과 정적인 신전운동(Static stretching)의 두 가지 양식이 있다. 동적 스트레칭은 탄력적으로 굴신운동을 하는 양식이며, 정적 스트레칭은 충분히 신전된 상태를 유지하는 운동이다. 정적 스트레칭은 근육을 부드럽게 하고 자극받은 생체부위를 조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준비운동이나 정리운동에 중요하며, 관절의 가동범위를 증가시켜 유연성과 조정력을 향상시키고 근육의 상해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1.2. 스트레칭의 목적
스트레칭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육의 긴장(Muscular tension)을 풀어 주어 편안한 느낌(Relaxed feelling)을 갖게 한다. 스트레칭은 근육의 긴장을 해소하여 편안한 상태를 유도함으로써 몸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경감시켜준다.
둘째, 관절의 가동범위를 증가시켜 유연성(Flexibility)과 조정력(Coordination)을 향상시킨다. 스트레칭은 관절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여 유연성을 높이고, 이는 보다 효율적이고 조화로운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셋째, 근육의 상해(Muscular inju)를 미연에 방지하여 근육의 저항력이 크게 한다. 스트레칭은 운동 전후에 실시하여 갑작스러운 동작이나 과도한 부하로 인한 근육 및 관절 손상을 예방한다.
넷째, 신경반사작용을 통해 격렬한 운동도 무리없이 할 수 있게 한다. 스트레칭은 근방추(muscle spindle)라는 근육 수용기의 신경반사작용을 유발하여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조절함으로써 격렬한 운동에서도 근육이 원활하게 작용할 수 있게 한다.
다섯째, 모든 운동에 대한 준비운동의 기능을 함으로써 강한 운동도 쉽게 할 수 있게 한다. 스트레칭은 운동 전 준비운동으로 활용되어 근육을 충분히 이완시켜 본 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마지막으로, 혈액순환(blood circulation)을 촉진시키고 기분을 좋게 한다. 스트레칭은 근육을 이완시켜 혈액 순환을 개선함으로써 몸 전체의 활력을 높이고 기분을 좋게 해준다.
1.3. 스트레칭의 효과
스트레칭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스트레칭은 근육의 긴장(Muscular tension)을 풀어 주어 편안한 느낌(Relaxed feelling)을 갖게 한다. 관절의 가동범위를 증가시켜 유연성(Flexibility)과 조정력(Coordination)을 향상시킴으로써 동작이 자유로워지게 한다. 또한 근육의 상해(Muscular inju)를 미연에 방지하여 근육의 저항력이 크게 한다.
스트레칭은 신경반사작용을 통해 격렬한 운동도 무리없이 할 수 있게 한다. 모든 운동에 대한 준비운동의 기능을 함으로써 강한 운동도 쉽게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혈액순환(blood circulation)을 촉진시키고 기분을 좋게 한다.
따라서 스트레칭은 관절의 가동범위 증가, 유연성과 조정력 향상, 상해 예방, 격렬한 운동 수행 능력 향상, 준비운동 기능, 혈액순환 촉진, 기분 향상 등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고 할 수 있다.
2. 스트레칭의 종류
2.1. 정적 스트레칭
정적 스트레칭은 교정스트레칭이라고도 불리며, 교정이 필요한 달라진 근육길이부위에서 늘려야 할 필요가 있는 근육에 사용되는 기법이다. 정적 스트레칭은 근육의 길이에 반응하는 근방추의 활동을 억제시키면서 스트레칭을 한다.
정적 스트레칭은 재활 프로그램 중 근육을 가장 효과적으로 늘리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근방추는 근육이 빠른 속도로 길어질 때 근육을 수축시켜 관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근육 속 고유수용기 중 하나이다. 정적 ...
참고 자료
한국 사회 체육 진흥회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체력과학 노화연구소 2002
한국일보 전경우 2001
체육 과학 연구원http://www.sports.re.kr/www/index.htm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